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그야말로 세상과 교통하는 날이었네.

전화도 문자도 먼 이곳 아니던가.

메일이며도 밤에 몰아서 답하거나, 여러 날이 걸리거나.

물꼬의 답은 문자조차 우표 붙여 편지 보내는 수준이라고들 한다.

이제야 연어의 날에 모실 어른들께 말을 넣다.

해마다 6월에 함께한 시인 이생진 선생님, “밥 먹으러 가야지요.” 하셨다.

번번이 시낭송 행사로 오셨다.

이번에는 여유 있게 거닐고 시를 쓰시겠다.

매번 모였던 선배들께도 연락했다.


오후에는 햇발동 앞에 백일홍을 심었다.

인근 도시의 농원에서 후원한 꽃들 가운데 일부이다.

거기 있으면 거기 일을 하는 이곳이라.

마침 햇발동 앞이라고 꽃 심은 뒤 베란다 창틀을 청소한다.

거실 2층도 가서.

연어의 날 앞두고 한번 해야지 하던 일이었다.

다시 손대기 쉽지 않을 것이고, 놓치기도 쉬울 테지.

걸레 잡은 결에 빡빡 문지른다.


광나무도 심었다! 아침뜨樂의 아가미길 가운데였다.

들꽃 씨를 뿌릴까 했던 자리였다.

그걸 사이에 두고 걸어 들어가고 걸어 나올.

그런데,

인근 도시에서 거리조경을 하며 기존에 있던 사철나무(광나무)를 패 낸다는 소식이 왔다.

마침 그 일을 준한샘네가 맡았네.

물꼬가 찜했다.

낮 3:30 트럭에 한가득 실려 왔다.

아침뜨樂 측백 사이 울타리로 다 심어도 되겠다만

심는 일도 심는 일이고

옮겨오느라 몸살 난 이들이 자리 잡기도 쉽잖으리.

실한 것들을 고르고, 다듬고, 구멍을 파고, 심고, 꾹꾹 노르고.

하얀샘도 건너와 거들었다.

같은 하는 일이 즐거웠다.

골짜기에 웃음이 흩어졌다,

딱히 농을 잘하는 이가 있는 것도 아닌데.

기꺼이 낸 마음들이 만들어낸 유쾌한 풍경이었네.

“내내 물꼬에 와서 일하고 싶어요.”

다들 그러셨네.

하기야 이윤을 남겨야 하는 일도 아니고,

마음을 내서 하는 일이란 게 다른 일인들 그렇지 않겠는지.

좋을 밖에.


준한샘이 허드렛나무를 실어 내려와 산 한 쪽으로 부려주고 나갔다.

끝이 매운 사람이었다. 그렇게 또 배웠다.

‘마치 아무 일도 없던 것처럼!’, 물꼬에서 날마다 익히는 일일지라.

사이집 둘레 나무들 물까지 주고 나니 어둑해졌다.

별을 지고 마을로 내려왔더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6614 계자 세쨋날 1월 7일 옥영경 2004-01-08 2120
6613 계자 네쨋날 1월 8일 옥영경 2004-01-09 2113
6612 운동장이 평평해졌어요 옥영경 2004-01-09 2203
6611 계자 다섯쨋날 1월 9일 옥영경 2004-01-10 2268
6610 계자 여섯쨋날 1월 10일 옥영경 2004-01-11 2242
6609 성현미샘 옥영경 2004-01-11 2552
6608 계자 일곱쨋날 1월 11일 옥영경 2004-01-12 2178
6607 계자 여덟쨋날 1월 12일 달날 옥영경 2004-01-13 1842
6606 계자 아홉쨋날 1월 13일 불날 옥영경 2004-01-15 1802
6605 계자 열쨋날 1월 14일 물날 옥영경 2004-01-16 2311
6604 계자 열 하루째 1월 15일 나무날 옥영경 2004-01-16 2171
6603 계자 열 이틀째 1월 16일 쇠날 옥영경 2004-01-17 2338
6602 계자 열 사흘째 1월 17일 흙날 옥영경 2004-01-28 1804
6601 계자 열 나흘째 1월 18일 해날 눈싸라기 옥영경 2004-01-28 1922
6600 38 계자 갈무리날 옥영경 2004-01-28 1683
6599 새해, 앉은 자리가 아랫목 같으소서 옥영경 2004-01-28 1813
6598 푸른누리 다녀오다 옥영경 2004-01-29 2585
6597 눈비산마을 가다 옥영경 2004-01-29 2376
6596 39 계자 첫날 1월 26일 달날 옥영경 2004-01-29 1797
6595 39 계자 이틀째 1월 27일 불날 옥영경 2004-01-30 2062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