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3.31.해날. 흐림

조회 수 679 추천 수 0 2019.05.02 16:16:30


며칠 전 한 문예지로부터 원고 청탁이 온 메일을 오늘 열다.

20년 만에 책을 내고,

올해부터는 글로 밥을 버는 일에도 애를 써야겠다 생각하는 때

작은 청탁 하나도 반갑기 더한. 고마울 일이다.


엊그제 신촌에서 기타 치는 양반들이 모였는데,

그 틈에서 그 공간에 기증한 책 두 권이 보였기 훑어보고 있었는데,

중세근세로 이어진 서울골목에 서린 역사와

개항도시를 찾아 근대와 개항의 현장을 걷는 책들이었는데,

관청 몇 곳과 해결해야 하는 사안들이 줄을 서 있어서였는지

고단함이 밀려 마치 길이 없다 싶은 마음이 컸던 모양이었는지,

책에서 인용한 시 한 편이 위로를 던졌더라네.

그대와도 나누나니.



(...)


이렇게 어둠이 크고 깊은 설산의 밤일지라도

빛은 저 작고 희미한 등불 하나로 충분했다

 

지금 세계가 칠흑처럼 어둡고

길 잃은 희망들이 숨이 죽어가도

단지 언뜻 비추는 불빛 하나만 살아 있다면

우리는 아직 끝나지 않은 것이다


(...)


그토록 강렬하고 집요한 악의 정신이 지배해도

자기 영혼을 잃지 않고 희미한 등불로 서 있는 사람

어디를 둘러보아도 희망이 보이지 않는 시대에

무력할지라도 끝끝내 꺾여지지 않는 최후의 사람

 

최후의 한 사람은 최초의 한 사람이기에

희망은 단 한 사람이면 충분한 것이다


(...)


삶은 기적이다

인간은 신비이다

희망은 불멸이다

 

그대, 희미한 불빛만 살아 있다면

 

그러니 그대 사라지지 말아라


(박노해의 <그러니 그대 사라지지 말아라>의 표제시 가운데서)



그러니 나여, 그대여, 사라지지 말아라.

희미한 불빛이라도 스러지지 않고 있으니

나, 그리고 그대,

아직 살아있고 살아갈 수 있을지니.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534 2008. 5.10.흙날. 맑음 옥영경 2008-05-20 1236
1533 2009. 1.21.물날. 흐림 옥영경 2009-01-31 1236
1532 유설샘 미루샘의 혼례 주례사 file 옥영경 2009-03-07 1236
1531 132 계자 여는 날, 2009. 8. 2.해날. 한 때 먹구름 지나 옥영경 2009-08-07 1236
1530 108 계자 열 이튿날, 2006.1.13.쇠날. 가랑비 옥영경 2006-01-15 1237
1529 2007. 4.26.나무날. 봄날 같은 봄날 옥영경 2007-05-14 1237
1528 2007. 6.10.해날. 맑음 옥영경 2007-06-22 1237
1527 2007.10.10.물날. 맑음 옥영경 2007-10-17 1237
1526 2007.10.15.달날. 밤 빗방울 잠깐 옥영경 2007-10-26 1237
1525 2008.10. 4.흙날. 꾸물럭 옥영경 2008-10-19 1237
1524 2011. 5.18.물날. 맑음 옥영경 2011-05-30 1237
1523 4월 21일 상설학교 첫돌잔치에 모십니다 옥영경 2005-04-24 1238
1522 2006.3.6.달날. 화사한 / "첫걸음 예(禮)" 옥영경 2006-03-07 1238
1521 2006.10.17.불날. 맑음 옥영경 2006-10-18 1238
1520 2008. 3. 1.흙날. 맑음 옥영경 2008-05-16 1238
1519 2008.10.16.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8-10-28 1238
1518 4월 12일 불날 물먹은 하늘 옥영경 2005-04-17 1239
1517 5월 20일 쇠날 맑음 옥영경 2005-05-22 1239
1516 6월 20일 달날 뿌연 하늘 옥영경 2005-06-23 1239
1515 2006학년도 ‘6-7월 공동체살이’ 아이들 움직임 옥영경 2006-09-15 1239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