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이 많다...


예닐곱 살 때 생긴 자신의 안구의 볍씨 자국,

‘물을 실어 만든 촉촉한 못자리처럼’

‘눈물이 필 줄을 아는’, ‘슬픔을 싹 틔울 줄 아는 내가 좋다’(문태준)고 시인이 썼다.

시는 쉬웠다.

‘산모퉁이를 돌아 논가 외딴 우물을 홀로 찾아가선 가만히 들여다’(윤동주)보는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괴로워’하던 시인처럼,

가다 다시 돌아와 들여다보는 시인의 우물처럼

그 시를 맴돌았다.

얼마 전 언어의 조탁에 노련한, 그래서 세련된 한 시인의 시를 읽었지만,

건조했던 그 시들과 달리 ‘나는 내가 좋다’는 여덟 행짜리 시가 더 촉촉했다.

언어를 잘 다듬는 게 시인이 아니라 마음을 다듬는 게 시인이겠구나 생각했다. 

 

이른 아침 차를 달여 나눈다. 좋다.

집 짓는 현장이 아침 8시부터 돌아가는데 밥상에 앉는 시간이 7시도 되기 전이니

아침을 물린 뒤 잠시 하루를 시작하는 마음결을 좀 챙길 수 있는.

집은 남면 서면 동면에 세라믹을 붙여가고 있다.

북면의 징크는 이미 작업을 끝냈지만 지붕은 아직 남아있고.

낮 5시에 마무리 되는 현장, 빗방울 떨어져 오늘은 서둘러 접었다.

하오 견두리를 낸 뒤엔

달골 안내판 부러진 다리를 고쳤다.

굴삭기 들고날 때 밟힌.

나무를 따내서 결합하는 부분은 손톱으로 잘랐다.


사람들이 달골 햇발동에서 같이 묵으며 현장이 돌아가니

혼자 책상 앞에 앉는 시간이 쉽잖다.

오늘은 오전에 교무실에 앉았다.

손으로 간단하게 기록하는 몇 줄 아니고는 글 한 줄도 두들기지 못하고 지나는 시간들이다.

어제 보육원에서 온 연락에 답을 주어야 한다.

물꼬 아니고는 보낼 수 있는 곳이 없다,

이곳에서는 그 말에 가장 취약하다.

피 철철 흘리는 상황이라면, 물꼬가 꼭 해야만 하는 일이라면!

위탁교육 일정이 잡혔다; 11월 20일 달날부터 12월 3일 해날까지.

정서행동장애를 비롯한 특수아동 중심 보육원의 한 아이,

물꼬랑 30년 가까이 되는 인연인 보육원에 계시던 원장님이

현 보육원으로 자리를 옮기며 벌써 5년에 이르는 서산과의 인연이다.

그곳의 국장님은 물꼬의 논두렁이시기도.

몇 차례 물꼬에서 치유과정을 밟아왔던 아이는

또 오갈 데가 없어졌다.

집짓는 일이며 이미 잡혀있던 일들이 차 있기도 하여 날 쉽지 않으나

오늘 현재 물꼬에 머물고 있는 이들에게 양해를 구했다.

어여 오니라 했다.

물꼬가 왜 존재하느냐 말이다.

집을 짓는 일이란 것이 사람을 다 늙게 하는 일이라지만

물꼬의 많은 일들 가운데 겨우 한 가지일 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6574 2004학년도 학부모모임 길을 내다, 3월 13-14일 옥영경 2004-03-14 2268
6573 3월 4일 포도밭 가지치기 다음 얘기 옥영경 2004-03-09 2258
6572 지금은 마사토가 오는 중 옥영경 2004-01-06 2254
6571 6월 14일, 유선샘 난 자리에 이용주샘 들어오다 옥영경 2004-06-19 2243
6570 계자 여섯쨋날 1월 10일 옥영경 2004-01-11 2242
6569 6월 14일 주, 아이들 풍경 옥영경 2004-06-19 2240
6568 '밥 끊기'를 앞둔 공동체 식구들 옥영경 2004-02-12 2240
6567 글이 더딘 까닭 옥영경 2004-06-28 2239
6566 2017. 2.20.달날. 저녁답 비 / 홍상수와 이언 맥퀴언 옥영경 2017-02-23 2226
6565 2007.11.16.쇠날. 맑음 / 백두대간 제 9구간 옥영경 2007-11-21 2218
6564 2007. 6.21.나무날. 잔뜩 찌푸리다 저녁 굵은 비 옥영경 2007-06-28 2212
6563 6월 10일 나무날, 에어로빅과 검도 옥영경 2004-06-11 2211
6562 5월 29일, 거제도에서 온 꾸러미 옥영경 2004-05-31 2209
6561 5월 6일, 류옥하다 외할머니 다녀가시다 옥영경 2004-05-07 2206
6560 6월 11일, 그리고 성학이 옥영경 2004-06-11 2205
6559 운동장이 평평해졌어요 옥영경 2004-01-09 2204
6558 처음 식구들만 맞은 봄학기 첫 해날, 4월 25일 옥영경 2004-05-03 2202
6557 2007. 5.31.나무날. 소쩍새 우는 한여름밤! 옥영경 2007-06-15 2200
6556 2005.10.10.달날. 성치 않게 맑은/ 닷 마지기 는 농사 옥영경 2005-10-12 2200
6555 100 계자 여는 날, 1월 3일 달날 싸락눈 내릴 듯 말 듯 옥영경 2005-01-04 2196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