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시 창고동 청소를 한다.

좋아하는 이들을 맞는 아침 시간은 얼마나 복된가.

그들을 위해 뭔가 내 손발을 움직일 수 있음은 또 얼마나 행인가.

06시 해건지기.

창고동에서 시작한 수행은 아침뜨樂으로 이어진다.

‘아침뜨락을 한바퀴하면서

내가 잘 모르는(?) 그래서 잘 안보이는 애쓴 흔적들을 들으며 그리고 또 보며

내 삶에도 누가 보든 보지 않든 잘 가꾸어가야겠다고 생각했다.’(휘령샘의 갈무리 글 가운데서)

아, 어제 모신 저 느티나무를 보라!

‘미궁에 느티나무(아주 잘생긴)가 아침뜨락의 화룡점정이 되었다!’(같은 글 가운데서)


달골에서 간단한 아침을 먹기로 한 닫는 날이라.

햇발동 거실에서 아침을 먹고,

아침뜨樂에 들어 일 수행으로 달못 아래 풀을 뽑다.

쑥은 왜 나무가 되지 못했나,

그래도 쑥 덕분에 아침뜨樂을 더 가꿀 수 있겠구나들 했다지.

쑥에게서 연대도 배우고 삶의 자세도 배웠다나.

일하는 삶이 참 귀하다는 생각들도 하였더란다.

아침뜨樂 옴자에 박던 대나무 울타리를 이어 망치질 했다.


낮밥으로 골뱅이 소면을 냈네.

간밤에 야참으로 먹지 못해 아쉬워들 했던 그것.

떠나는 이 하나에게 사과잼을 싸서 보내다.

여럿이면 어려울 것을 단촐하니 또 이런 것도 하네.

사람들이 나가고,

기락샘과 남은 대나무 울을 다시 박아 나가다.

반찬을 9번 통까지 채워 기락샘 편에 대전의 물꼬 안식구들에게도 보내다.


밤, 이웃마을 벗이 건너와 이즈음의 삶에 대해 이야기 나누고 갔네.

비가 시작되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6594 2024. 2.10.해날. 힘찬 해 / 설 옥영경 2024-02-13 413
6593 2024. 2. 8~9.나무~쇠날. 맑음 옥영경 2024-02-13 374
6592 2024. 2. 7.물날. 어렴풋한 해 옥영경 2024-02-13 373
6591 2023학년도 2월 실타래학교(2.3~6) 갈무리글 옥영경 2024-02-13 325
6590 실타래학교 닫는 날, 2024. 2. 6.불날. 비, 그리고 밤눈 옥영경 2024-02-13 368
6589 실타래학교 사흗날, 2024. 2. 5.달날. 서설(瑞雪) 옥영경 2024-02-13 322
6588 실타래학교 이튿날, 2024. 2. 4.해날. 갬 / 상주 여행 옥영경 2024-02-11 332
6587 실타래학교 여는 날, 2024. 2. 3.흙날. 저녁비 옥영경 2024-02-11 337
6586 2024. 2. 2.쇠날. 맑음 옥영경 2024-02-11 334
6585 2024. 2. 1.나무날. 맑음 옥영경 2024-02-11 332
6584 2024. 1.31.물날. 안개 내린 것 같았던 미세먼지 / 국립세종수목원 옥영경 2024-02-11 317
6583 2024. 1.30.불날. 맑음 옥영경 2024-02-11 320
6582 2024. 1.29.달날. 맑음 / 그대에게 옥영경 2024-02-11 312
6581 2024. 1.28.해날. 구름 좀 옥영경 2024-02-11 320
6580 2024. 1.27.흙날. 흐림 / 과거를 바꾸는 법 옥영경 2024-02-08 348
6579 2024. 1.26.쇠날. 맑음 / '1001' 옥영경 2024-02-08 334
6578 2024. 1.25.나무날. 맑음 옥영경 2024-02-07 336
6577 2024. 1.24.물날. 맑음 / 탁류, 그리고 옥구농민항쟁 옥영경 2024-02-07 325
6576 2024. 1.23.불날. 눈 / 끊임없이 자기 해방하기 옥영경 2024-02-07 308
6575 2024. 1.22.달날. 맑음 / 포트락 옥영경 2024-02-07 314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