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시 창고동 청소를 한다.

좋아하는 이들을 맞는 아침 시간은 얼마나 복된가.

그들을 위해 뭔가 내 손발을 움직일 수 있음은 또 얼마나 행인가.

06시 해건지기.

창고동에서 시작한 수행은 아침뜨樂으로 이어진다.

‘아침뜨락을 한바퀴하면서

내가 잘 모르는(?) 그래서 잘 안보이는 애쓴 흔적들을 들으며 그리고 또 보며

내 삶에도 누가 보든 보지 않든 잘 가꾸어가야겠다고 생각했다.’(휘령샘의 갈무리 글 가운데서)

아, 어제 모신 저 느티나무를 보라!

‘미궁에 느티나무(아주 잘생긴)가 아침뜨락의 화룡점정이 되었다!’(같은 글 가운데서)


달골에서 간단한 아침을 먹기로 한 닫는 날이라.

햇발동 거실에서 아침을 먹고,

아침뜨樂에 들어 일 수행으로 달못 아래 풀을 뽑다.

쑥은 왜 나무가 되지 못했나,

그래도 쑥 덕분에 아침뜨樂을 더 가꿀 수 있겠구나들 했다지.

쑥에게서 연대도 배우고 삶의 자세도 배웠다나.

일하는 삶이 참 귀하다는 생각들도 하였더란다.

아침뜨樂 옴자에 박던 대나무 울타리를 이어 망치질 했다.


낮밥으로 골뱅이 소면을 냈네.

간밤에 야참으로 먹지 못해 아쉬워들 했던 그것.

떠나는 이 하나에게 사과잼을 싸서 보내다.

여럿이면 어려울 것을 단촐하니 또 이런 것도 하네.

사람들이 나가고,

기락샘과 남은 대나무 울을 다시 박아 나가다.

반찬을 9번 통까지 채워 기락샘 편에 대전의 물꼬 안식구들에게도 보내다.


밤, 이웃마을 벗이 건너와 이즈음의 삶에 대해 이야기 나누고 갔네.

비가 시작되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4994 2014. 5.21.물날. 맑음 옥영경 2014-06-13 646
4993 2015. 9.14.달날. 맑음 옥영경 2015-10-12 647
4992 2015. 1.31.흙날. 흐리다 눈 옥영경 2015-02-26 650
4991 2019. 2.25.달날. 맑음 / 특강 옥영경 2019-04-04 651
4990 2019. 7.31.물날. 맑음 / 날마다 하늘을 밟고 사는 이 옥영경 2019-08-22 651
4989 165 계자 사흗날, 2020. 1.14.불날. 맑음 옥영경 2020-01-26 651
4988 5월 물꼬stay 여는 날, 2019. 5.17.쇠날. 흐려가는 하늘 옥영경 2019-07-19 652
4987 171계자 이튿날, 2023. 1. 9.달날. 푹하고 흐린 옥영경 2023-01-11 653
4986 2019. 6.20.나무날. 좀 흐린 / 책 <내 삶은 내가 살게 네 삶은 네가 살아> 출간 옥영경 2019-08-07 654
4985 2019. 6.26.물날. 흐리고 비 / 물꼬 해우소는 더럽다? 옥영경 2019-08-13 654
4984 2019. 6.28.쇠날. 저녁 비 / 원석연과 이생진 옥영경 2019-08-14 654
4983 2023. 9.23.흙날. 맑음 / 작업실 C동 장판 옥영경 2023-10-02 654
4982 2020. 4.21.불날. 화창하지는 않은 옥영경 2020-07-07 655
4981 2015. 5.23.흙날. 맑음 옥영경 2015-07-06 657
4980 2023.10.21(흙날) ~ 22(해날). 흐리다 맑음 / 10월 집중수행 옥영경 2023-10-30 657
4979 2019. 7. 1.달날. 아주 잠깐 빗방울 두엇 / 풀매기 원정 옥영경 2019-08-14 658
4978 2015. 6.22.달날. 밤 비 옥영경 2015-07-23 659
4977 2015. 5. 7.나무날. 구름 조금 / 자유학기제 간담회 옥영경 2015-06-24 660
4976 169계자 닷샛날, 2022. 1.13.나무날. 눈 내린 아침, 그리고 볕 좋은 오후 / ‘재밌게 어려웠다’, 손님들의 나라 [1] 옥영경 2022-01-15 661
4975 2015. 9.17.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5-10-16 662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