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절 99주년 기념식을 보았다.

젊은 친구가 영상으로 보여주었다.

문화정권이라 부를만했다. 힘차고 감동적이고 재밌었다.


영화 <말모이>를 보았다.

계몽적이나 보수적이지 않은.

그야말로 선언이 아니라 우리를 깨우치게 하는.

구구절절하지 않다. 단순한데, 퉁명스럽지 않게 말한다. 우직하다.

일제강점기 조선어학회 사람들 이야기.

마지막 자막에서 먹먹해지다.


‘한국어는 현존하는 3천 개의 언어 가운데 고유의 사전을 가지고 있는 단 20여 개의 언어 중 하나이며 

한국은 제2차 세계대전 후 독립한 식민지 국가들 중 거의 유일하게 자국의 언어를 온전히 회복한 나라이다. 

해방 후 사라진 줄 알았던 말모이 원고가 서울역 창고에서 발견됨으로써 ‘조선말 큰사전’이 탄생한다.’


아, 그렇게 지켜졌구나!

감독 각본 엄유나. <택시운전사>가 그의 시나리오였다.

평범한, 이름 없는 수많은 이들이 말을 모아 사전을 만들었다!

그리고 사람에 대한 애정이(사람 귀함) 그런 시나리오와 연출을 낳았을 것이다.

(영화적 장치에 대한 이야기들이며는 다른 자리에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4858 138 계자 나흗날, 2010. 7.28.물날. 비 추적이던 아침 지나고 옥영경 2010-08-06 1225
4857 5월 8일 해날 날도 좋지요 옥영경 2005-05-14 1225
4856 10월 21일 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4-10-28 1225
4855 152 계자 닫는 날, 2012. 8. 3.쇠날. 맑음 옥영경 2012-08-05 1224
4854 2012. 4.26.나무날. 맑으나 태풍 같은 바람 옥영경 2012-04-30 1224
4853 2012. 3.19.달날. 덥기까지 한 봄날 / 류옥하다 옥영경 2012-04-07 1224
4852 2011.10. 4.불날. 맑음 옥영경 2011-10-14 1224
4851 147 계자 이튿날, 2011. 8.15.달날. 흐림 옥영경 2011-09-01 1224
4850 143 계자 닷샛날, 2011. 1.13.나무날. 맑음 / 노박산 옥영경 2011-01-18 1224
4849 2009.11.19.나무날. 맑음 / 단식 첫날 옥영경 2009-11-27 1224
4848 2009. 4.16.나무날. 흐림 옥영경 2009-04-25 1224
4847 2008. 9. 5. 쇠날. 맑음 옥영경 2008-09-21 1224
4846 2008. 7.25.쇠날. 비 옥영경 2008-07-30 1224
4845 12월 26일 해날 맑음 옥영경 2005-01-03 1224
4844 2011.11. 2.물날. 흐림 옥영경 2011-11-17 1223
4843 2011. 9. 4.해날. 빗방울 옥영경 2011-09-10 1223
4842 2011. 7.20.물날. 내리 폭염 옥영경 2011-08-01 1223
4841 2011. 4.21.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1-05-02 1223
4840 106 계자 가운데 다녀간 손님들 옥영경 2005-09-07 1223
4839 2012. 9. 7.쇠날. 종일 흐리다 밤 9:10 비 옥영경 2012-10-01 1222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