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절 99주년 기념식을 보았다.

젊은 친구가 영상으로 보여주었다.

문화정권이라 부를만했다. 힘차고 감동적이고 재밌었다.


영화 <말모이>를 보았다.

계몽적이나 보수적이지 않은.

그야말로 선언이 아니라 우리를 깨우치게 하는.

구구절절하지 않다. 단순한데, 퉁명스럽지 않게 말한다. 우직하다.

일제강점기 조선어학회 사람들 이야기.

마지막 자막에서 먹먹해지다.


‘한국어는 현존하는 3천 개의 언어 가운데 고유의 사전을 가지고 있는 단 20여 개의 언어 중 하나이며 

한국은 제2차 세계대전 후 독립한 식민지 국가들 중 거의 유일하게 자국의 언어를 온전히 회복한 나라이다. 

해방 후 사라진 줄 알았던 말모이 원고가 서울역 창고에서 발견됨으로써 ‘조선말 큰사전’이 탄생한다.’


아, 그렇게 지켜졌구나!

감독 각본 엄유나. <택시운전사>가 그의 시나리오였다.

평범한, 이름 없는 수많은 이들이 말을 모아 사전을 만들었다!

그리고 사람에 대한 애정이(사람 귀함) 그런 시나리오와 연출을 낳았을 것이다.

(영화적 장치에 대한 이야기들이며는 다른 자리에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6534 2023.12.12.불날. 비 개고 흐린 옥영경 2023-12-24 345
6533 2023.12.11.달날. 비 옥영경 2023-12-24 353
6532 2023.12.10.해날. 맑음 옥영경 2023-12-21 339
6531 2023.12. 9.흙날. 흐림 옥영경 2023-12-21 367
6530 2023.12. 8.쇠날. 봄바람 부는 저녁 같은 옥영경 2023-12-21 379
6529 2023.12. 7.나무날. 흐림 옥영경 2023-12-20 365
6528 2023.12. 6.물날. 맑다가 저녁 비 옥영경 2023-12-20 391
6527 2023.12. 5.불날. 어둡지 않게 흐린 옥영경 2023-12-20 355
6526 2023.12. 4.달날. 옅은 해 / ‘삼거리집’ 옥영경 2023-12-13 414
6525 2023.12. 3.해날. 맑음 옥영경 2023-12-13 367
6524 2023.12. 2.흙날. 보슬비 내린 아침 옥영경 2023-12-13 390
6523 2023.12. 1.쇠날. 맑음 옥영경 2023-12-13 367
6522 2023.11.30.나무날. 맑음 옥영경 2023-12-12 435
6521 2023.11.29.물날. 맑음 옥영경 2023-12-12 364
6520 2023.11.28.불날. 맑음 옥영경 2023-12-12 344
6519 2023.11.27.달날. 비 내리다 갬 옥영경 2023-12-12 379
6518 2023.11.26.해날. 저녁비 / 김장 이튿날 옥영경 2023-12-05 398
6517 2023.11.25.흙날. 맑음 / 김장 첫날 옥영경 2023-12-05 480
6516 2023.11.18.흙날 ~ 11.24.쇠날 옥영경 2023-12-04 403
6515 2023.11.17.쇠날. 첫눈 옥영경 2023-11-25 464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