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3.10.불날. 비

조회 수 496 추천 수 0 2020.04.12 04:11:32


 

가마솥방 창 아래 꽃밭에선

수선화가 비가 내려도 벙글고 있다.

엊저녁부터 내리던 비는

아침에 부슬거리다가 오후에는 비바람이 되었다.

바람을 타고 이 밤도 내리고 있는.

 

한동안 좀 게을러진 몸이었다가...

이렇게 멧골에 비라도 내리면 그게 더 하다가...

수행을 하고 씻고!

내 시작은 언제나 수행이다.

그러면 힘이 나고,

그래서 또 하는 수행이다.

 

엊저녁에 출판사로부터 

이번 책(<모든 사람의 인생에는 저마다의 안나푸르나가 있다>)의 표지시안이 왔다.

썼던가, 이번 책의 디자이너가 내가 95년 전후께 청담동에서 글쓰기를 가르치던 제자였다고?

그가 공을 들여 세 가지로 그려 보냈다.

몇 사람에게 의견을 물으니 모두 1안이 낫다고. 내 마음도.

이제 마지막 교정본이 넘어오고 내 확인절차를 거치면 인쇄 준비 끝.

코로나 불황이 조금 나아지면 내기로 어제 출판사와 협의.

 

김장독에서 김치를 꺼내왔다.

하다샘과 학교아저씨와 같이 김치를 짜고 비닐에 넣고,

김치통에도 얼마쯤 담았다.

비닐의 것들은 달골 햇발동 냉장고의 냉동실로,

통에 넣은 것은 한동안 먹을 수 있도록 가마솥방 부엌 냉장고에.

다음 김장 때까지 묵은지가 할 일이 많다.

그것은 여름계자에서도 훌륭한 먹을거리가 될.

겨울을 여미는 시간이었다.

 

‘...될 뻔하였던 무언가가 되지 못한 사람들이, 갈 뻔하였던 곳 대신 오게 된 곳에 모여

 하고 싶은 말 대신 해야 되는 말을 나누며 살아갑니다

 일어날 뻔했던 일들은 객관식 문제의 지워진 보기들처럼 그들 곁을 스쳐지나갔습니다

 그런 것들이 보이는 나는, 아무런 말도 하지 않습니다.’

짧은 단편을 쓰는 장주원의 글이었다.(원문과 달리 읽기 편하시라고 행갈이)

식구가 물어왔더랬다.

장주원 알아요?”

몰랐다.

sns에서 아주 유명한, 초단편을 쓰는 작가라고.

재밌고, 생각게도 하는 작가랄까.

찾아보니 2014년에 낸 그의 책에는 이런 글도 있었다.

책을 아직 읽은 건 아니고 인터넷에서 본.

 

간만 가려다가(* 이 글 역시 읽기 편하도록 본문과 달리 행갈이)

 

  늘 간만 가라는 어머니 말씀 받들어 키도 딱 간으로 커 

교실에서 간에 앉아 앞뒤의 어이떠이들과 섞이지 않고 공부에 집해 얻은 상위 성적으로 앙대학에 진학한 뒤 

이십대 반에 군대에 다녀와 견기업에 취직하고 삼십대 반에 매로 만난 여자와 결혼해 

아들 건이를 낳아 한 집안의 심이라는 막한 사명 아래 일 독자처럼 살다 보니 어느새 후한 년이 되었는데 

한 덩치의 아내는 이제 일 나갈 때 마조차 않고 

아들은 꾸도 힘든 학생이라 앞으로 갈 길이 첩첩산이요 젊은 날의 꿈은 오리무중이지만 

그래도 소한 가족을 위해 연무휴 죽어라 일해 마침내 산층이 되었노라 감격스레 외치는 도中 

문득 거울을 보니 웬 우충한 노인의 늙은 뺨 위로 흥건한 눈물

 

코로나19로 도서관도 문을 굳게 닫고 있다.

문 열면 찾아보려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6614 계자 세쨋날 1월 7일 옥영경 2004-01-08 2104
6613 계자 네쨋날 1월 8일 옥영경 2004-01-09 2102
6612 운동장이 평평해졌어요 옥영경 2004-01-09 2185
6611 계자 다섯쨋날 1월 9일 옥영경 2004-01-10 2247
6610 계자 여섯쨋날 1월 10일 옥영경 2004-01-11 2228
6609 성현미샘 옥영경 2004-01-11 2541
6608 계자 일곱쨋날 1월 11일 옥영경 2004-01-12 2163
6607 계자 여덟쨋날 1월 12일 달날 옥영경 2004-01-13 1833
6606 계자 아홉쨋날 1월 13일 불날 옥영경 2004-01-15 1797
6605 계자 열쨋날 1월 14일 물날 옥영경 2004-01-16 2296
6604 계자 열 하루째 1월 15일 나무날 옥영경 2004-01-16 2159
6603 계자 열 이틀째 1월 16일 쇠날 옥영경 2004-01-17 2321
6602 계자 열 사흘째 1월 17일 흙날 옥영경 2004-01-28 1798
6601 계자 열 나흘째 1월 18일 해날 눈싸라기 옥영경 2004-01-28 1914
6600 38 계자 갈무리날 옥영경 2004-01-28 1678
6599 새해, 앉은 자리가 아랫목 같으소서 옥영경 2004-01-28 1804
6598 푸른누리 다녀오다 옥영경 2004-01-29 2573
6597 눈비산마을 가다 옥영경 2004-01-29 2364
6596 39 계자 첫날 1월 26일 달날 옥영경 2004-01-29 1789
6595 39 계자 이틀째 1월 27일 불날 옥영경 2004-01-30 2047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