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를 담을 그릇


성산포에서는

바다를 그릇에

담을 수 없지만

뚫어진 구멍마다

바다가 생긴다.

성산포에서는

뚫어진 그 사람의 허구에도

천연스럽게

바다가 생긴다


(이생진, <그리운 바다 성산포> 가운데서)



이생진 시인은 ‘섬 시인’이다. 

1929년 서산에서 태어났으며 어려서부터 외딴 섬을 좋아했다고 한다. 

우리나라 섬이라면 유인도, 무인도 가리지 않고 찾다 보니 그의 발길이 닿은 섬이 천 곳이 넘는다. 

특히 젊은 날 군대생활을 하였던 모슬포뿐만이 아니라, 성산포, 서귀포, 우도, 다랑쉬오름 등, 

제주 어느 한 곳 그의 발걸음이 닿지 않은 곳이 없을 정도로 그 곳의 풍광을 사랑하여 곳곳을 걷고 또 걸어 다녔다. 

그런 까닭에 올레길이 생기기 훨씬 전부터 제주 걷기 일주를 두 차례 하였으며, 

지금도 틈만 나면 스케치북을 들고 제주를 비롯한 우리나라 여러 섬들을 찾아가 직접 그 곳의 풍경을 스케치하고 시를 쓰며 지낸다. 

1955년부터 시집을 펴내기 시작해《현대문학》을 통해 김현승 시인의 추천으로 등단한 후 지금까지 33권의 시집과 여러 권의 수필집을 펴냈으며, 

우리나라 섬의 정경과 섬사람들의 뿌리 깊은 애환을 담은 시를 주로 써오고 있다. 

특히 1978년에 처음 펴낸 시집 《그리운 바다 성산포》는 수십 년째 독자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스테디셀러로 다양한 계층의 독자들에게 지금까지 읽히고 있다.


1996년 《먼 섬에 가고 싶다》로 윤동주문학상, 2002년 《혼자 사는 어머니》로 상화尙火시인상을 수상했다. 

2001년 제주자치도 명예도민이 되었고, 2009년 성산포 오정개 해안에 ‘그리운 바다 성산포’ 시비공원이 만들어졌으며, 

2012년 신안 명예군민이 된 것을 큰 자랑으로 여기고 있다. 

섬에서 돌아오면 지금도 인사동에서 섬을 중심으로 시낭송과 담론을 계속하고 있다. 

시집으로《그리운 바다 성산포》를 비롯하여《그리운 섬 우도에 가면》, 황진이에 관한 시집 《그 사람 내게로 오네》, 

그리고《김삿갓, 시인아 바람아》,《반 고흐, ‘너도 미쳐라’》,《우이도에 가야지》,《골뱅이@ 이야기》,《실미도, 꿩 우는 소리》등 다수의 시집이 있다. 


선생님은 해마다 6월

초여름 저녁이 내리는 자유학교 물꼬의 '원하게 젖다'에서 시를 나눠오셨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후원] 논두렁에 콩 심는 사람들 [13] 관리자 2009-06-27 34671
공지 긴 글 · 1 - 책 <내 삶은 내가 살게 네 삶은 네가 살아>(한울림, 2019) file 물꼬 2019-10-01 18067
공지 [긴 글] 책 <모든 사람의 인생에는 저마다의 안나푸르나가 있다>(옥영경/도서출판 공명, 2020) file 물꼬 2020-06-01 16130
공지 [펌] 산 속 교사, 히말라야 산군 가장 높은 곳을 오르다 image 물꼬 2020-06-08 15598
공지 [8.12] 신간 <다시 학교를 읽다>(한울림, 2021) 물꼬 2021-07-31 15453
공지 2020학년도부터 활동한 사진은... 물꼬 2022-04-13 15170
공지 물꼬 머물기(물꼬 stay)’와 ‘집중수행’을 가릅니다 물꼬 2022-04-14 15201
공지 2022 세종도서(옛 문화체육관광부 우수도서) 선정-<다시 학교를 읽다>(옥영경 / 한울림, 2021) 물꼬 2022-09-30 14087
공지 [12.27] 신간 《납작하지 않은 세상, 자유롭거나 불편하거나》 (한울림, 2022) 물꼬 2022-12-30 12343
공지 2024학년도 한해살이;학사일정 (2024.3 ~ 2025.2) 물꼬 2024-02-12 4501
805 2007 여름, 계절 자유학교 안내 file 자유학교물꼬 2007-06-18 2735
804 자유학교 물꼬 첫돌잔치에 초대합니다. file 물꼬 2005-04-13 2735
803 2007 여름, 계절 자유학교 자원봉사 모집 안내 file 물꼬 2007-05-28 2732
802 청주mbc '생방송 전국시대'(5월 5일)에 물꼬 담기다 물꼬 2006-05-15 2729
801 날리는 살구꽃잎 위에 앉은 아이들 - <자유학교물꼬> 두 돌잔치 자유학교물꼬 2006-04-03 2726
800 2006 물꼬 달골포도 판매 및 포도따기잔치 자유학교물꼬 2006-09-03 2716
799 2005 가을, 108번째 계절 자유학교 안내 자유학교 물꼬 2005-10-07 2692
798 자유학교 물꼬 큰 틀 - 다시 고침 file 신상범 2004-04-05 2688
797 2008학년도 바뀌는 몇 가지 물꼬 2008-03-10 2675
796 2012 여름 계자에서 함께 할 '자원봉사자'들을 기다립니다! file 물꼬 2012-06-19 2673
795 2010, 4월 몽당계자(백서른일곱 번째 계절자유학교) file 물꼬 2010-03-29 2660
794 [빨간불] 2019학년도 겨울 계자(초등) 바뀐 일정 확인 바랍니다! 물꼬 2019-11-14 2651
793 대구방송 'TV 좋은생각' (8/22, 8/29) 물꼬 2007-08-27 2649
792 특별건축기금 마련 자유학교물꼬 2005-11-07 2645
791 자유학교물꼬 네 돌잔치(4월 26일) 물꼬 2008-04-05 2639
790 [8/17] EBS <한국기행> 영동편 촬영 물꼬 2013-08-18 2638
789 2006 겨울, 계절 자유학교 사진을 올렸습니다. 물꼬 2007-01-28 2636
788 2006 가을, 백열네 번째 계절 자유학교 file 물꼬생태공동체 2006-09-18 2635
787 여름계자 짐-새로운 준비물이 생겼습니다 물꼬 2008-08-01 2629
786 제 43회 IYC(국제청년캠프)가 물꼬에서도 열립니다(8/11-8/15) 물꼬 2008-07-24 2627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