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꼬stay를 여는 시간 직전

달골 들머리 계곡으로 갔다.

머리 위로 층층나무와 밤나무 꽃이 한창이다.

키 낮은 고추나무도 하얀 꽃을 피우고 있다.

고춧잎을 닮은 잎을 이른 봄 따서 무쳐 먹는 고추나뭇잎.

낮에 꽤 큰 열 마리 버들치를 넘겨준 어항이

계곡에 저녁에도 무사히 잘 담겨져 있다.

또 얼마나 많이 잡혔을까,

하지만 비어있다. 오가는 물고기들도 흔적조차 없다.

어, 이 싸한 마음은...

전쟁이 휩쓸고 지나가 초토화된 마을 같은...

내가 한 짓을 돌아보고 있었다. 털썩!

먼저 잡혔던 것들이 죄 큰 것들이었는데,

어린 것들이 찾고 있거나 슬퍼하거나 겁을 먹고 떨고 있을지도 모른다.

나 좋자고 그들 평화를 깼다 싶어 미안하고 짠해지는.

그들 온 마을을 밥못으로 옮겨주면 좋겠는데, 공지를 붙일 수도 없고...

존재 모두 사는 일이 멀고 길다.

그래도 나는 버들치를 잡고,

이런 순간마다 권정생 선생의 ‘하느님의 눈물’이 떠오른다.

토끼가 제 목숨 부지를 위해 댕댕이 덩굴 앞에서도 눈물 흘리던.

아무도 잡아먹지 않는 세상에 대한 소망이 담겼던.

“보리수 나무 이슬하고 바람 한 줌, 그리고 아침 햇빛 조금 마시고 살지.”

“어마나. 나도 그렇게 살아가게 해 주세요.”

“아직은 안 된단다. 이 세상 모든 사람들이 너처럼 남의 목숨을 소중히 여기는 세상이 오면 그렇게 될 수 있단다.”

나는 여전히 버들치를 잡을 테지...


저녁 6시 물꼬 스테이가 시작되었다.

반야심경을 독송하며 목탁을 치다.

우리에게 목탁은 절집 수행을 따라하는, 그저 악기 하나.

서로 안고 온 숙제를 하고, 자신의 책을 읽었다.


‘오늘도 두 번째 건강한 몸으로 마음에 있는(잇는) 모임’,

학교아저씨는 물꼬스테이를 일지에 이리 써놓았더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5025 2019. 6.10.달날. 밤비 아침에 개고 가끔 구름 / 돌을 쌓다 옥영경 2019-08-05 642
5024 2019. 8. 2.쇠날. 맑음 옥영경 2019-08-22 642
5023 2019. 7.19.쇠날. 밤, 태풍 지나는 옥영경 2019-08-17 643
5022 2022. 1.26.물날. 맑음 / 교육재정을 들여다보다; 풍요는 낭비가 아니다! 옥영경 2022-01-31 643
5021 2024. 4.14.해날. 맑음 옥영경 2024-04-23 645
5020 2015. 7.13.달날. 갬 옥영경 2015-07-31 646
5019 2019 여름 산마을 책방➀ (2019.8.17~18) 갈무리글 옥영경 2019-09-23 646
5018 2023. 8.18.쇠날. 저녁 빗방울 좀 / 어린이 문화라고 하면... 옥영경 2023-08-20 646
5017 2024. 1. 6.흙날. 맑음 / 173계자 미리모임 옥영경 2024-01-08 646
5016 172계자 여는 날, 2023. 8. 6.해날. 맑음 옥영경 2023-08-08 649
5015 2019. 9.20.쇠날. 흐려가는 오후 / 굴착기 옥영경 2019-10-30 651
5014 2019. 7.18.나무날. 도둑비 다녀가고 흐림 옥영경 2019-08-17 652
5013 2019. 8. 1.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9-08-22 653
5012 2015. 2. 6.쇠날. 맑음 옥영경 2015-03-10 654
5011 2015. 9.14.달날. 맑음 옥영경 2015-10-12 654
5010 5월 물꼬stay 이튿날, 2019. 5.18.흙날. 비 옥영경 2019-07-19 654
5009 2019. 7.29.달날. 맑음 / 삼남매의 계곡 옥영경 2019-08-22 654
5008 2014. 5.21.물날. 맑음 옥영경 2014-06-13 655
5007 2019. 7. 3.물날. 맑되 잠깐 구름 / <사람은 사람으로 사람이 된다>(나쓰카리 이쿠코/공명) 옥영경 2019-08-14 656
5006 2015. 1.31.흙날. 흐리다 눈 옥영경 2015-02-26 657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