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 내리는 아침이다.

‘아침 같이 할까요?’

문자가 들어왔다.

인근에서 작업을 하는 물꼬의 바깥식구 하나이다.

품앗이일꾼이기도 하고 논두렁이기도 한.

떡을 사왔다. 죽을 사려 하였으나 죽집이 문을 열지 않았더라는.

비 내리는 산마을 일상은 들이 집안으로 들어온 날.

오전은 책상 앞에서 하는 일들로 채운다.


이 여름에 자주 미는 칼국수이다.

준한샘 기락샘이며 밖에서들 들어온 이들 모였다.

시카고에 살 적 외국 친구들과 같이 칼국수를 만들어먹던 날

그 이름 때문에 한바탕 웃은 적이 있다.

“칼로 만들어?”

반죽을 펼쳐내어 면을 부엌칼로 썰어 뽑기 때문에 칼국수일 테지.

국수처럼 면을 삶아내어 국물에 마는 게 아니라

국물에 면을 처음부터 넣고 삶기 면 속의 전분으로 국물이 걸쭉하게 된다.

그래서 칼국수의 정식 영문 명칭을 Noodle Soup이라 했을 듯.

일본이라면 호우토우 우동이 칼국수랑 비슷하겠다, 미소국물에 끓인.

중국은 도삭면, 즉 '칼로 썰어 만드는 국수'가 있다던데.

면을 만드는 방법으로 치자면 수공면(手工面, 쇼우꽁미엔)이겠지.

땀 흘려 반죽하고 냉장고에 30여 분 넣어뒀다 꺼내

방망이로 밀고 칼로 썬다.

여름날엔 애호박을 채썰어 얹지.

딱 대해리표 여름 칼국수,

콩나물국밥, 잔치국수, 시래기국밥, 골뱅이소면무침처럼 물꼬의 대표 음식이라는.


해금이다. 가뭄으로 아침저녁 한 시간으로 제한급수하던 수돗물이었다.

펑펑 나오지.

그 물 반가워 싱크대며 그릇 엎는 바구니며 박박 씻는다.

부엌 바닥 청소도 얼른 한다.

구석의 묵은 먼지, 하루 이틀 사흘 그리고 일주일이 되고 한 달이 되고

그렇게 여러 달이 쌓였을 것이다.

작년 한 해를 비우고 한국에 돌아와서도 걸레질을 않은 것은 아니지만

장판 겹쳐진 곳을 일일이 빡빡 닦지 못했더랬다.

장판 끝 접착제가 밀려나와 꼬질꼬질하고 시커멓게 뭉친 것들,

칼로 벗겨내고 걸레로 닦지.

개운하다.

물이 고마운 또 하루였더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654 5월 25일 물날 맑음 옥영경 2005-05-27 1236
1653 6월 6일 달날 의심없는 여름 옥영경 2005-06-09 1236
1652 계자 104 닫는 날, 6월 26일 해날 꾸물꾸물 옥영경 2005-07-08 1236
1651 2006.10.21.흙날. 맑음 / 밥알모임 옥영경 2006-10-25 1236
1650 2008. 2. 8.쇠날. 맑은데도 눈 나풀나풀 옥영경 2008-03-05 1236
1649 2008. 5.22.나무날. 뿌연 하늘 옥영경 2008-06-01 1236
1648 2009. 5.18.달날. 맑음 옥영경 2009-06-03 1236
1647 2011. 5. 7.흙날. 흐리고 빗방울 지나다 맑음 옥영경 2011-05-20 1236
1646 2011. 6.25.흙날. 비 옥영경 2011-07-11 1236
1645 2012. 5.31.나무날. 젖은 아침 하늘 / 봄 단식 나흗날 옥영경 2012-06-09 1236
1644 2005.12.28.물날.맑음 / 할아버지의 봄맞이처럼 옥영경 2005-12-29 1237
1643 2006. 9.29.-10. 8. / 한가위방학 옥영경 2006-09-29 1237
1642 2006.12.22.쇠날. 맑음 옥영경 2006-12-26 1237
1641 2007. 6.12.불날. 맑음 옥영경 2007-06-26 1237
1640 2008. 3.19.물날. 맑음 옥영경 2008-04-06 1237
1639 2008. 3.21.쇠날. 맑음 옥영경 2008-04-06 1237
1638 8월 24일 물날 비 옥영경 2005-09-11 1238
1637 2006.5.9.불날. 흐릿 옥영경 2006-05-11 1238
1636 2006.10.28.흙날. 맑음 옥영경 2006-10-31 1238
1635 2007. 3.10-11.흙-해날. 눈보라 / 달골에서 묵은 생명평화탁발순례단 옥영경 2007-03-28 1238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