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 길을 갔다 돌아가는 길도 또한 멀다.

한 대안학교의 계절학교에 손을 보태고

지리산이 끝나는 도시의 벗네를 들렀다.

비운 시간동안 학교에서는 연일 예취기를 돌리거나 풀을 뽑거나

혹은 밭을 돌보거나.

김소장님 다녀가셨다. 마당가에서 고기도 구웠던 밤이더란다.

된장집 언덕에 심은 삼을 돌보러.


모기!

모기, 그것도 번들번들하고 까만 작디작은 산모기의 시절이다.

일 하는 어느 틈에 뭔가 스친다.

앗, 그다.

일어나 그를 좇는다.

그러다 그만 놓친다.

괜스레 팔을 흔들며 이리저리 휘저어본다.

다시 일을 한다.

앗, 그다.

이번에는 놓치지 않으려 가만가만 좇지만

빛에 무늬에, 다른 사물들이 가진 색깔에 눈이 허얘져서

그만 또 간 곳 모른다.

다시 일을 잡는다.

소리가 귀를 스친다.

그다!

일어나 그를 좇는다.

하지만 그는 어디에도 머물지 않는다.

간간이 몸이 스친 자위로 팔이며 달이며 목이며 긁다가 서서히 화가 인다.

어디로 갔단 말인가.


이러한 사람의 입장만 어디 있겠는지.

할 말 있을 모기일 테다.

당신이 화를 내라고 의도한 것은 아니다.

하지만 당신은 세찬 눈길로 나를 본다.

안간힘을 쓰며 난다.

방향을 이리저리 바꾸며 난다.

나도 내 길을 모른다.

다만 움직이는 것만이 살 길임을 알 뿐이다.

나는 누구도 해하려하지 않았다.

소리 없이 다가가고 싶었으나 내 날갯짓은 소리를 달고 있다.

삶에 떼어낼 수 있는 것들을 뗄 수만 있다면 얼마나 좋으랴,

살금거리는 발소리를 죽이고 싶은 도둑처럼.

때로 날개를 떼고 싶지만, 그것으로 내가 또 살 수 있는 걸.

나는 해하려는 마음을 가진 게 아니다.

충실하게 뜨겁게 내 삶을 살았을 뿐이다.

난다.

그 끝은 모르는 일.

다만 사는 것, 살아가는 것.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4738 2009. 5. 9.흙날. 맑음 / 봄학기 산오름 옥영경 2009-05-16 2164
4737 2009. 5.10.해날. 여름 같은 늦은 봄날 옥영경 2009-05-24 1050
4736 2009. 5.11.달날. 맑음 옥영경 2009-05-24 973
4735 2009. 5.12.불날. 비 옥영경 2009-05-24 1091
4734 2009. 5.13.물날. 맑음 옥영경 2009-05-24 1158
4733 2009. 5.14.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9-05-24 1075
4732 2009. 5.15.쇠날. 빗방울 옥영경 2009-05-24 1113
4731 2009. 5.16.흙날. 비 옥영경 2009-05-24 1125
4730 2009. 5.17.해날. 비바람 옥영경 2009-06-03 1001
4729 2009. 5.18.달날. 맑음 옥영경 2009-06-03 1243
4728 두 차례 특강 옥영경 2009-06-03 940
4727 2009. 5.19.불날. 맑음 옥영경 2009-06-06 1010
4726 2009. 5.20.물날. 꾸물럭거리는 옥영경 2009-06-06 943
4725 2009. 5.21.나무날. 새벽비 내렸다 개다 옥영경 2009-06-06 1233
4724 5월 빈들 여는 날 / 2009. 5.22.쇠날. 갬 옥영경 2009-06-06 1034
4723 5월 빈들 이튿날 / 2009. 5.23.흙날. 맑음 옥영경 2009-06-06 1027
4722 5월 빈들 닫는 날 / 2009. 5.24.해날. 맑음 옥영경 2009-06-06 1058
4721 2009. 5.25.달날. 맑음 옥영경 2009-06-06 1007
4720 2009. 5.26.불날. 소나기 옥영경 2009-06-07 1017
4719 2009. 5.27.물날. 맑음 옥영경 2009-06-07 1110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