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절 99주년 기념식을 보았다.

젊은 친구가 영상으로 보여주었다.

문화정권이라 부를만했다. 힘차고 감동적이고 재밌었다.


영화 <말모이>를 보았다.

계몽적이나 보수적이지 않은.

그야말로 선언이 아니라 우리를 깨우치게 하는.

구구절절하지 않다. 단순한데, 퉁명스럽지 않게 말한다. 우직하다.

일제강점기 조선어학회 사람들 이야기.

마지막 자막에서 먹먹해지다.


‘한국어는 현존하는 3천 개의 언어 가운데 고유의 사전을 가지고 있는 단 20여 개의 언어 중 하나이며 

한국은 제2차 세계대전 후 독립한 식민지 국가들 중 거의 유일하게 자국의 언어를 온전히 회복한 나라이다. 

해방 후 사라진 줄 알았던 말모이 원고가 서울역 창고에서 발견됨으로써 ‘조선말 큰사전’이 탄생한다.’


아, 그렇게 지켜졌구나!

감독 각본 엄유나. <택시운전사>가 그의 시나리오였다.

평범한, 이름 없는 수많은 이들이 말을 모아 사전을 만들었다!

그리고 사람에 대한 애정이(사람 귀함) 그런 시나리오와 연출을 낳았을 것이다.

(영화적 장치에 대한 이야기들이며는 다른 자리에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614 2006.9.3.해날. 맑음 / 가을학기 햇발동 첫 밤 옥영경 2006-09-14 1233
1613 2006. 9.29.-10. 8. / 한가위방학 옥영경 2006-09-29 1233
1612 2007. 5.16.물날. 비 옥영경 2007-05-31 1233
1611 2008. 4.17.나무날. 빗방울 오다가다 옥영경 2008-05-04 1233
1610 2008. 8.27.물날. 맑음 옥영경 2008-09-15 1233
1609 2013. 5. 2.나무날. 먹구름 가끔 지나고 옥영경 2013-05-08 1233
1608 5월 21일 흙날 흐리더니 개데요 옥영경 2005-05-27 1234
1607 2006.12.18.달날. 갬 옥영경 2006-12-25 1234
1606 2008. 6.20.쇠날. 비 옥영경 2008-07-06 1234
1605 2008. 7.13.해날. 맑음 옥영경 2008-07-27 1234
1604 2008.11.27.나무날. 비 옥영경 2008-12-21 1234
1603 2009. 2.19.나무날. 흐리더니 눈, 그것도 묻힐 만큼 옥영경 2009-03-07 1234
1602 2011. 4.30.흙날. 비 옥영경 2011-05-11 1234
1601 5월 25일 물날 맑음 옥영경 2005-05-27 1235
1600 7월 25일 달날 더위 가운데 옥영경 2005-07-31 1235
1599 9월 21일 물날 비 옥영경 2005-09-24 1235
1598 2006.1.1.해날 / 물구나무서서 보냈던 49일 - 둘 옥영경 2006-01-03 1235
1597 2006.11.23.나무날. 아주 잠깐 진눈깨비 지나고 옥영경 2006-11-24 1235
1596 2008. 4.15.불날. 맑음 옥영경 2008-05-04 1235
1595 2008.10. 5.해날. 흐리다 그예 비 옥영경 2008-10-19 1235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