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이 담긴 표정으로 구름이 다녀간다.


소식이 바위처럼 앉아

오도 가도 못하고 있었다.

벗이 오래 앓았다. 물꼬의 논두렁이기도 한 그니이다.

멀리서 같이 앓았다.

오늘 건강하단 소식을 들었다.

고맙다.

그제야 물을 길어 왔다.

밥을 짓겠다.

그리고 무씨를 놓았다.

올 겨울에도 김장을 할 것이다.


안식년에도 삶은 계속된다.

여전히 공식 일정은 멈춰도 새로운 일정과 만남들이 이어진다.

연애를 시작한 적지 않은 나이의 연인들이 왔다.

물꼬에는 그렇게 짝을 만나 인사를 오는 이들이 있다.

직접 하지 못하는 이야기를 건너편에 세운 사람 하나를 통해 말을 나누기도 한다.

물꼬가 하는 다양한 역할 가운데 하나일 것.

사람을 만나는 것도 새로 시작하는 한 지점일텐데

그런 시간에 물꼬가 동행할 수 있음도 고마운 일이라.


노벨문학상에 자주 거론되는 작가의 긴 소설 하나를 띄엄띄엄 읽어왔다.

소설적 발상과

두툼한 세 권의 책을 끝까지 궁금케 하면서 읽도록 하는 힘,

사람에 대한 오래 품은 이야기가 매력적이었다.

절대적 선악은 없다, 서로 맞물린다, 결국 구원은 균형이다,

뭐 그렇게 읽었던 듯하다.

그런데 꼭 주인공이랄 것 없는, 그렇다고 변방의 인물은 아닌 한 인물에 꽂혔다.

그리고 그 인물을 스무 살을 시작한 한 아이에게 들려주었다.

“어떤 형태이든 남의 시선을 끌지 마라.

 지식이나 능력은 어디까지나 도구이지

 그것 자체를 자랑하며 내보이기 위한 것이 아니다.

 참을성 있게 호기를 기다리고, 그 순간이 오면 단호히 덮쳐라.

 기척을 죽이고 상대를 방심하게 하는 게 중요하다.”

앞에 서려는 욕망이 강했던 아이가 듣고는 있더라만.

하기야 우리가 좋은 이야기를 듣는 만큼 그리 할 수만 있다면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6514 품앗이 여은주샘 옥영경 2004-02-20 2029
6513 39 계자 이틀째 1월 27일 불날 옥영경 2004-01-30 2029
6512 6월 7일주, 우리 아이들이 한 일 옥영경 2004-06-11 2026
6511 6월 6일, 찔레꽃 방학을 끝내고 옥영경 2004-06-07 2025
6510 129 계자 이튿날, 2009. 1. 5. 달날. 꾸물럭 옥영경 2009-01-09 2023
6509 8월 1-4일, 배혜선님 머물다 옥영경 2004-08-09 2023
6508 39 계자 열 나흘째 2월 8일 옥영경 2004-02-11 2020
6507 124 계자 이튿날, 2008. 1.14.달날. 꾸물꾸물 잠깐 눈방울 옥영경 2008-02-18 2019
6506 고기 또 먹던 한 날, 5월 16일 옥영경 2004-05-26 2019
6505 2011. 6.14.불날. 맑음 / 보식 2일째 옥영경 2011-06-18 2015
6504 8월 23일, 류기락샘 출국 전날 옥영경 2004-08-25 2008
6503 39 계자 닷새째 1월 30일 옥영경 2004-02-01 2005
6502 4월 10-11일, 밥알모임 옥영경 2004-04-13 1999
6501 124 계자 사흗날, 2008. 1.15.불날. 맑음 옥영경 2008-02-18 1998
6500 2009. 7.13.달날. 지난 밤 큰비 다녀가고, 두어 차례 더 옥영경 2009-07-30 1995
6499 122 계자 여는 날, 2007.12.30.해날. 눈 옥영경 2008-01-02 1986
6498 일본에서 온 유선샘, 2월 23-28일 옥영경 2004-02-24 1982
6497 39 계자 나흘째 1월 29일 옥영경 2004-01-31 1981
6496 12월 21일 불날 맑음 옥영경 2004-12-22 1980
6495 아흔 다섯 번째 계자, 6월 25-27일 옥영경 2004-07-04 1979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