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4. 6.흙날. 맑음

조회 수 754 추천 수 0 2019.05.07 00:34:28


진달래가 피었다.


어제는 식목일, 이즈음이 나무 심기 좋은 때.

사이집에 남쪽으로 울타리 자리를 패다.

곧 편백을 좀 주겠다는 분이 생겼다.

오전 세 시간, 오후 세 시간. 딱 그만큼만. 천천히.

돌이 많았다.

가장자리로 쪼르륵 선처럼 쌓는다면 넘어오는 풀의 기세도 좀 덜하지 않을까,

마당 편에서 하나의 경계도 만들어지고.


돌을 이어 쌓다. 그저 한 줄.

지극하게 쌓기.

돌도 얼굴과 위아래를 가졌다.

편편한 가슴끼리 서로 이어주었다. 신비로웠다.

이곳의 울통한 것과 저곳의 불퉁한 것, 꼭지와 꼭지, 요와 철의 만남.

딱딱 맞춰지는 이, 아, 돌탑도 돌담도 그리 쌓는 것이겠구나.

흔들거리면 옆이 혹은 안이, 아니면 위에서 누르는 힘으로 자리를 잡았다.

서로를 기대고 돌이 서 있었다.

서로를 기댄다는 말이 그런 거였구나!


그대로 사뭇 심어두고, 그래서 풀이 잡아먹어버린, 내가 심은 것들을 생각했다.

특히 달골 아침뜨樂 아래 밭 울타리에(밭가에) 심어두고

잊힌 자두나무 대여섯 그루는 흔적이 없다.

심은 것은 그렇게(심었다고) 키워지는 게 아니었다! 

아이도 낳았다고 부모가 아닌 게지. 돌보아야 한다.

아이한테는 그래야는 줄 알면서 나무는 왜 아니었던 겐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694 2015. 5.23.흙날. 맑음 옥영경 2015-07-06 644
1693 2019. 6.27.나무날. 흐리다 맑음 / 호박잎 꽃다발 옥영경 2019-08-14 643
1692 2019. 5.21.불날. 맑음 옥영경 2019-07-24 643
1691 169계자 닷샛날, 2022. 1.13.나무날. 눈 내린 아침, 그리고 볕 좋은 오후 / ‘재밌게 어려웠다’, 손님들의 나라 [1] 옥영경 2022-01-15 642
1690 164 계자 닷샛날, 2019. 8. 8.나무날. 소나기 / 민주지산(1,242m) 산오름 옥영경 2019-09-10 642
1689 2019. 9. 9.달날. 비 추적이는 밤 / 향낭 옥영경 2019-10-23 640
1688 2019. 5. 8.물날. 맑음 / 당신이 잘되기를 바라 옥영경 2019-07-09 640
1687 2017.10.26.나무날. 맑음 / 제도학교의 물꼬나들이 옥영경 2018-01-05 638
1686 2015. 9.14.달날. 맑음 옥영경 2015-10-12 637
1685 2015. 1.31.흙날. 흐리다 눈 옥영경 2015-02-26 636
1684 165 계자 닫는 날, 2020. 1. 17.쇠날. 맑음 옥영경 2020-01-28 635
1683 172계자 이튿날, 2023. 8. 7.달날. 맑음 옥영경 2023-08-09 633
1682 2020. 4.21.불날. 화창하지는 않은 옥영경 2020-07-07 632
1681 2019. 9. 2.달날. 흐리다 비 많은 옥영경 2019-10-16 632
1680 산마을 책방➀ 닫는 날, 2019. 8.18.해날. 맑음 옥영경 2019-09-23 632
1679 171계자 이튿날, 2023. 1. 9.달날. 푹하고 흐린 옥영경 2023-01-11 631
1678 2014. 5.21.물날. 맑음 옥영경 2014-06-13 631
1677 2019 여름 청소년 계자(2019.7.20~21) 갈무리글 옥영경 2019-08-17 630
1676 2019. 5.13.달날. 맑음 옥영경 2019-07-19 630
1675 2019. 5.31.쇠날. 맑음 / 연어의 날(6.22~23) 밑돌모임 옥영경 2019-08-02 628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