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 내리는 아침이다.

‘아침 같이 할까요?’

문자가 들어왔다.

인근에서 작업을 하는 물꼬의 바깥식구 하나이다.

품앗이일꾼이기도 하고 논두렁이기도 한.

떡을 사왔다. 죽을 사려 하였으나 죽집이 문을 열지 않았더라는.

비 내리는 산마을 일상은 들이 집안으로 들어온 날.

오전은 책상 앞에서 하는 일들로 채운다.


이 여름에 자주 미는 칼국수이다.

준한샘 기락샘이며 밖에서들 들어온 이들 모였다.

시카고에 살 적 외국 친구들과 같이 칼국수를 만들어먹던 날

그 이름 때문에 한바탕 웃은 적이 있다.

“칼로 만들어?”

반죽을 펼쳐내어 면을 부엌칼로 썰어 뽑기 때문에 칼국수일 테지.

국수처럼 면을 삶아내어 국물에 마는 게 아니라

국물에 면을 처음부터 넣고 삶기 면 속의 전분으로 국물이 걸쭉하게 된다.

그래서 칼국수의 정식 영문 명칭을 Noodle Soup이라 했을 듯.

일본이라면 호우토우 우동이 칼국수랑 비슷하겠다, 미소국물에 끓인.

중국은 도삭면, 즉 '칼로 썰어 만드는 국수'가 있다던데.

면을 만드는 방법으로 치자면 수공면(手工面, 쇼우꽁미엔)이겠지.

땀 흘려 반죽하고 냉장고에 30여 분 넣어뒀다 꺼내

방망이로 밀고 칼로 썬다.

여름날엔 애호박을 채썰어 얹지.

딱 대해리표 여름 칼국수,

콩나물국밥, 잔치국수, 시래기국밥, 골뱅이소면무침처럼 물꼬의 대표 음식이라는.


해금이다. 가뭄으로 아침저녁 한 시간으로 제한급수하던 수돗물이었다.

펑펑 나오지.

그 물 반가워 싱크대며 그릇 엎는 바구니며 박박 씻는다.

부엌 바닥 청소도 얼른 한다.

구석의 묵은 먼지, 하루 이틀 사흘 그리고 일주일이 되고 한 달이 되고

그렇게 여러 달이 쌓였을 것이다.

작년 한 해를 비우고 한국에 돌아와서도 걸레질을 않은 것은 아니지만

장판 겹쳐진 곳을 일일이 빡빡 닦지 못했더랬다.

장판 끝 접착제가 밀려나와 꼬질꼬질하고 시커멓게 뭉친 것들,

칼로 벗겨내고 걸레로 닦지.

개운하다.

물이 고마운 또 하루였더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634 6월 6일 달날 의심없는 여름 옥영경 2005-06-09 1232
1633 2005.11.13.해날.맑음 / 중량(重量)초과(草果) 生 옥영경 2005-11-14 1232
1632 2006.2.4. 흙날. 매서운 추위. 가족들살이 이튿날 옥영경 2006-02-06 1232
1631 2006.8.31.나무날. 맑음 / 새 식구 옥영경 2006-09-14 1232
1630 2007. 3. 5. 달날. 눈비, 그리고 지독한 바람 옥영경 2007-03-15 1232
1629 2007. 3.25.해날. 맑음 옥영경 2007-04-09 1232
1628 2007. 4.27.쇠날. 맑음 옥영경 2007-05-14 1232
1627 2007. 6.12.불날. 맑음 옥영경 2007-06-26 1232
1626 2011.11.23.물날. 비와 해와 구름과 거친 바람과 옥영경 2011-12-05 1232
1625 2005.11.28.달날.맑음 / 돌아온 식구 옥영경 2005-12-01 1233
1624 2006.8.27-30.해-나무날 옥영경 2006-09-14 1233
1623 2006.9.3.해날. 맑음 / 가을학기 햇발동 첫 밤 옥영경 2006-09-14 1233
1622 2006.12.22.쇠날. 맑음 옥영경 2006-12-26 1233
1621 2007. 5.16.물날. 비 옥영경 2007-05-31 1233
1620 2009. 2.26.나무날. 맑더니 오후 늦게 흐려지다 옥영경 2009-03-11 1233
1619 2013. 5. 2.나무날. 먹구름 가끔 지나고 옥영경 2013-05-08 1233
1618 2008. 4.17.나무날. 빗방울 오다가다 옥영경 2008-05-04 1234
1617 5월 21일 흙날 흐리더니 개데요 옥영경 2005-05-27 1235
1616 물꼬가 병원을 기피(?)한다고 알려진 까닭 옥영경 2005-07-16 1235
1615 2006.5.9.불날. 흐릿 옥영경 2006-05-11 1235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