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절 99주년 기념식을 보았다.

젊은 친구가 영상으로 보여주었다.

문화정권이라 부를만했다. 힘차고 감동적이고 재밌었다.


영화 <말모이>를 보았다.

계몽적이나 보수적이지 않은.

그야말로 선언이 아니라 우리를 깨우치게 하는.

구구절절하지 않다. 단순한데, 퉁명스럽지 않게 말한다. 우직하다.

일제강점기 조선어학회 사람들 이야기.

마지막 자막에서 먹먹해지다.


‘한국어는 현존하는 3천 개의 언어 가운데 고유의 사전을 가지고 있는 단 20여 개의 언어 중 하나이며 

한국은 제2차 세계대전 후 독립한 식민지 국가들 중 거의 유일하게 자국의 언어를 온전히 회복한 나라이다. 

해방 후 사라진 줄 알았던 말모이 원고가 서울역 창고에서 발견됨으로써 ‘조선말 큰사전’이 탄생한다.’


아, 그렇게 지켜졌구나!

감독 각본 엄유나. <택시운전사>가 그의 시나리오였다.

평범한, 이름 없는 수많은 이들이 말을 모아 사전을 만들었다!

그리고 사람에 대한 애정이(사람 귀함) 그런 시나리오와 연출을 낳았을 것이다.

(영화적 장치에 대한 이야기들이며는 다른 자리에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4974 165 계자 닫는 날, 2020. 1. 17.쇠날. 맑음 옥영경 2020-01-28 672
4973 2015. 4. 5.해날. 부슬비 옥영경 2015-04-29 673
4972 2015. 8.25.불날. 비 옥영경 2015-09-16 673
4971 2019. 7. 1.달날. 아주 잠깐 빗방울 두엇 / 풀매기 원정 옥영경 2019-08-14 673
4970 2013.10.15.불날. 흐리고 비 좀 옥영경 2013-11-06 674
4969 2015. 4.23.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5-05-30 674
4968 2015. 3. 2.달날. 흐림 옥영경 2015-03-29 675
4967 2015. 5.11.달날. 흐릿한 하늘, 저녁, 먼 태풍, 그리고 비 옥영경 2015-06-25 675
4966 2015. 6. 2.불날. 맑음 옥영경 2015-07-08 675
4965 2015.10. 3.흙날. 맑음 옥영경 2015-10-31 675
4964 2013.12.20.쇠날. 해도 띄엄띄엄 가끔 눈도 날리고 옥영경 2013-12-31 676
4963 2015. 1.20~21.불~물날. 맑고, 이튿날 흐리다 비 옥영경 2015-02-23 676
4962 2015. 5.15.쇠날. 흐림 옥영경 2015-07-01 676
4961 2015. 7.10.쇠날. 흐린 아침, 갠 하루 / 달골 공사 첫 삽 옥영경 2015-07-31 676
4960 2015. 9.10.나무날. 흐림 옥영경 2015-10-07 676
4959 2015. 9.11.쇠날. 구름 꼈다 오후 빗방울 옥영경 2015-10-07 676
4958 2015.10.28.물날. 맑음 옥영경 2015-11-23 676
4957 2015.10.30.쇠날. 맑음 옥영경 2015-11-23 676
4956 2019. 5.16.나무날. 맑음 / 버들치 마을 옥영경 2019-07-19 676
4955 산마을 책방➀ 닫는 날, 2019. 8.18.해날. 맑음 옥영경 2019-09-23 676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