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3.31.해날. 흐림

조회 수 704 추천 수 0 2019.05.02 16:16:30


며칠 전 한 문예지로부터 원고 청탁이 온 메일을 오늘 열다.

20년 만에 책을 내고,

올해부터는 글로 밥을 버는 일에도 애를 써야겠다 생각하는 때

작은 청탁 하나도 반갑기 더한. 고마울 일이다.


엊그제 신촌에서 기타 치는 양반들이 모였는데,

그 틈에서 그 공간에 기증한 책 두 권이 보였기 훑어보고 있었는데,

중세근세로 이어진 서울골목에 서린 역사와

개항도시를 찾아 근대와 개항의 현장을 걷는 책들이었는데,

관청 몇 곳과 해결해야 하는 사안들이 줄을 서 있어서였는지

고단함이 밀려 마치 길이 없다 싶은 마음이 컸던 모양이었는지,

책에서 인용한 시 한 편이 위로를 던졌더라네.

그대와도 나누나니.



(...)


이렇게 어둠이 크고 깊은 설산의 밤일지라도

빛은 저 작고 희미한 등불 하나로 충분했다

 

지금 세계가 칠흑처럼 어둡고

길 잃은 희망들이 숨이 죽어가도

단지 언뜻 비추는 불빛 하나만 살아 있다면

우리는 아직 끝나지 않은 것이다


(...)


그토록 강렬하고 집요한 악의 정신이 지배해도

자기 영혼을 잃지 않고 희미한 등불로 서 있는 사람

어디를 둘러보아도 희망이 보이지 않는 시대에

무력할지라도 끝끝내 꺾여지지 않는 최후의 사람

 

최후의 한 사람은 최초의 한 사람이기에

희망은 단 한 사람이면 충분한 것이다


(...)


삶은 기적이다

인간은 신비이다

희망은 불멸이다

 

그대, 희미한 불빛만 살아 있다면

 

그러니 그대 사라지지 말아라


(박노해의 <그러니 그대 사라지지 말아라>의 표제시 가운데서)



그러니 나여, 그대여, 사라지지 말아라.

희미한 불빛이라도 스러지지 않고 있으니

나, 그리고 그대,

아직 살아있고 살아갈 수 있을지니.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5034 2019. 7.19.쇠날. 밤, 태풍 지나는 옥영경 2019-08-17 611
5033 2020. 4.16.나무날. 맑음 옥영경 2020-06-15 611
5032 172계자 여는 날, 2023. 8. 6.해날. 맑음 옥영경 2023-08-08 611
5031 ‘2022 연어의 날’ 여는 날, 2022.6.25.흙날. 오려다 만 비 옥영경 2022-07-13 612
5030 2023. 4. 5.물날. 비 옥영경 2023-05-03 612
5029 173계자 닫는 날, 2024. 1.12.쇠날. 맑음 옥영경 2024-01-15 612
5028 2019.10.10.나무날. 맑음 / 나는 제습제입니다! 옥영경 2019-11-27 613
5027 2023. 8.25.쇠날. 맑음 / 저 애는 무슨 낙으로 살까? 옥영경 2023-08-29 613
5026 168계자 여는 날, 2021. 8. 8.해날. 소나기, 풍문처럼 지나다 [1] 옥영경 2021-08-13 614
5025 2019. 7.18.나무날. 도둑비 다녀가고 흐림 옥영경 2019-08-17 616
5024 2024. 1. 4.나무날. 새벽 싸락눈 옥영경 2024-01-08 616
5023 2020. 2. 4.불날. 갬 옥영경 2020-03-05 618
5022 2019. 6.13.나무날. 맑음 / 창고동 외벽 페인트 2 옥영경 2019-08-06 619
5021 2019. 8. 2.쇠날. 맑음 옥영경 2019-08-22 619
5020 2023학년도 겨울, 173계자(1.7~12) 갈무리글 옥영경 2024-01-15 620
5019 2019. 6.10.달날. 밤비 아침에 개고 가끔 구름 / 돌을 쌓다 옥영경 2019-08-05 623
5018 2019. 8. 1.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9-08-22 625
5017 2019. 9.27.쇠날. 해 나왔다 오후 사라진 / 두 발의 총성 옥영경 2019-10-31 626
5016 2019.10.24.나무날. 좀 흐림 옥영경 2019-12-10 626
5015 2022. 1.26.물날. 맑음 / 교육재정을 들여다보다; 풍요는 낭비가 아니다! 옥영경 2022-01-31 626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