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5.23.나무날. 맑음

조회 수 564 추천 수 0 2019.07.24 01:19:41


08시 자녀교육에세이 2차 교정원고를 송고하고,

계곡에서 올 첫 딸기를 땄다.

해마다 못다 먹고 지나는 딸기라.

어느 틈에 또 저리 익었나.

자고 일어나면 다른 세상이 있는 산야라.

그 재미로 또 사는 이 산골 삶이라.


건진샘 와서 공사했던 햇발동 보일러가 제대로 작동하는가 확인하다.

보일러실과 창고동 온수 연결고리에 생긴 문제의 원인도 찾고,

공구를 꺼내려고 열었던 컨테이너 문이 뻑뻑하니

그것도 손 닿은 김에 고쳐놓다.

사이집 현관 머리 중앙이 내려앉아 문이 뻑뻑했던 걸

일단 나무로 버팀목을 만들어주어 매끄럽게 하였네.

햇발동 창고동 사이집 우수통 바닥 구멍 다 뚫어주고.

고맙더라.

잠깐 둘러보고 학교로 내려간다 했던 걸, 정오가 다 돼서 끝난 일이었다.

여기 일이 그렇다.


오후에는 학교 큰해우소 전기를 고치다,

내가 아니고 건진샘이.

전기선이 큰해우소 지붕으로 노출된 일은 오래다.

그 말은 볕에 그대로 방치되었다는 것.

전기 들어오니 그러려니 하고 써왔다.

어째 그랬을까, 처음 한 사람이 제대로 했다면,

아니면 남은 이들에게 설명을 잘 했더라면.

어쩌면 우리가 이리 오래 이 학교를 쓸 줄 몰랐기 때문이었을 수도 있다.

벌써 20년 넘어 되게 쓰고 있다.

세월이 그렇다, 사람 일이 그렇다.

내일 일을 모르고 사는 삶이라.

전기선만 그러랴.

전쟁통에 집 떠나 잠시 뒤 돌아갈 줄 알았으나 70년이 흐른 세월도 있잖더냐.

20년이 넘은 세월, 물꼬가 그리 오래 폐교된 학교를 빌려 쓸 줄 몰랐지.

학교를 새로 들어앉힐 줄 알았지.

그런데 아직 이 낡고 낡은 학교를 쓰고 있다.

그리고 얼마쯤을 더 쓰게 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4934 2007. 3. 3.흙날. 흐림 옥영경 2007-03-10 1217
4933 5월 14일 흙날 맑음 옥영경 2005-05-20 1217
4932 9월 24일 쇠날 맑음, 령이의 통장 옥영경 2004-09-28 1217
4931 2012. 2.28.불날. 흐린 하늘 옥영경 2012-03-07 1216
4930 147 계자 닫는 날, 2011. 8.19.쇠날. 맑음 옥영경 2011-09-06 1216
4929 2011. 5.20.쇠날. 맑다 오후 비 옥영경 2011-06-04 1216
4928 2011. 5. 7.흙날. 흐리고 빗방울 지나다 맑음 옥영경 2011-05-20 1216
4927 2010.12.17.쇠날. 눈 옥영경 2010-12-31 1216
4926 133 계자 여는 날, 2009. 8. 9.해날. 회색구름 지나 오후 볕 옥영경 2009-08-14 1216
4925 2007. 8.31.쇠날. 비 옥영경 2007-09-21 1216
4924 2007. 8.30.나무날. 비 옥영경 2007-09-21 1216
4923 2006.2.25.흙날. 흐리다 빗방울 / 풍물특강 사흘째 옥영경 2006-02-28 1216
4922 10월 21일 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4-10-28 1216
4921 2013. 2. 5.불날. 잔비 내리더니 어둠과 함께 눈 옥영경 2013-02-21 1215
4920 2012. 4.26.나무날. 맑으나 태풍 같은 바람 옥영경 2012-04-30 1215
4919 149 계자 갈무리글 옥영경 2012-01-13 1215
4918 2011.10.13.나무날. 썩 커다란 달무리 옥영경 2011-10-21 1215
4917 4월 빈들 여는 날 / 2009. 4.24.쇠날. 흐리다 간간이 빗방울 옥영경 2009-05-09 1215
4916 2008. 6. 27.쇠날. 맑음 옥영경 2008-07-11 1215
4915 2008. 3. 2.해날. 황사 옥영경 2008-03-23 1215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