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3.31.해날. 흐림

조회 수 719 추천 수 0 2019.05.02 16:16:30


며칠 전 한 문예지로부터 원고 청탁이 온 메일을 오늘 열다.

20년 만에 책을 내고,

올해부터는 글로 밥을 버는 일에도 애를 써야겠다 생각하는 때

작은 청탁 하나도 반갑기 더한. 고마울 일이다.


엊그제 신촌에서 기타 치는 양반들이 모였는데,

그 틈에서 그 공간에 기증한 책 두 권이 보였기 훑어보고 있었는데,

중세근세로 이어진 서울골목에 서린 역사와

개항도시를 찾아 근대와 개항의 현장을 걷는 책들이었는데,

관청 몇 곳과 해결해야 하는 사안들이 줄을 서 있어서였는지

고단함이 밀려 마치 길이 없다 싶은 마음이 컸던 모양이었는지,

책에서 인용한 시 한 편이 위로를 던졌더라네.

그대와도 나누나니.



(...)


이렇게 어둠이 크고 깊은 설산의 밤일지라도

빛은 저 작고 희미한 등불 하나로 충분했다

 

지금 세계가 칠흑처럼 어둡고

길 잃은 희망들이 숨이 죽어가도

단지 언뜻 비추는 불빛 하나만 살아 있다면

우리는 아직 끝나지 않은 것이다


(...)


그토록 강렬하고 집요한 악의 정신이 지배해도

자기 영혼을 잃지 않고 희미한 등불로 서 있는 사람

어디를 둘러보아도 희망이 보이지 않는 시대에

무력할지라도 끝끝내 꺾여지지 않는 최후의 사람

 

최후의 한 사람은 최초의 한 사람이기에

희망은 단 한 사람이면 충분한 것이다


(...)


삶은 기적이다

인간은 신비이다

희망은 불멸이다

 

그대, 희미한 불빛만 살아 있다면

 

그러니 그대 사라지지 말아라


(박노해의 <그러니 그대 사라지지 말아라>의 표제시 가운데서)



그러니 나여, 그대여, 사라지지 말아라.

희미한 불빛이라도 스러지지 않고 있으니

나, 그리고 그대,

아직 살아있고 살아갈 수 있을지니.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4878 2007. 4.13.쇠날. 맑다가 빗방울 옥영경 2007-04-24 1228
4877 9월 3일 흙날 빗방울 오가고 옥영경 2005-09-14 1228
4876 9월 24일-10월 3일, 한가위방학 옥영경 2004-09-28 1228
4875 2월 빈들 여는 날, 2012. 2.24.쇠날. 흐림 옥영경 2012-03-04 1227
4874 2012. 2. 6.달날. 맑으나 뚝 떨어지는 기온 옥영경 2012-02-21 1227
4873 150 계자 나흗날, 2012. 1.11.물날. 바람 매워지는 옥영경 2012-01-19 1227
4872 2011.10.10.달날. 희붐한 하늘 옥영경 2011-10-21 1227
4871 2011. 7.10.해날. 대해리 비, 그리고 서울 흐림 옥영경 2011-07-18 1227
4870 2011. 5. 8.해날. 맑음 옥영경 2011-05-23 1227
4869 143 계자 닷샛날, 2011. 1.13.나무날. 맑음 / 노박산 옥영경 2011-01-18 1227
4868 2008. 9. 5. 쇠날. 맑음 옥영경 2008-09-21 1227
4867 2008. 2.19.불날. 맑음 옥영경 2008-03-08 1227
4866 2007. 2. 5.달날. 봄날 같은 옥영경 2007-02-08 1227
4865 2005.12.14.물날.흐리다 한 밤에 눈 / 아이들만 돌린 하루 옥영경 2005-12-16 1227
4864 2005.12.1.나무날.흐림 / 포항행 옥영경 2005-12-06 1227
4863 106 계자 가운데 다녀간 손님들 옥영경 2005-09-07 1227
4862 2013. 2. 5.불날. 잔비 내리더니 어둠과 함께 눈 옥영경 2013-02-21 1226
4861 2012. 5. 4.쇠날. 맑음 옥영경 2012-05-12 1226
4860 2012. 4.26.나무날. 맑으나 태풍 같은 바람 옥영경 2012-04-30 1226
4859 149 계자 갈무리글 옥영경 2012-01-13 1226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