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절 99주년 기념식을 보았다.

젊은 친구가 영상으로 보여주었다.

문화정권이라 부를만했다. 힘차고 감동적이고 재밌었다.


영화 <말모이>를 보았다.

계몽적이나 보수적이지 않은.

그야말로 선언이 아니라 우리를 깨우치게 하는.

구구절절하지 않다. 단순한데, 퉁명스럽지 않게 말한다. 우직하다.

일제강점기 조선어학회 사람들 이야기.

마지막 자막에서 먹먹해지다.


‘한국어는 현존하는 3천 개의 언어 가운데 고유의 사전을 가지고 있는 단 20여 개의 언어 중 하나이며 

한국은 제2차 세계대전 후 독립한 식민지 국가들 중 거의 유일하게 자국의 언어를 온전히 회복한 나라이다. 

해방 후 사라진 줄 알았던 말모이 원고가 서울역 창고에서 발견됨으로써 ‘조선말 큰사전’이 탄생한다.’


아, 그렇게 지켜졌구나!

감독 각본 엄유나. <택시운전사>가 그의 시나리오였다.

평범한, 이름 없는 수많은 이들이 말을 모아 사전을 만들었다!

그리고 사람에 대한 애정이(사람 귀함) 그런 시나리오와 연출을 낳았을 것이다.

(영화적 장치에 대한 이야기들이며는 다른 자리에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4854 2015. 5. 6.물날. 맑다 구름 조금 옥영경 2015-06-22 679
4853 2015. 5.27.물날. 맑음 옥영경 2015-07-08 679
4852 2015. 6. 9.불날. 흐린 듯하다 금세 또 볕 뜨거운 옥영경 2015-07-14 679
4851 2015. 8.17.달날. 맑음 옥영경 2015-09-03 679
4850 2015. 9.18~19.쇠~흙날. 회색구름 다녀가고 옥영경 2015-10-16 679
4849 2015.10. 8.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5-11-01 679
4848 2015.10.27.불날. 비 옥영경 2015-11-23 679
4847 2016. 3. 9.물날. 흐림 옥영경 2016-03-29 679
4846 2014. 4.24.나무날. 흐려간 오후, 그리고 몇 방울의 비 옥영경 2014-05-23 680
4845 2014. 6. 5.나무날. 흐림 옥영경 2014-06-24 680
4844 2014. 6.19.나무날. 흐림 옥영경 2014-07-04 680
4843 2014. 9.30.불날. 흐리다 빗방울 몇 옥영경 2014-10-24 680
4842 2014.10. 4.흙날. 가끔 구름 옥영경 2014-10-28 680
4841 2014.10.22.~23.물~나무날. 비 내리다 갬 옥영경 2014-10-31 680
4840 2015. 1.15.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5-02-13 680
4839 2015. 2. 1.해날. 바람 차고, 맑았다 옥영경 2015-02-27 680
4838 2015. 2. 5.나무날. 구름 옥영경 2015-03-10 680
4837 2월 빈들 여는 날, 2015. 2.27.쇠날. 맑음 옥영경 2015-03-20 680
4836 2015. 6. 3.물날. 맑음 옥영경 2015-07-08 680
4835 2015. 6.25.나무날. 비 옥영경 2015-07-24 680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