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절 99주년 기념식을 보았다.

젊은 친구가 영상으로 보여주었다.

문화정권이라 부를만했다. 힘차고 감동적이고 재밌었다.


영화 <말모이>를 보았다.

계몽적이나 보수적이지 않은.

그야말로 선언이 아니라 우리를 깨우치게 하는.

구구절절하지 않다. 단순한데, 퉁명스럽지 않게 말한다. 우직하다.

일제강점기 조선어학회 사람들 이야기.

마지막 자막에서 먹먹해지다.


‘한국어는 현존하는 3천 개의 언어 가운데 고유의 사전을 가지고 있는 단 20여 개의 언어 중 하나이며 

한국은 제2차 세계대전 후 독립한 식민지 국가들 중 거의 유일하게 자국의 언어를 온전히 회복한 나라이다. 

해방 후 사라진 줄 알았던 말모이 원고가 서울역 창고에서 발견됨으로써 ‘조선말 큰사전’이 탄생한다.’


아, 그렇게 지켜졌구나!

감독 각본 엄유나. <택시운전사>가 그의 시나리오였다.

평범한, 이름 없는 수많은 이들이 말을 모아 사전을 만들었다!

그리고 사람에 대한 애정이(사람 귀함) 그런 시나리오와 연출을 낳았을 것이다.

(영화적 장치에 대한 이야기들이며는 다른 자리에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6514 마지막 합격자 발표 2월 20일 쇠날 옥영경 2004-02-23 2066
6513 품앗이 여은주샘 옥영경 2004-02-20 2066
6512 98 계자 이틀째, 8월 17일 불날 비 오락가락 옥영경 2004-08-18 2062
6511 39 계자 열 나흘째 2월 8일 옥영경 2004-02-11 2060
6510 6월 7일주, 우리 아이들이 한 일 옥영경 2004-06-11 2057
6509 39 계자 이틀째 1월 27일 불날 옥영경 2004-01-30 2056
6508 6월 6일, 찔레꽃 방학을 끝내고 옥영경 2004-06-07 2055
6507 시카고에서 여쭙는 안부 옥영경 2007-07-19 2054
6506 고기 또 먹던 한 날, 5월 16일 옥영경 2004-05-26 2049
6505 8월 1-4일, 배혜선님 머물다 옥영경 2004-08-09 2047
6504 124 계자 이튿날, 2008. 1.14.달날. 꾸물꾸물 잠깐 눈방울 옥영경 2008-02-18 2038
6503 2011. 6.14.불날. 맑음 / 보식 2일째 옥영경 2011-06-18 2036
6502 4월 10-11일, 밥알모임 옥영경 2004-04-13 2033
6501 39 계자 닷새째 1월 30일 옥영경 2004-02-01 2027
6500 8월 23일, 류기락샘 출국 전날 옥영경 2004-08-25 2021
6499 일본에서 온 유선샘, 2월 23-28일 옥영경 2004-02-24 2021
6498 124 계자 사흗날, 2008. 1.15.불날. 맑음 옥영경 2008-02-18 2018
6497 39 계자 아흐레째 2월 3일 옥영경 2004-02-04 2015
6496 39 계자 나흘째 1월 29일 옥영경 2004-01-31 2012
6495 2009. 7.13.달날. 지난 밤 큰비 다녀가고, 두어 차례 더 옥영경 2009-07-30 2010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