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를 담을 그릇


성산포에서는

바다를 그릇에

담을 수 없지만

뚫어진 구멍마다

바다가 생긴다.

성산포에서는

뚫어진 그 사람의 허구에도

천연스럽게

바다가 생긴다


(이생진, <그리운 바다 성산포> 가운데서)



이생진 시인은 ‘섬 시인’이다. 

1929년 서산에서 태어났으며 어려서부터 외딴 섬을 좋아했다고 한다. 

우리나라 섬이라면 유인도, 무인도 가리지 않고 찾다 보니 그의 발길이 닿은 섬이 천 곳이 넘는다. 

특히 젊은 날 군대생활을 하였던 모슬포뿐만이 아니라, 성산포, 서귀포, 우도, 다랑쉬오름 등, 

제주 어느 한 곳 그의 발걸음이 닿지 않은 곳이 없을 정도로 그 곳의 풍광을 사랑하여 곳곳을 걷고 또 걸어 다녔다. 

그런 까닭에 올레길이 생기기 훨씬 전부터 제주 걷기 일주를 두 차례 하였으며, 

지금도 틈만 나면 스케치북을 들고 제주를 비롯한 우리나라 여러 섬들을 찾아가 직접 그 곳의 풍경을 스케치하고 시를 쓰며 지낸다. 

1955년부터 시집을 펴내기 시작해《현대문학》을 통해 김현승 시인의 추천으로 등단한 후 지금까지 33권의 시집과 여러 권의 수필집을 펴냈으며, 

우리나라 섬의 정경과 섬사람들의 뿌리 깊은 애환을 담은 시를 주로 써오고 있다. 

특히 1978년에 처음 펴낸 시집 《그리운 바다 성산포》는 수십 년째 독자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스테디셀러로 다양한 계층의 독자들에게 지금까지 읽히고 있다.


1996년 《먼 섬에 가고 싶다》로 윤동주문학상, 2002년 《혼자 사는 어머니》로 상화尙火시인상을 수상했다. 

2001년 제주자치도 명예도민이 되었고, 2009년 성산포 오정개 해안에 ‘그리운 바다 성산포’ 시비공원이 만들어졌으며, 

2012년 신안 명예군민이 된 것을 큰 자랑으로 여기고 있다. 

섬에서 돌아오면 지금도 인사동에서 섬을 중심으로 시낭송과 담론을 계속하고 있다. 

시집으로《그리운 바다 성산포》를 비롯하여《그리운 섬 우도에 가면》, 황진이에 관한 시집 《그 사람 내게로 오네》, 

그리고《김삿갓, 시인아 바람아》,《반 고흐, ‘너도 미쳐라’》,《우이도에 가야지》,《골뱅이@ 이야기》,《실미도, 꿩 우는 소리》등 다수의 시집이 있다. 


선생님은 해마다 6월

초여름 저녁이 내리는 자유학교 물꼬의 '원하게 젖다'에서 시를 나눠오셨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후원] 논두렁에 콩 심는 사람들 [13] 관리자 2009-06-27 36082
공지 긴 글 · 1 - 책 <내 삶은 내가 살게 네 삶은 네가 살아>(한울림, 2019) file 물꼬 2019-10-01 19194
공지 [긴 글] 책 <모든 사람의 인생에는 저마다의 안나푸르나가 있다>(옥영경/도서출판 공명, 2020) file 물꼬 2020-06-01 17278
공지 [펌] 산 속 교사, 히말라야 산군 가장 높은 곳을 오르다 image 물꼬 2020-06-08 16771
공지 [8.12] 신간 <다시 학교를 읽다>(한울림, 2021) 물꼬 2021-07-31 16632
공지 2020학년도부터 활동한 사진은... 물꼬 2022-04-13 16292
공지 물꼬 머물기(물꼬 stay)’와 ‘집중수행’을 가릅니다 물꼬 2022-04-14 16310
공지 2022 세종도서(옛 문화체육관광부 우수도서) 선정-<다시 학교를 읽다>(옥영경 / 한울림, 2021) 물꼬 2022-09-30 15243
공지 [12.27] 신간 《납작하지 않은 세상, 자유롭거나 불편하거나》 (한울림, 2022) 물꼬 2022-12-30 13473
공지 2024학년도 한해살이;학사일정 (2024.3 ~ 2025.2) 물꼬 2024-02-12 5570
606 2월 '어른의 학교' 마감 물꼬 2019-02-16 1711
605 4월에는 물꼬 2021-03-22 1712
604 [8.21~22, 8.28~29] 멧골 책방 - “우리는 산마을에 책 읽으러 간다” 물꼬 2021-07-13 1713
603 {다시 알림} [8.21~22, 8.28~29] 멧골 책방 - “우리는 산마을에 책 읽으러 간다” [1] 물꼬 2021-08-16 1713
602 [10.22~24] 10월 빈들모임 물꼬 2021-09-23 1713
601 170계자 통신·1 - 학부모 단톡방 물꼬 2022-07-17 1716
600 2013 여름 계절자유학교 예비 안내 물꼬 2013-06-08 1726
599 [2.15] 167계자 사후 통화 물꼬 2021-02-10 1726
598 연어의 날, 모다 고맙습니다! 물꼬 2017-06-29 1730
597 [미리 안내] 2021학년도 여름 계절학교 일정 물꼬 2021-06-09 1730
596 [7.14~16] 7월 어른의 학교 물꼬 2017-07-06 1731
595 [7.3~4 / 7.7~12] 내포 숲길, 지리산 숲길 걷기 물꼬 2017-07-03 1737
594 달골 재공사, 그리고 11월 일정 물꼬 2012-11-01 1740
593 [8.8~13] 2021 여름 계절자유학교(초등) 물꼬 2021-07-10 1740
592 [5월 23~28일] 수행과 암벽 등반 물꼬 2017-05-24 1741
591 2019학년도 여름 계자 밥바라지 자원봉사 file 물꼬 2019-06-09 1742
590 새끼일꾼 부모님들과 품앗이일꾼들께 물꼬 2012-01-24 1745
589 2009 겨울, 새끼일꾼계자 사진 올라갔습니다! 물꼬 2010-01-10 1751
588 [2.26~28] 2월 어른의 학교 물꼬 2021-02-03 1754
587 6월 몽당계자를 여름 계자와 합합니다. 물꼬 2009-06-09 1757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