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영복 선생의 글 가운데 같이 징역살이를 한 노인 목수 이야기가 있었습니다.

그가 집을 그리는 순서에서 받은 충격을 잊을 수가 없다고,

먼저 주춧돌을 그린 다음 기둥, 도리, 들보, 서까래, 지붕의 순서로 그리더라고.

흔히 우리가 지붕부터 그리는 것과 달리

그가 집을 그리는 차례는 집을 짓는 순서였다지요.

일하는 사람의 그림이었던 겁니다.

아무리 작은 실개천도 이윽고 강을 만나고 드디어 바다를 만나는 진리,

그것이 주춧돌부터 집을 그리는 사람들의 견고한 믿음이라 하셨던 걸로 기억합니다.

‘자유와 낭만은 관계의 건설 공간’이란 말도 거기서 읽었지 싶습니다.


달골 ‘아침뜨樂’ 아래 부속건물을 하나 짓고 있습니다.

1층 15평 다락 5평, 20평 목조주택입니다.

임금노동자 한 사람을 팀장으로 하여 집짓기교육생 한 명,

나머지는 모두 자원봉사로 움직이고 있습니다,

전문영역, 예를 들면 굴삭기 믹서트럭 펌프카 비계 일들은

그 분야 사람들이 와서 하고 있지만.

멀리서 마음을 보탠다며 먹을 거리를 보내들 주기도 하셨습니다.

삶터를 떠나와 손발 보태기 쉽지 않을 것이라

주로 주말에 집중적으로 일(아침 8시~낮 5시)을 하고 있습니다.

밥 때는 아침 7시, 낮 12시, 저녁 6시 30분,

그리고 상오 10시, 하오 3시 30분 곁두리를 먹습니다.


집 짓는 과정에 보탤 손발을 모십니다.

함께 집을 지어보지요!

목공 미장 용접 전기 설비(보일러) 같은 기술을 가진 이면 더욱 좋겠지만

전체를 관장하는 안내자가 있으니

그저 밥 하는 일, 정리하는 일, 나무 옮기는 일, 불 피우는 일(이제 차가운 산마을이니),

흥을 돋우려 노래라도 부르는, 그 무어나 보탬일 것입니다.


아시겠지만 물꼬에서는 시간표에 있는 시간만이 공부 시간이 아니지요.

들어서는 순간부터 나가는 순간까지, 우리 삶 어느 순간이 그렇지 않을까만,

모든 것이 공부입니다.

학교에서와 같은 시간표(도대체 왜 꼭 그리 움직여야 하지요?)가 아니라 '흘러가는 대로'

함께 숨 쉬고 움직이면서 우리 깊이 배워갈 것입니다.

실수가 왜 없겠고 문제가 왜 없을라구요.

그것을 어떻게 바라보고 어떻게 나아가는가가 중요할 것.

사실 많은 문제는 정작 문제가 아니라 그것을 바라보는 자신이 못 견디는 경우가 허다하잖던가요.

문제, 그것이 정말 문제라면,  머리 맞대고 해결하면 될 것입니다.


기다리겠습니다.

어디라도 그러할 것이나 빛나는 가을이 마음에도 눈부시옵기.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후원] 논두렁에 콩 심는 사람들 [13] 관리자 2009-06-27 34425
공지 긴 글 · 1 - 책 <내 삶은 내가 살게 네 삶은 네가 살아>(한울림, 2019) file 물꼬 2019-10-01 17819
공지 [긴 글] 책 <모든 사람의 인생에는 저마다의 안나푸르나가 있다>(옥영경/도서출판 공명, 2020) file 물꼬 2020-06-01 15868
공지 [펌] 산 속 교사, 히말라야 산군 가장 높은 곳을 오르다 image 물꼬 2020-06-08 15352
공지 [8.12] 신간 <다시 학교를 읽다>(한울림, 2021) 물꼬 2021-07-31 15198
공지 2020학년도부터 활동한 사진은... 물꼬 2022-04-13 14918
공지 물꼬 머물기(물꼬 stay)’와 ‘집중수행’을 가릅니다 물꼬 2022-04-14 14957
공지 2022 세종도서(옛 문화체육관광부 우수도서) 선정-<다시 학교를 읽다>(옥영경 / 한울림, 2021) 물꼬 2022-09-30 13848
공지 [12.27] 신간 《납작하지 않은 세상, 자유롭거나 불편하거나》 (한울림, 2022) 물꼬 2022-12-30 12074
공지 2024학년도 한해살이;학사일정 (2024.3 ~ 2025.2) 물꼬 2024-02-12 4302
505 오실 때 물꼬 2009-02-19 1803
504 [8.22] 북토크, 동네서점 '코뿔소 책방'에서 하는 물꼬 2020-08-05 1803
503 [초등 대상] 아이 데리고 시골살이 해보시려는지요? (물꼬 아니구요) 물꼬 2019-02-26 1805
502 다시 ‘2월 어른의 학교’ 마감을 알려드립니다 물꼬 2019-02-19 1805
501 2019학년도 대입수능을 앞둔 이들에게 물꼬 2018-11-05 1806
500 계자입금확인은 주에 두 차례 불날,쇠날(화,금)에 물꼬 2009-11-29 1811
499 150 계자 아이들 들어오고 사흘 물꼬 2012-01-10 1811
498 [12.26~27] 2020학년도 겨울 청소년 계자 file [1] 물꼬 2020-12-01 1811
497 겨울계자를 마치고 드리는 전화 물꼬 2010-01-20 1812
496 몽당계자(148번째 계자) 마감 [1] 물꼬 2011-10-18 1812
495 ‘발해 1300호’ 14주기 추모제 [3] 물꼬 2012-01-28 1812
494 9월 물꼬 stay 일정 조율 물꼬 2019-09-17 1812
493 [미리 안내] 2021학년도 겨울 계절학교 일정 물꼬 2021-11-03 1813
492 [질문] 옥영경 선생님의 책이 언제 출간되나요? 물꼬 2019-04-08 1815
491 15호 태풍 볼라벤이 지나간 대해리 물꼬 2012-08-28 1821
490 136 계자 사진! 계절자유학교 2010-01-19 1822
489 [~12.10] 아이의 학교 배치를 함께 고민합니다 물꼬 2018-10-24 1823
488 몽당계자에 오시는 분들께 물꼬 2011-10-22 1825
487 5월에는 물꼬 2020-05-05 1825
486 [특보 2021-01-03] 1월 10일까지 상황을 지켜보기로 합니다 물꼬 2021-01-11 1825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