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 여행 같은 사흘이었다, 물꼬스테이.


화들짝 깨어 머리를 감은 이른 아침.

해건지기를 끝내고 아침 밥상.

‘시 읽는 아침’과 ‘일수행’의 속틀을 조금 바꾸다.

마당에 나머지 종이박스들을 태웠다.

물론 쓸 것도, 불쏘시개로도 남겨놓고.

그래도 쌓인 살림이라.

2004년부터 몇 해 지은 포도농사에서 남은 낡은 상자들도

비로소 훨훨 떠나보낸 시간이다.

새 술은 새 부대에! 새 삶도 새로 자리를 잡을 테다.

이 구석 저 구석에서 나온 종이 쓰레기들도 덩달아 태우다.


자목련·백목련·줄장미·수수꽃다리 가지도 잘랐다.

밑 쪽 잎은 다 떼 내고, 위로도 잎을 절반 자르거나 떼거나.

스치로폼 박스 아래 구멍을 내고 흙을 채운 뒤 심다.

꺾꽂이다.

뿌리 내려준다면 달골 어느 곳에 옮겨질 테다.

사이집 앞마당에 원추리를 마저 심고 마을로 내려서다.


11시부터 책을 읽고 전체일정 갈무리.

물꼬스테이가 달마다 셋째주말 공식일정으로 자리를 잡아가는 첫 움직임이었다.

“아무 문제 없네요.”

그렇다. 우리 잘 살고 있다. 다만 머리가 복잡했던 것.

우리가 보낸 사흘은 그걸 몸으로 경험한 날들이었다.

어디 가서 살아도 무슨 일을 해도 해낼 수 있겠다는 자신감이 든다고들 했다.

함께 애쓴 모두 고맙다.

이번에는 예외 없이 일정에 따랐지만

다음에는 일정을 따르는 것과 자유로운 쪽을 각자 선택하는 건 어떨까.

그리 또 해보기로 한다.

그러다 자리를 잡아갈 테지.


사람들 보낸 자리로 식구들 하룻밤 들어오다.

오후에는 아침뜨樂에 들어 미궁 잔디와 잔디 사이 다니는 길에 있는 풀을 뽑았네.

뿌리 질기니 애쓴 만큼 금세 표가 잘 안 나더라.

그래도 무서운 게 또 사람 손이라 적게라도 훤해진 한 곳.

그런 손들이 없으면 이 너른 살림이 어떻게 건사되겠는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6474 2022. 7.16.흙날. 흐림 옥영경 2022-08-04 315
6473 10월 빈들 닫는 날, 2022.10.23.해날. 뿌연 하늘 옥영경 2022-11-12 315
6472 2022.11.20.해날. 맑음 옥영경 2022-12-16 315
6471 2022.12. 8.나무날. 볕도 좋고 푹한 옥영경 2022-12-29 315
6470 2023. 1.27.쇠날. 맑음 옥영경 2023-02-27 315
6469 2023. 1.28.흙날. 눈발 옥영경 2023-02-27 315
6468 2023. 2.18.흙날. 까만 하늘 옥영경 2023-03-15 315
6467 2023. 3. 3.쇠날. 맑음 옥영경 2023-03-26 315
6466 2023. 3. 6.달날. 맑음 / 첫걸음 예(禮), 경칩 옥영경 2023-03-26 315
6465 2023. 5.10.물날. 맑음 옥영경 2023-06-13 315
6464 2023. 5.16.불날. 맑음 옥영경 2023-07-04 315
6463 2020. 5.12.불날. 바람 많고 맑은 옥영경 2020-08-08 316
6462 2020. 5.22.쇠날. 맑다가 빗방울 / 30여년 건너온 편지 옥영경 2020-08-12 316
6461 2020. 6.25.나무날. 흐리고 간간이 비 옥영경 2020-08-13 316
6460 2021. 9. 7.불날. 비 오다가다 옥영경 2021-10-28 316
6459 2021.10. 9~10.흙~해날. 갠 아침이었으나 흐린 오후. 이튿날 역시 옥영경 2021-12-08 316
6458 2022. 7.12.불날. 흐림 / 너 몇 살이야? 옥영경 2022-08-01 316
6457 2022. 7.24.해날. 잔비 옥영경 2022-08-06 316
6456 2022. 9. 6.불날. 비 긋다 옥영경 2022-09-28 316
6455 2022.10.13.나무날. 맑음 옥영경 2022-11-03 316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