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절 99주년 기념식을 보았다.

젊은 친구가 영상으로 보여주었다.

문화정권이라 부를만했다. 힘차고 감동적이고 재밌었다.


영화 <말모이>를 보았다.

계몽적이나 보수적이지 않은.

그야말로 선언이 아니라 우리를 깨우치게 하는.

구구절절하지 않다. 단순한데, 퉁명스럽지 않게 말한다. 우직하다.

일제강점기 조선어학회 사람들 이야기.

마지막 자막에서 먹먹해지다.


‘한국어는 현존하는 3천 개의 언어 가운데 고유의 사전을 가지고 있는 단 20여 개의 언어 중 하나이며 

한국은 제2차 세계대전 후 독립한 식민지 국가들 중 거의 유일하게 자국의 언어를 온전히 회복한 나라이다. 

해방 후 사라진 줄 알았던 말모이 원고가 서울역 창고에서 발견됨으로써 ‘조선말 큰사전’이 탄생한다.’


아, 그렇게 지켜졌구나!

감독 각본 엄유나. <택시운전사>가 그의 시나리오였다.

평범한, 이름 없는 수많은 이들이 말을 모아 사전을 만들었다!

그리고 사람에 대한 애정이(사람 귀함) 그런 시나리오와 연출을 낳았을 것이다.

(영화적 장치에 대한 이야기들이며는 다른 자리에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1614 2019.10. 4.쇠날. 맑음 / 여민락교향시 초연 옥영경 2019-11-24 538
1613 2019.10. 5.흙날. 흐림 옥영경 2019-11-24 480
1612 2019.10. 6.해날. 잠깐 해 / 그대에게 옥영경 2019-11-25 1481
1611 2019.10. 7.달날. 비 옥영경 2019-11-25 507
1610 2019.10. 8.불날. 맑음 / 기본소득, 그리고 최저임금 옥영경 2019-11-27 541
1609 2019.10. 9.물날. 맑음 옥영경 2019-11-27 727
1608 2019.10.10.나무날. 맑음 / 나는 제습제입니다! 옥영경 2019-11-27 594
1607 2019.10.11.쇠날. 맑음 옥영경 2019-11-27 574
1606 2019.10.12.흙날. 맑음 / 돌격대 옥영경 2019-11-27 730
1605 2019.10.13.해날. 맑음 / 돌격대 2탄 옥영경 2019-11-27 725
1604 2019.10.14.달날. 흐림 옥영경 2019-11-27 571
1603 2019.10.15.불날. 잠깐 볕. 흐리고 기온 낮고 바람 불고 옥영경 2019-11-27 534
1602 2019.10.16.물날. 볕 / 우리 모두 나이를 먹는다 옥영경 2019-12-05 535
1601 2019.10.17.나무날. 흐림 / 주목 세 그루 옥영경 2019-12-05 457
1600 2019.10.18.쇠날. 흐리다 비 옥영경 2019-12-05 477
1599 10월 물꼬스테이 여는 날, 2019.10.19.흙날. 맑음 옥영경 2019-12-05 513
1598 10월 물꼬스테이 닫는 날, 2019.10.20.해날. 맑음 / 아고라 잔디 30평을 심은 그 뒤! 옥영경 2019-12-05 501
1597 2019.10.21.달날. 맑음 / 오늘은 오늘치의 삶을 살아냈고 옥영경 2019-12-05 615
1596 2019.10.22.불날. 흐림 / 몸에 병 없기를 바라지 말라... 옥영경 2019-12-05 676
1595 2019.10.23.물날. 빗방울 셋 옥영경 2019-12-10 524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