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시 창고동 청소를 한다.

좋아하는 이들을 맞는 아침 시간은 얼마나 복된가.

그들을 위해 뭔가 내 손발을 움직일 수 있음은 또 얼마나 행인가.

06시 해건지기.

창고동에서 시작한 수행은 아침뜨樂으로 이어진다.

‘아침뜨락을 한바퀴하면서

내가 잘 모르는(?) 그래서 잘 안보이는 애쓴 흔적들을 들으며 그리고 또 보며

내 삶에도 누가 보든 보지 않든 잘 가꾸어가야겠다고 생각했다.’(휘령샘의 갈무리 글 가운데서)

아, 어제 모신 저 느티나무를 보라!

‘미궁에 느티나무(아주 잘생긴)가 아침뜨락의 화룡점정이 되었다!’(같은 글 가운데서)


달골에서 간단한 아침을 먹기로 한 닫는 날이라.

햇발동 거실에서 아침을 먹고,

아침뜨樂에 들어 일 수행으로 달못 아래 풀을 뽑다.

쑥은 왜 나무가 되지 못했나,

그래도 쑥 덕분에 아침뜨樂을 더 가꿀 수 있겠구나들 했다지.

쑥에게서 연대도 배우고 삶의 자세도 배웠다나.

일하는 삶이 참 귀하다는 생각들도 하였더란다.

아침뜨樂 옴자에 박던 대나무 울타리를 이어 망치질 했다.


낮밥으로 골뱅이 소면을 냈네.

간밤에 야참으로 먹지 못해 아쉬워들 했던 그것.

떠나는 이 하나에게 사과잼을 싸서 보내다.

여럿이면 어려울 것을 단촐하니 또 이런 것도 하네.

사람들이 나가고,

기락샘과 남은 대나무 울을 다시 박아 나가다.

반찬을 9번 통까지 채워 기락샘 편에 대전의 물꼬 안식구들에게도 보내다.


밤, 이웃마을 벗이 건너와 이즈음의 삶에 대해 이야기 나누고 갔네.

비가 시작되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6494 2023. 2.27.달날. 맑음 옥영경 2023-03-21 323
6493 2020. 5.26.불날. 맑음 옥영경 2020-08-12 324
6492 2020. 5.31.해날. 한밤 도둑비 옥영경 2020-08-13 324
6491 2020. 6.10.물날. 저녁 소나기 / 차려진 밥상 옥영경 2020-08-13 324
6490 2020. 7. 5.해날. 흐린 속에 안타까운 듯 두어 방울 비 옥영경 2020-08-13 324
6489 2020. 7. 9.나무날. 뿌연 해 옥영경 2020-08-13 324
6488 2022. 6.30.나무날. 비 온다더니 / <다정한 것이 살아남는다> 옥영경 2022-07-27 324
6487 10월 빈들 닫는 날, 2022.10.23.해날. 뿌연 하늘 옥영경 2022-11-12 324
6486 2022.12. 7.물날. 흐림 옥영경 2022-12-29 324
6485 2022.12.19.달날. 맑음 / 산타가 어른들한테 선물을 주지 않는 까닭 옥영경 2023-01-06 324
6484 2023. 3. 5.해날. 맑음 옥영경 2023-03-26 324
6483 2020. 5.22.쇠날. 맑다가 빗방울 / 30여년 건너온 편지 옥영경 2020-08-12 325
6482 2020. 6. 9.불날. 맑음, 이틀째 폭염주의보 / 옥샘 어딨어요? 옥영경 2020-08-13 325
6481 2020. 6.17.물날. 살짝 흐린 옥영경 2020-08-13 325
6480 2020. 6.19.쇠날. 맑음 옥영경 2020-08-13 325
6479 2022. 2.13.해날. 흐린가 했더니 미세먼지라는 옥영경 2022-03-24 325
6478 2022. 9.16.쇠날. 흐림 옥영경 2022-10-01 325
6477 2022. 9.28.물날. 안개인 줄, 미세먼지라는 옥영경 2022-10-13 325
6476 2022.10. 2.해날. 흐리다 새벽 2시부터 비 떨어지다 옥영경 2022-10-18 325
6475 2022 겨울 청계 여는 날, 2022.12.24.흙날. 맑음 옥영경 2023-01-06 325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