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절 99주년 기념식을 보았다.

젊은 친구가 영상으로 보여주었다.

문화정권이라 부를만했다. 힘차고 감동적이고 재밌었다.


영화 <말모이>를 보았다.

계몽적이나 보수적이지 않은.

그야말로 선언이 아니라 우리를 깨우치게 하는.

구구절절하지 않다. 단순한데, 퉁명스럽지 않게 말한다. 우직하다.

일제강점기 조선어학회 사람들 이야기.

마지막 자막에서 먹먹해지다.


‘한국어는 현존하는 3천 개의 언어 가운데 고유의 사전을 가지고 있는 단 20여 개의 언어 중 하나이며 

한국은 제2차 세계대전 후 독립한 식민지 국가들 중 거의 유일하게 자국의 언어를 온전히 회복한 나라이다. 

해방 후 사라진 줄 알았던 말모이 원고가 서울역 창고에서 발견됨으로써 ‘조선말 큰사전’이 탄생한다.’


아, 그렇게 지켜졌구나!

감독 각본 엄유나. <택시운전사>가 그의 시나리오였다.

평범한, 이름 없는 수많은 이들이 말을 모아 사전을 만들었다!

그리고 사람에 대한 애정이(사람 귀함) 그런 시나리오와 연출을 낳았을 것이다.

(영화적 장치에 대한 이야기들이며는 다른 자리에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6494 2023. 2. 2.나무날. 흐린 아침 / 경옥고 나흘째 옥영경 2023-03-04 324
6493 2023. 3. 5.해날. 맑음 옥영경 2023-03-26 324
6492 2020. 5.26.불날. 맑음 옥영경 2020-08-12 325
6491 2020. 6.11.나무날. 아침비 내리다 갬 옥영경 2020-08-13 325
6490 2020. 6.17.물날. 살짝 흐린 옥영경 2020-08-13 325
6489 2022. 2.13.해날. 흐린가 했더니 미세먼지라는 옥영경 2022-03-24 325
6488 2022. 6.30.나무날. 비 온다더니 / <다정한 것이 살아남는다> 옥영경 2022-07-27 325
6487 2022. 9.28.물날. 안개인 줄, 미세먼지라는 옥영경 2022-10-13 325
6486 2022.12. 7.물날. 흐림 옥영경 2022-12-29 325
6485 2023. 4. 2.해날. 맑음 / 푸코주의자 옥영경 2023-05-01 325
6484 2023. 3. 3.쇠날. 맑음 옥영경 2023-03-26 325
6483 2020. 5. 7.나무날. 맑음 옥영경 2020-08-07 326
6482 2020. 5.22.쇠날. 맑다가 빗방울 / 30여년 건너온 편지 옥영경 2020-08-12 326
6481 2020. 5.31.해날. 한밤 도둑비 옥영경 2020-08-13 326
6480 2020. 7. 9.나무날. 뿌연 해 옥영경 2020-08-13 326
6479 2021. 4. 8.나무날. 맑음 옥영경 2021-05-06 326
6478 2022. 3. 7.달날. 맑음 옥영경 2022-04-04 326
6477 2022. 7. 8.쇠날. 흐림 옥영경 2022-07-29 326
6476 2022. 7.18.달날. 비 옥영경 2022-08-05 326
6475 2022. 7.24.해날. 잔비 옥영경 2022-08-06 326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