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밤 늦도록 6월 출간 예정인 책의 교정지를 들여다보고,

다시 책상 앞에서 그것을 마주하며 아침을 연다.


어제에 이어 욕실 타일을 손보다.

흙집 씻는 곳 여자 쪽 터진 벽을 하얀샘이 와서 말짱하게 붙였다.

흙벽 긁어낸 자리에 보온재를 넣고 시멘트로 마감하고 타일을 붙이고.

다른 벽면 수도꼭지 둘레로 깨진 벽면이 또 있었다.

꼭지 들어 올리며 손 베기 좋은 위치라.

실리콘을 쏘거나 하여 날카로운 부분만 없앨 수도 있을 것을

하는 결에 타일을 잘라 붙이다.

음... 그런데, 창문 쪽에도 또 있는데...

이 산골 낡은 살림이 그러하다...


한 아이(라고 하지만 청년) 상담.

우리가 결코 감당하지 못할 고통을 지난다 해도 그것이 결코 영원하지는 않다.

좋은 기분 또한 그러하듯이.

아무리 좋아하고 아무리 원해도.

고통에 대한 붓다의 가르침도 그랬다.

제 아무리 고통스러워도 반드시 사라진다.

그렇게 사라지는데도 계속 통증을 느끼는 것은

마치 그것을 실체라고 느끼는 착각에서 비롯된다.

아픈 게 아니라 우리 머리 안에서 고통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물론 그 고통은 몇 년간 지속되기도 하고,

그래서 그것에서 벗어나기 위해 우리는 스스로 목숨을 버리기까지도 한다.

그러나 그 고통 자체가 실재하지 않음을 안다면!

고통 또한 무상이라.

고통을 어떻게 마주할 수 있는지, 혹은 뛰어넘을 수 있는지

물꼬에서 하는 몸다루기를 전하다.

그래 보아야 말이지, 그건 잊히기 쉽다.

조만간 물꼬에 와서 몸으로 수행키로 한다.


밤, 다시 교정지랑 마주하다.

낼 서울역에서 교정지를 넘기기로 한다.

출판사 측에서 마지막 확인을 하고 저자의 OK 사인이 최종 떨어지면

인쇄기가 돌아가리.

마침 연어의 날 준비위 반짝모임이 낼 저녁 7시 서울역에서 있네.

그전 기차가 6시 도착,

편집자랑 드디어 얼굴을 보겠고나.

책이 되려는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6614 계자 세쨋날 1월 7일 옥영경 2004-01-08 2114
6613 계자 네쨋날 1월 8일 옥영경 2004-01-09 2109
6612 운동장이 평평해졌어요 옥영경 2004-01-09 2197
6611 계자 다섯쨋날 1월 9일 옥영경 2004-01-10 2263
6610 계자 여섯쨋날 1월 10일 옥영경 2004-01-11 2238
6609 성현미샘 옥영경 2004-01-11 2549
6608 계자 일곱쨋날 1월 11일 옥영경 2004-01-12 2174
6607 계자 여덟쨋날 1월 12일 달날 옥영경 2004-01-13 1838
6606 계자 아홉쨋날 1월 13일 불날 옥영경 2004-01-15 1800
6605 계자 열쨋날 1월 14일 물날 옥영경 2004-01-16 2308
6604 계자 열 하루째 1월 15일 나무날 옥영경 2004-01-16 2167
6603 계자 열 이틀째 1월 16일 쇠날 옥영경 2004-01-17 2333
6602 계자 열 사흘째 1월 17일 흙날 옥영경 2004-01-28 1802
6601 계자 열 나흘째 1월 18일 해날 눈싸라기 옥영경 2004-01-28 1921
6600 38 계자 갈무리날 옥영경 2004-01-28 1683
6599 새해, 앉은 자리가 아랫목 같으소서 옥영경 2004-01-28 1810
6598 푸른누리 다녀오다 옥영경 2004-01-29 2580
6597 눈비산마을 가다 옥영경 2004-01-29 2373
6596 39 계자 첫날 1월 26일 달날 옥영경 2004-01-29 1796
6595 39 계자 이틀째 1월 27일 불날 옥영경 2004-01-30 2056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