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 여행 같은 사흘이었다, 물꼬스테이.


화들짝 깨어 머리를 감은 이른 아침.

해건지기를 끝내고 아침 밥상.

‘시 읽는 아침’과 ‘일수행’의 속틀을 조금 바꾸다.

마당에 나머지 종이박스들을 태웠다.

물론 쓸 것도, 불쏘시개로도 남겨놓고.

그래도 쌓인 살림이라.

2004년부터 몇 해 지은 포도농사에서 남은 낡은 상자들도

비로소 훨훨 떠나보낸 시간이다.

새 술은 새 부대에! 새 삶도 새로 자리를 잡을 테다.

이 구석 저 구석에서 나온 종이 쓰레기들도 덩달아 태우다.


자목련·백목련·줄장미·수수꽃다리 가지도 잘랐다.

밑 쪽 잎은 다 떼 내고, 위로도 잎을 절반 자르거나 떼거나.

스치로폼 박스 아래 구멍을 내고 흙을 채운 뒤 심다.

꺾꽂이다.

뿌리 내려준다면 달골 어느 곳에 옮겨질 테다.

사이집 앞마당에 원추리를 마저 심고 마을로 내려서다.


11시부터 책을 읽고 전체일정 갈무리.

물꼬스테이가 달마다 셋째주말 공식일정으로 자리를 잡아가는 첫 움직임이었다.

“아무 문제 없네요.”

그렇다. 우리 잘 살고 있다. 다만 머리가 복잡했던 것.

우리가 보낸 사흘은 그걸 몸으로 경험한 날들이었다.

어디 가서 살아도 무슨 일을 해도 해낼 수 있겠다는 자신감이 든다고들 했다.

함께 애쓴 모두 고맙다.

이번에는 예외 없이 일정에 따랐지만

다음에는 일정을 따르는 것과 자유로운 쪽을 각자 선택하는 건 어떨까.

그리 또 해보기로 한다.

그러다 자리를 잡아갈 테지.


사람들 보낸 자리로 식구들 하룻밤 들어오다.

오후에는 아침뜨樂에 들어 미궁 잔디와 잔디 사이 다니는 길에 있는 풀을 뽑았네.

뿌리 질기니 애쓴 만큼 금세 표가 잘 안 나더라.

그래도 무서운 게 또 사람 손이라 적게라도 훤해진 한 곳.

그런 손들이 없으면 이 너른 살림이 어떻게 건사되겠는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6494 2020. 6. 3.물날. 새벽비 옥영경 2020-08-13 312
6493 2020. 6.25.나무날. 흐리고 간간이 비 옥영경 2020-08-13 312
6492 2020. 6.30.불날. 장맛비 옥영경 2020-08-13 312
6491 2020. 7.11.흙날. 옥영경 2020-08-13 312
6490 2020. 7.29.물날. 창대비 옥영경 2020-08-13 312
6489 2022.10.16.해날. 회색 구름 옥영경 2022-11-05 312
6488 2022.11. 1.불날. 맑음 옥영경 2022-11-28 312
6487 2022.11.20.해날. 맑음 옥영경 2022-12-16 312
6486 2023. 2. 6.달날. 맑음 옥영경 2023-03-06 312
6485 2023. 2. 9.나무날. 다저녁 비, 한밤 굵은 눈 옥영경 2023-03-07 312
6484 2023. 2.21.불날. 맑음 옥영경 2023-03-17 312
6483 2023. 2.27.달날. 맑음 옥영경 2023-03-21 312
6482 2023. 3.26.해날. 맑음 옥영경 2023-04-18 312
6481 2023. 5.10.물날. 맑음 옥영경 2023-06-13 312
6480 2020. 5.13.물날. 맑음 옥영경 2020-08-08 313
6479 2020. 5.12.불날. 바람 많고 맑은 옥영경 2020-08-08 313
6478 2020. 6. 7.해날. 바람, 더우나 그늘도 / 주말은 주말을 살고 옥영경 2020-08-13 313
6477 2020. 7. 8.물날. 갬 옥영경 2020-08-13 313
6476 2020. 7.22.물날. 오후 잠깐 갬 옥영경 2020-08-13 313
6475 2021. 4.18.해날. 맑음 / 이레 단식수행 닫는 날 옥영경 2021-05-14 313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