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밤 늦도록 6월 출간 예정인 책의 교정지를 들여다보고,

다시 책상 앞에서 그것을 마주하며 아침을 연다.


어제에 이어 욕실 타일을 손보다.

흙집 씻는 곳 여자 쪽 터진 벽을 하얀샘이 와서 말짱하게 붙였다.

흙벽 긁어낸 자리에 보온재를 넣고 시멘트로 마감하고 타일을 붙이고.

다른 벽면 수도꼭지 둘레로 깨진 벽면이 또 있었다.

꼭지 들어 올리며 손 베기 좋은 위치라.

실리콘을 쏘거나 하여 날카로운 부분만 없앨 수도 있을 것을

하는 결에 타일을 잘라 붙이다.

음... 그런데, 창문 쪽에도 또 있는데...

이 산골 낡은 살림이 그러하다...


한 아이(라고 하지만 청년) 상담.

우리가 결코 감당하지 못할 고통을 지난다 해도 그것이 결코 영원하지는 않다.

좋은 기분 또한 그러하듯이.

아무리 좋아하고 아무리 원해도.

고통에 대한 붓다의 가르침도 그랬다.

제 아무리 고통스러워도 반드시 사라진다.

그렇게 사라지는데도 계속 통증을 느끼는 것은

마치 그것을 실체라고 느끼는 착각에서 비롯된다.

아픈 게 아니라 우리 머리 안에서 고통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물론 그 고통은 몇 년간 지속되기도 하고,

그래서 그것에서 벗어나기 위해 우리는 스스로 목숨을 버리기까지도 한다.

그러나 그 고통 자체가 실재하지 않음을 안다면!

고통 또한 무상이라.

고통을 어떻게 마주할 수 있는지, 혹은 뛰어넘을 수 있는지

물꼬에서 하는 몸다루기를 전하다.

그래 보아야 말이지, 그건 잊히기 쉽다.

조만간 물꼬에 와서 몸으로 수행키로 한다.


밤, 다시 교정지랑 마주하다.

낼 서울역에서 교정지를 넘기기로 한다.

출판사 측에서 마지막 확인을 하고 저자의 OK 사인이 최종 떨어지면

인쇄기가 돌아가리.

마침 연어의 날 준비위 반짝모임이 낼 저녁 7시 서울역에서 있네.

그전 기차가 6시 도착,

편집자랑 드디어 얼굴을 보겠고나.

책이 되려는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754 2015.12. 7.달날. 흐림 옥영경 2015-12-24 680
1753 2015.10. 5.달날. 맑음 옥영경 2015-10-31 680
1752 2015. 9.24.나무날. 축축한, 그저 옥영경 2015-10-17 680
1751 2015. 9. 8.불날. 맑음 옥영경 2015-10-01 680
1750 2015. 8.22.흙날. 흐림 옥영경 2015-09-15 680
1749 2015. 7.12.해날. 흐리다 비, 그리고 바람 옥영경 2015-07-31 680
1748 2015. 5.27.물날. 맑음 옥영경 2015-07-08 680
1747 2015. 4. 4.흙날. 흐리다 비 옥영경 2015-04-29 680
1746 2015. 3.14.흙날. 맑음 옥영경 2015-04-16 680
1745 2014.12. 4.나무날. 다시 눈발 옥영경 2014-12-18 680
1744 2014. 9.26.쇠날. 맑음 옥영경 2014-10-22 680
1743 2014. 9. 5.쇠날. 구름 조금 옥영경 2014-10-06 680
1742 2014. 8.31.해날. 흐려지는 오후 옥영경 2014-09-20 680
1741 2014. 5.20.불날. 종일 몇 방울의 비 옥영경 2014-06-07 680
1740 2014. 1.24.쇠날. 맑음 옥영경 2014-02-18 680
1739 2014. 1.22.물날. 맑음 옥영경 2014-02-18 680
1738 2013. 7.11.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3-07-28 680
1737 2013. 7. 9.불날. 가끔 흐림 옥영경 2013-07-26 680
1736 2015.11.18.물날. 비 옥영경 2015-12-14 679
1735 2015. 9. 9.물날. 맑음 옥영경 2015-10-07 679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