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3.31.해날. 흐림

조회 수 732 추천 수 0 2019.05.02 16:16:30


며칠 전 한 문예지로부터 원고 청탁이 온 메일을 오늘 열다.

20년 만에 책을 내고,

올해부터는 글로 밥을 버는 일에도 애를 써야겠다 생각하는 때

작은 청탁 하나도 반갑기 더한. 고마울 일이다.


엊그제 신촌에서 기타 치는 양반들이 모였는데,

그 틈에서 그 공간에 기증한 책 두 권이 보였기 훑어보고 있었는데,

중세근세로 이어진 서울골목에 서린 역사와

개항도시를 찾아 근대와 개항의 현장을 걷는 책들이었는데,

관청 몇 곳과 해결해야 하는 사안들이 줄을 서 있어서였는지

고단함이 밀려 마치 길이 없다 싶은 마음이 컸던 모양이었는지,

책에서 인용한 시 한 편이 위로를 던졌더라네.

그대와도 나누나니.



(...)


이렇게 어둠이 크고 깊은 설산의 밤일지라도

빛은 저 작고 희미한 등불 하나로 충분했다

 

지금 세계가 칠흑처럼 어둡고

길 잃은 희망들이 숨이 죽어가도

단지 언뜻 비추는 불빛 하나만 살아 있다면

우리는 아직 끝나지 않은 것이다


(...)


그토록 강렬하고 집요한 악의 정신이 지배해도

자기 영혼을 잃지 않고 희미한 등불로 서 있는 사람

어디를 둘러보아도 희망이 보이지 않는 시대에

무력할지라도 끝끝내 꺾여지지 않는 최후의 사람

 

최후의 한 사람은 최초의 한 사람이기에

희망은 단 한 사람이면 충분한 것이다


(...)


삶은 기적이다

인간은 신비이다

희망은 불멸이다

 

그대, 희미한 불빛만 살아 있다면

 

그러니 그대 사라지지 말아라


(박노해의 <그러니 그대 사라지지 말아라>의 표제시 가운데서)



그러니 나여, 그대여, 사라지지 말아라.

희미한 불빛이라도 스러지지 않고 있으니

나, 그리고 그대,

아직 살아있고 살아갈 수 있을지니.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4986 2015. 8.25.불날. 비 옥영경 2015-09-16 675
4985 2014.12.20.흙날. 맑음 옥영경 2014-12-31 677
4984 2015. 3. 2.달날. 흐림 옥영경 2015-03-29 677
4983 2015. 4. 5.해날. 부슬비 옥영경 2015-04-29 677
4982 2015. 6.22.달날. 밤 비 옥영경 2015-07-23 677
4981 2015. 7.10.쇠날. 흐린 아침, 갠 하루 / 달골 공사 첫 삽 옥영경 2015-07-31 677
4980 2019. 6.26.물날. 흐리고 비 / 물꼬 해우소는 더럽다? 옥영경 2019-08-13 677
4979 2019. 7.31.물날. 맑음 / 날마다 하늘을 밟고 사는 이 옥영경 2019-08-22 677
4978 2023. 8.25.쇠날. 맑음 / 저 애는 무슨 낙으로 살까? 옥영경 2023-08-29 677
4977 2013.12.20.쇠날. 해도 띄엄띄엄 가끔 눈도 날리고 옥영경 2013-12-31 678
4976 2015. 5. 7.나무날. 구름 조금 / 자유학기제 간담회 옥영경 2015-06-24 678
4975 5월 물꼬stay 여는 날, 2019. 5.17.쇠날. 흐려가는 하늘 옥영경 2019-07-19 678
4974 2019. 6.28.쇠날. 저녁 비 / 원석연과 이생진 옥영경 2019-08-14 678
4973 169계자 사흗날, 2022. 1.11.불날. 눈발 흩날리는 아침 / 우리도 저런 시절이 있었다 [1] 옥영경 2022-01-15 678
4972 2023학년도 겨울, 173계자(1.7~12) 갈무리글 옥영경 2024-01-15 678
4971 2014. 2. 8.흙날. 눈 옥영경 2014-02-28 679
4970 2015. 1.20~21.불~물날. 맑고, 이튿날 흐리다 비 옥영경 2015-02-23 679
4969 2015. 9.11.쇠날. 구름 꼈다 오후 빗방울 옥영경 2015-10-07 679
4968 2015.10. 3.흙날. 맑음 옥영경 2015-10-31 679
4967 2015.10.30.쇠날. 맑음 옥영경 2015-11-23 679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