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용군에 입대하기 전날이었다, 라는 문장으로 시작하는 <카탈루냐 찬가>(조지 오웰)의 바로 다음 문장에 

바르셀로나가 등장한다. 80년대 중반 대학을 다닌 우리 세대에게 바르셀로나라는 낯설고 먼 도시에 대한 

기억은 그 책이 거의 출발이지 않았을까. 헤밍웨이, 앙드레 말로, 노먼 베쑨, 알베르 까뮈, 시몬느 베이유, 

파블로 네루다, 생텍쥐페리, 파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 같은 이름자만 들어도 가슴을 울리는 그들을 세계 

곳곳에서 달려오게 했던 스페인 내전(1936~1939) 당시 이 도시는 인민전선파의 거점으로 마지막까지 

프랑코군에 저항했다. 깨어있는 이들이 파시즘의 팽창을 보고 있을 수만은 없어 달려가게 만든 까닭에는 

이념으로 사람을 모을 수도 있었던 낭만의 시대라는 배경도 있었을 것이다.


‘모두가 똑같은 보수를 받고, 똑같은 옷을 입고, 똑같은 음식을 먹고, 서로를 <당신>이나 <동지>라고 

불렀다. 고용주 계급도 없었고, 하인 계급도 없었고, 거지도 없었고, 창녀도 없었고, 변호사도 없었고, 

사제도 없었고, 아첨도 없었고, 모자에 손을 대는 인사도 없었다.’(<카탈루냐 찬가> 가운데서)


  오래지 않았지만 해방구의 감동이 있던 이 도시의 저항은 FC 바르셀로나(바르샤)의 홈구장 ‘캄프 누(깜 노우)’가 

이어갔다 할 만하다. 카탈루냐인들의 자존심이고 독재 아래선 울분의 광장이었던 축구장이었다. 1936년 프랑코의 

마드리드 정권에 의해 박탈당한 카탈루냐 자치권은 41년 뒤인 1977년에야 되찾아진다. 이들의 자치의식은 더 오랜 

역사에 뿌리를 두고 있지만 스페인 내전에서 더 깊어졌고, 축구공은 그들의 자존으로 더 단단해졌다. 그리하여 

엘 클라시코(프리메라리가의 최대 라이벌 FC 바르셀로나와 레알 마드리드의 더비 경기)는 축구 경기 이상, 일종의 

카탈루냐와 카스티야의 대리전 같은 것이었다.

  ‘Mes Que un Club (클럽 너머 클럽 or 클럽 그 이상)'

  깜 노우의 관람석에 적힌 바르샤의 모토대로 바르샤는 그야말로 클럽 너머 클럽이었던 것이다.


“만약 어떤 이가 당신들에게 영국을 찬양하면, 그는 영국인일 것이고, 프러시아에 대해 나쁘게 말하면 그는 

프랑스인, 스페인에 대해 그렇다면 그는 스페인 사람이다.”

(페르난도 디아스 플라하, 스페인의 역사학자)


  스페인의 지역 분리주의를 짐작할 수 있는 말이다. 북부 바스크가 유난하다지만 바르셀로나를 심장으로 하는 

카탈루냐도 마찬가지. 가우디가 먹여 살린다는(FC 바르셀로나도 있네) 바르셀로나의 관광 수익을 저들만 챙기려는 게 

아니냐 비난하는 외신도 많았는데, 적어도 식민의 역사를 가진 우리는 심정적으로 그들을 지지해야잖을까 싶다.

  2017년 격렬했던 카탈루냐 독립 시위 속에 일부가 구속되었다. 그들의 석방에 대한 바람과 분리주의자들의 뜻은 

도시 곳곳에 노란 리본으로 상징되었다. 세월호로 숨진 이들을 기리는 노란 리본을 카탈루냐인들의 가슴에서 또 

바르셀로나 곳곳에서 만날 수 있었던 것은 그 때문이었던 것. 하지만 분리지지자들이 절대적이진 않았던 모양이다, 

결국 찬반투표는 과반을 넘지 못했고, 여전히 갈등을 안은 채 2018년이 왔다.


  외국에서 1년쯤 지내다보면 현지어는 늘지 않고 한국어는 간단한 단어 몇 개로 퇴화된다. 내 경우도 한국말을 

하다가 막히는 한 단어를 위해 많은 낱말을 돌고 돌아 찾아내야 할 때가 잦다. 공부하지 않으면 늘지 않고, 게다 

먹고 사는 일에 당장 영향을 받지 않으면 그마저도 익히기 쉽지 않은 게 외국어이다. 더구나 여기선 영어만으로도 

생활이 가능하기도 하니 어학원을 가지 않는 한 스페인어는 더욱 멀다. 하물며 카탈루냐어(카탈란)라니.

  바르셀로나에서는 스페인어와 카탈루냐어를 함께 쓴다. 지명이 카탈루냐어-스페인어-영어 순으로 표기되어 

있다. 북부 바스크지방에서도 그랬다. 바스크어-스페인어-영어 순. 교환학생으로 온 한 한국인 학생은 어떤 

수업은 카탈란으로 진행되어 어려움이 있다 했다.

  카탈란은 프랑스가 곁에 있어서인지 어떤 낱말들은 프랑스어와 많이 닮았다. 스페인어의 영향을 받은 어휘도 

많겠지만 기초 어휘나 대명사, 기초적인 집합명사, 간단한 동사 들에서 프랑스어와 같은 어휘가 흔하다. 예컨대 

Please의 경우 스페인어는 Por favor라고 하는 반면 카탈란은 Si us plau인데, 이는 프랑스어 s'il vous plait와 

더 가까운 식이다.


  한해 3200만이 넘는 관광객이 다녀가는 바르셀로나. 하지만 반가울 일만은 아니었다. 거주민들은 오른 집세로 

마을 밖으로 내몰리고, 도시의 역사와 전통이 담긴 공공장소도 빼앗기고 일상적인 바와 식당과 거리까지 내주어야 

했으니까. 작년에도 관광객 반대 시위가 격렬했다 했다.

  지난 9월에도 시내에 나갔다가 ‘관광객은 물러가라, 난민은 환영한다’는 구호를 내세운 시위대를 보았다. 

도시의 정체성을 위협하는 관광객 대신 사회 다양성에 기여하는 이민자들을 받아들이라는 요구다. 국제도시라고 

하지만 현재 이 도시는 대개 유럽, 남미, 북아프리카에서 온 이들이 주류를 이루고, 이들의 2세들이 새로운 

인구층이 되고 있다.

  이에 견주면 적지만 동양 사람도 없지 않다. 일본인이 한풀 흘러갔다 하고, 현재는 중국인이 대세이다. 스페인의 

IMF 구제금융 신청기 중국으로부터 들여온 차관과 함께 중국인들에 대한 세제혜택 같은 친중화정책이 자국민들을 

불러와 한 블록 건너 중국 청과물가게가 있고, 잡화점과 바(식당)와 마사지업소와 미용실이 한 집 건너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바르셀로나는 1992년 올림픽으로 다시 우리 낯을 익힌다. 마라톤 경기에서 황영조는 1위로 몬주익 올림픽 

경기장으로 들어왔다. 그리고 대한항공이 주 4회 단독운항하던 바르셀로나 직항 노선에 지난 9월부터

아시아나항공도 주 4회 운항을 시작한 데다 tv예능까지 업은 덕인지 스페인 한국인 관광객이 44만 명을 웃돈다 

한다.

  다녀가는 한국인이 많다고 거주민이 그런 건 아니지만 올해 양국 간 맺은 워킹홀리데이가 미칠 영향도 적잖겠다. 

그간 스페인남성과 일본여성들의 결혼 조합이 차츰 사라진 자리로 한인여성이 늘어났고, 한인여성과 스페인남성으로 

구성된 가정이 바르셀로나에 현재 150여 쌍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최근 급속도로 늘어난 바르셀로나 일대의 

한국 교민은 1천500여명 수준. 비로소 총영사관이 곧 다시 문을 연다. 바르셀로나가 1992년 하계 올림픽 개최지로 

결정되자 정부는 1988년에 이곳에 총영사관을 설치했으나 교민 수도 적고 한국 관광객들도 많지 않아 개관 

5년 만에 폐쇄했던 것. 그간 영사관련 업무를 위해서 교민들은 650km나 떨어진 마드리드까지 가야 했다.


  그 도시에 1월 1일 들어온 내게 다시 1월이 다가오고 있다, 내 신분을 띠에(TIE; 외국인 신분증)가 

증명하며.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
4840 2019. 3.21.나무날. 바람 불고 비온 끝 을씨년스런 아침, 하지만 맑음 / 도합 일곱 시간 옥영경 2019-04-04 553
4839 2019. 3.20.물날. 흐리다 저녁답에 비 / 수선화 옥영경 2019-04-04 521
4838 2019. 3. 4.달날 ~ 3. 18.달날 / ‘사이집’ 첫 집중수행 보름 옥영경 2019-04-04 489
4837 2019. 3. 3.해날. 흐림 옥영경 2019-04-04 467
4836 2019. 3. 1.쇠날. 미세먼지로 긴급재난문자가 울리는 옥영경 2019-04-04 462
4835 2019. 2.28.나무날. 흐림 / 홈그라운드! 옥영경 2019-04-04 475
4834 2019. 2.25.달날. 맑음 / 특강 옥영경 2019-04-04 431
4833 2월 어른의 학교(2019.2.22~24) 갈무리글 옥영경 2019-03-28 541
4832 2월 ‘어른의 학교’ 닫는 날, 2019. 2.24.해날. 맑음 옥영경 2019-03-28 499
4831 2월 ‘어른의 학교’ 이튿날, 2019. 2.23.흙날. 맑음 옥영경 2019-03-27 611
4830 2월 ‘어른의 학교’ 여는 날, 2019. 2.22.쇠날. 맑음 옥영경 2019-03-27 547
4829 2019. 2.21.나무날. 달 둥실 / 1월 그리고 2월의 ‘사이집’ 이야기 옥영경 2019-03-25 558
4828 2019. 2. 1.쇠날. 흐리다 잠시 눈발 날린 / 김장하지 않은 겨울 옥영경 2019-03-25 542
4827 2019. 1.31.나무날. 맑음 / 돌아오고 얼마쯤 뒤 옥영경 2019-02-03 967
4826 [바르셀로나 통신 16] 2018.12.29.흙날. 맑음 / 도시 이야기 2; <바람의 그림자> 옥영경 2019-01-10 914
» [바르셀로나 통신 15] 2018.12.21.쇠날. 맑음 / 도시 이야기; 바르셀로나 옥영경 2019-01-09 1320
4824 [바르셀로나 통신 14] 2018.12.19.물날. 맑음 / 밥 옥영경 2019-01-08 840
4823 [바르셀로나 통신 13] 2018.11.18.해날. 흐림 옥영경 2018-12-20 914
4822 [바르셀로나 통신 12] 2018.11.10.흙날. 맑음 옥영경 2018-12-20 699
4821 오늘은 박상규 기자를 말하기로 함 옥영경 2018-12-09 794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