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절 99주년 기념식을 보았다.

젊은 친구가 영상으로 보여주었다.

문화정권이라 부를만했다. 힘차고 감동적이고 재밌었다.


영화 <말모이>를 보았다.

계몽적이나 보수적이지 않은.

그야말로 선언이 아니라 우리를 깨우치게 하는.

구구절절하지 않다. 단순한데, 퉁명스럽지 않게 말한다. 우직하다.

일제강점기 조선어학회 사람들 이야기.

마지막 자막에서 먹먹해지다.


‘한국어는 현존하는 3천 개의 언어 가운데 고유의 사전을 가지고 있는 단 20여 개의 언어 중 하나이며 

한국은 제2차 세계대전 후 독립한 식민지 국가들 중 거의 유일하게 자국의 언어를 온전히 회복한 나라이다. 

해방 후 사라진 줄 알았던 말모이 원고가 서울역 창고에서 발견됨으로써 ‘조선말 큰사전’이 탄생한다.’


아, 그렇게 지켜졌구나!

감독 각본 엄유나. <택시운전사>가 그의 시나리오였다.

평범한, 이름 없는 수많은 이들이 말을 모아 사전을 만들었다!

그리고 사람에 대한 애정이(사람 귀함) 그런 시나리오와 연출을 낳았을 것이다.

(영화적 장치에 대한 이야기들이며는 다른 자리에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834 2011.10.22.흙날. 비 옥영경 2011-10-31 1216
1833 152 계자 닷샛날, 2012. 8. 2.나무날. 흐리다 갠 뒤 소나기, 그리고 휘영청 달 옥영경 2012-08-04 1216
1832 3월 10일 나무날 흐림 옥영경 2005-03-13 1217
1831 119 계자 나흗날, 2007. 8. 3.물날. 맑음 옥영경 2007-08-07 1217
1830 2008. 3.15.흙날. 맑음 옥영경 2008-04-03 1217
1829 2008. 9.12.쇠날. 맑음 옥영경 2008-09-26 1217
1828 2011. 7.29.쇠날. 소나기 옥영경 2011-08-03 1217
1827 153 계자 닫는 날, 2012. 8.10.쇠날. 비 옥영경 2012-08-13 1217
1826 2005.11.20.해날.맑음 / 어른을 돌보는 아이들 옥영경 2005-11-22 1218
1825 2005.12.1.나무날.흐림 / 포항행 옥영경 2005-12-06 1218
1824 2005.12.12.달날.잠시 흩날리는 눈 / 마을 회의 옥영경 2005-12-16 1218
1823 2011. 2.12.흙날. 맑으나 바람 찬 옥영경 2011-02-26 1218
1822 2012. 6. 9.흙날. 갬 옥영경 2012-06-12 1218
1821 2009. 4.16.나무날. 흐림 옥영경 2009-04-25 1219
1820 2011. 9. 4.해날. 빗방울 옥영경 2011-09-10 1219
1819 2012. 4.26.나무날. 맑으나 태풍 같은 바람 옥영경 2012-04-30 1219
1818 2007. 4.13.쇠날. 맑다가 빗방울 옥영경 2007-04-24 1220
1817 2008. 3.18.불날. 흐려지는 오후 옥영경 2008-04-06 1220
1816 2008. 7.25.쇠날. 비 옥영경 2008-07-30 1220
1815 2011. 4.21.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1-05-02 1220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