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시 아침수행(해건지기).

오전에는 책 몇 줄을 읽고, 책상 앞 일들을 한다.

11시 된장집 청소를 시작했다.

점심 뒤까지 이어져 세 시간을 넘기고 있었다.

으윽, 벽과 바닥의 곰팡이, 대야의 찌든 때, 하수구의 오래 묵은 때.

아마도 지난 1년 한 번도 되지 않았을 청소.

학교 아저씨가 묵는 방이 있긴 하나

다른 방과 욕실까지 손이 가기 어려웠을 것이다.

학교는 개인이 청소를 깔끔하게 하고 살기 지나치게 너른 공간이잖던가.

두고 간 휴지통에 쌓인 쓰레기가 고스란히 담겨있었다.

한국으로 돌아온 지 한참이나 된장집까지 손이 이르지 못하고 있었던.


그 사이 간장집 처마를 바치는, 흐느적거리던 기둥 넷이 치워지고 있었다.

어제 들어온 무범샘이 학교아저씨와 하는 작업이었다.

"벗겨, 말어?"

기둥으로 쓸 낙엽송 껍질을 어쩔까 하는 질문이었다.

그저 기둥이 세워지는 것만 반가워 그냥 두라 하다

그래도 이왕 하는 거 깔꿈하면 좋지.

껍질을 벗겨 매끈해진 기둥이 세워졌다.

"목수 4년차, 밥 벌어 먹을 만하시네!"


밥은 늘 귀하다.

밖에서 사람들이 들어왔다고 그리 달라질 산골 밥상도 아니나

점심으로 묵은김치찜과 부추전과 달걀말이를 냈고,

저녁으로 된장찌개와 돌나물, 파드득나물, 부추, 머위나물로 초고추장비빔밥,

그 위에 달걀후라이를 얹었다.

파전에 막걸리도 나왔더라.


저녁상을 물리고 산마을을 걷다.

사람들이 오면 다른 건 몰라도 이거 하고 싶다.

이렇게 걷는 시간이, 그것도 두메를 걷는 일은

다른 아무것도 더 필요치 않은 훌륭한 치유 일정이 된다.

그리고, 우리들이 충분히 서로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는 시간이기도

장하다, 살아내느라고, 그런 응원이 되기도 하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6614 165 계자 닷샛날, 2020. 1.16.나무날. 맑음 / ‘저 너머 누가 살길래’-마고산 옥영경 2020-01-28 2567
6613 7월 8일, 요구르트 아줌마 옥영경 2004-07-19 2567
6612 푸른누리 다녀오다 옥영경 2004-01-29 2566
6611 대동개발 주식회사 옥영경 2004-01-01 2566
6610 서울과 대구 출장기(3월 5-8일) 옥영경 2004-03-10 2559
6609 똥 푸던 날, 5월 6일 옥영경 2004-05-12 2557
6608 성현미샘 옥영경 2004-01-11 2538
6607 경복궁 대목수 조준형샘과 그 식구들 옥영경 2003-12-26 2512
6606 6월 6일, 미국에서 온 열 세 살 조성학 옥영경 2004-06-07 2496
6605 2019. 3.22.쇠날. 맑음 / 두 곳의 작업현장, 아침뜨樂과 햇발동 옥영경 2019-04-04 2489
6604 아이들이 들어왔습니다-38 계자 옥영경 2004-01-06 2485
6603 김기선샘과 이의선샘 옥영경 2003-12-10 2485
6602 장미상가 정수기 옥영경 2004-01-06 2484
6601 물꼬 사람들이 사는 집 옥영경 2003-12-20 2466
6600 122 계자 이튿날, 2007.12.31.달날. 또 눈 옥영경 2008-01-03 2451
6599 새금강비료공사, 5월 11일 불날 옥영경 2004-05-12 2436
6598 2019. 3. 3.해날. 흐림 옥영경 2019-04-04 2404
6597 장상욱님, 3월 12일 옥영경 2004-03-14 2394
6596 [바르셀로나 통신 3] 2018. 3. 2.쇠날. 흐림 / 사랑한, 사랑하는 그대에게 옥영경 2018-03-13 2372
6595 눈비산마을 가다 옥영경 2004-01-29 2357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