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틀째다.

오전, 어제에 이어 본관 중앙현관 지붕을 수리하는 중.

무산샘은 앞에서 처마를 덧대고,

뒤란에서는 학교아저씨가 복도 뒤란 비닐을 쳤다.

교무실과 가마솥방에서는 다음 주 초 사흘을 보낼 고2(샘들 포함 서른) 일정을 위한

최종 점검들.

스물로 예정했으나 서른이 함께하게 되었다.

학교에서 자지 않으려니 달골로 갈 게고,

달골에서라면 창고동에서도 자야 할.

그렇다면 난방이 문제.

창고동 보일러는 손이 좀 필요한.

해서 창고동에서 잘 열 명은 겨울침낭을 준비해 주십사 했는데.


이웃 도시에서 같이 그림 작업하던 경화샘이 김치를 좀 보냈다.

세 가지나.

묵은 것들이라해도 요새 김치냉장고는 잘 익혀 그 맛을 유지하더만.

오늘부터 집짓는 현장이 사실상 돌아가는 셈인데,

밖에서 사람들이 들어와 먹는 게 일이겠다 싶은 때에 고마운.

물꼬는 또 그렇게 마음 그늘을 만들어주는 이들에 깃드는.


아침 11시, 동현샘이 들어와 달골에 짐을 부렸다.

임금노동자 한 명에 무산샘을 축으로 여러 샘들이 틈틈이 붙어 집이 될 것이다.

하오엔 무산샘과 모두 앉아

도면을 보고 실제 작업을 어떻게 할 것인가 가늠해보았다.

“냉장고는 안 쓰시나?”

“세탁기도 있어야 하지 않을까?”

놓친 것들을 오래 집을 지어본 동현샘이 잘 챙겨낸다.

“다락엔 창이 하나 밖에 없는데...”

맞창이 있으면 좋을 테지.

다락방이 있는 12평, 작아도 집은 또 집이지.

혼자 살아도 한 살림, 있을 건 다 있어야 할 게다.


영동에서 집을 짓는 이들 몇이 방을 구하지 못해 한밤에 달골에 들어와 묵고 있다.

도민체전인지 뭐인지로 숙소가 바닥 난.

한밤 들어와 묵고 있다.

물꼬 관련 일이 아니고는 그럴 일이 통 없는 이곳,

우리 현장의 우두머리가 된 동현샘이 부탁한 일.

며칠 묵어야지 하는데...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4754 2008.11.10.달날. 맑음 옥영경 2008-11-24 1202
4753 146 계자 닷샛날, 2011. 8.11.나무날. 비 뿌리다 / 산오름 옥영경 2011-08-29 1201
4752 가을 몽당계자 닫는 날, 2010.10.24.해날. 비 내리다 개다 옥영경 2010-11-06 1201
4751 2009. 5. 1.쇠날. 햇살 따갑고 옥영경 2009-05-12 1201
4750 2008.12.24.물날. 꾸물딱거리는 하늘 옥영경 2008-12-29 1201
4749 2008. 9.10.물날. 맑음 옥영경 2008-09-26 1201
4748 2006. 9.23.흙날. 높은 하늘 옥영경 2006-09-26 1201
4747 2006.5.6.흙날. 비 / 미용교실 옥영경 2006-05-11 1201
4746 2012. 7.26.나무날. 나흘째 불더위 옥영경 2012-07-30 1200
4745 2012. 1.29.해날. 맑음 옥영경 2012-02-16 1200
4744 2011.10.30.해날. 아침, 엷은 안개 옥영경 2011-11-11 1200
4743 2009. 3. 2.달날. 흐림 옥영경 2009-03-17 1200
4742 2008.12.15.달날. 맑음 옥영경 2008-12-26 1200
4741 2008. 6.14.흙날. 맑음 옥영경 2008-07-06 1200
4740 2011. 9. 8.나무날. 빗방울 잠시 옥영경 2011-09-18 1199
4739 144 계자(봄 몽당계자) 닫는 날, 2011. 4.24.해날. 비 두어 방울 옥영경 2011-05-05 1199
4738 2008.12.11.나무날. 흐림 옥영경 2008-12-26 1199
4737 2006.10.20.쇠날. 비 온다더니... 옥영경 2006-10-25 1199
4736 가을 몽당계자 이튿날, 2010.10.23.흙날. 맑음 옥영경 2010-11-06 1198
4735 2009. 2.28.흙날. 맑음 옥영경 2009-03-11 1198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