2017. 2.19.해날. 저녁답 비

조회 수 1003 추천 수 0 2017.02.23 04:32:27


스멀거려 뒤척이기 시작하면 봄이 가까웠다.

겨울이 조금 맥이 풀렸다 싶은 어느 밤 몹시 치는 천둥도

그렇게 멀리 있는 봄을 부르는 소리였다.

저녁답에 비 뿌리기 시작하더니

자정을 넘기며 천둥도 쳤다.

봄이 언 산을 가르고 깨는 소린가 싶더라.


하오엔 달골 올라 화단의 마른 가지들을 쳤고,

햇발동 안의 화분들에 목을 축였다.

‘아침뜨樂’에 다녀간 겨울자리를 둘러보기도.

눈이 녹기 시작한 땅은 퍽 질퍽거렸다.

팻말들이 기울어져있기도 하고,

룽따 휘날리는 아래 기분 좋은 파란색으로 선명하던 ‘달골 명상정원 아침뜨樂’ 현수막도

그만 뚝 끊어져 더는 못 쓰게 되었다.

아마도 그 선명함 때문이었을 게다,

부러진 발목처럼 마음이 그만 접질려지더라.

‘아가미 못’은 가득 차 얼음 얼어있었고,

‘달못’은 올 봄 공사를 기다리고 있었다.

‘옴’자 머리 부분에 심은 차나무들은

겨울을 났는가 아직 더 기다려봐 얄 듯했으며,

측백나무며 다른 나무들 역시 봄바람 불어봐야 그 처지들을 알겠는.

봄을 기다리는 건 사람만이 아닌 게다.


북한에서 100권짜리 <김일성 전집>을 모르면 아무 것도 할 수 없던 시절,

한국에서 주사파가 아니어도 그 전집을 한번쯤 읽으려 들던 그런 청년들이 있었다.

김일성이 1945년 10월 3일 평양 노동정치학교에서 한 연설이

1990년대 간행된 <김일성전집>에 전문으로 실렸다.

앞서 그 연설문을 1980년에 나온 백과사전에서 뜬금없이 등장했다.

해방 후 김일성이 처음 대중 앞에 나타난 건

45년 10월 14일 평양 공설운동장에서 열린 김일성 장군 평양시 민중대회였다.

한홍구 선생에 따르면, 1949년판 <조선중앙연감>에는 그때의 연설문이

겨우 200자 원고지 두 장 분량 정도만이 남아있는데,

어떻게 앞서의 그 연설문이 전문이 남았을 수가 있냔다.

누가 그 전문을 썼을까, 남아있지도 않은 연설문이 어디서 튀어나왔을까.

얼마나 많은 일이 이러할 것인가.

내가 분명한 근거자료로 삼았던 것들이 겨우 몇 해 전에 만들어진 허구라면?


“부담스러웠다...”

한 남자가 연인 앞에서 말했다.

그 말을 한 남자가 떠났는지, 그 말을 들은 여자가 떠났는지는 모르겠다.

무엇이 부담스러웠다는 말일까...

살기가 힘들어진 탓일까...

그것도 아니면 다만 관계가 건조해진 까닭일까.

그게 무엇이든 의무나 책임이 무거워지더란 말인 듯은 하다.

언젠가 사랑의 책임이란 게 무엇이라 생각하느냐 어떤 이가 물어온 적이 있다.

무어라 답했는지는 되짚어지지 않는다.

어렴풋이, 누구를 사랑하는 일은 결국 책임지는 것 아니겠는가 답했던 듯도.

그래서 우리는 사랑을 자주 입에 올리지만 결국 사랑을 하지 못하는 게 아니겠냐며.

혹 부담이란 결국 사랑이 예전 같지가 않을 때 생기는 마음은 아닐까...

생을 걸 수 있느냐, 스스로에 대한 이 물음이야말로

내가 그를 사랑하는가에 대한 대답 아닐지.

무엇을 주어도 아깝지 않을 때, 그때 우리 사랑한다고 할 수 있지 않을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
4614 2017. 4.13~15.나무~흙날. 맑음 옥영경 2017-05-10 849
4613 2017. 4.12.물날. 맑음 옥영경 2017-05-10 825
4612 2017. 4.11.불날. 비 내리다 갬 / 못 볼 뻔했다 2 옥영경 2017-05-10 802
4611 2017. 4.10.달날. 비 내리는 밤, 미리 오는 비 옥영경 2017-05-10 806
4610 2017. 4. 9.해날. 맑음 / 못 볼 뻔했다 옥영경 2017-05-10 712
4609 2017. 4. 8.흙날. 맑음 옥영경 2017-05-10 728
4608 2017. 4. 7.쇠날. 맑음 옥영경 2017-05-10 713
4607 2017. 4. 5~6.물~나무날. 비 그친 뒤에도 흐림 옥영경 2017-05-10 726
4606 2017. 4. 4.불날. 맑음 옥영경 2017-05-07 790
4605 2017. 4. 3.달날. 따순 / 흙집 보수공사는 옥영경 2017-05-07 748
4604 2017. 4. 2.해날. 맑음 / 삼 30주 옥영경 2017-05-07 739
4603 2017. 4. 1.흙날. 비, 해, 구름, 날씨 셋이 번갈아가며 얼굴 내미는 옥영경 2017-05-04 759
4602 2017. 3.31.쇠날. 흐리고 비 오다가다 저녁비 옥영경 2017-05-04 817
4601 2017. 3.30.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7-05-04 712
4600 2017. 3.29.물날. 해 잠깐씩 / 그렇다니까! 옥영경 2017-04-26 799
4599 2017. 3.28.불날. 맑음 / 잘하고 있네 옥영경 2017-04-26 803
4598 2017. 3.27.달날. 함박눈, 서설(瑞雪) / 영화 <The Company You Keep> 옥영경 2017-04-19 899
4597 2017. 3.24~26.쇠~해날. 맑고 흐리고 맑고 / 불교박람회 옥영경 2017-04-19 881
4596 2017. 3.23.나무날. 맑음 / ‘예술명상’ - 제도학교 지원수업 옥영경 2017-04-19 841
4595 2017. 3.20~22.달~물날. 흐리다 비, 그리고 개고 맑았다 옥영경 2017-04-19 829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