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마을 두멧길 어둠 속을 세 아이와 어미를 앞세우고 걷는다.

맨발로 딛는 발바닥은 장마에 푹 적셔진 땅을 오롯이 읽는다.

윗마을 돌고개로 가는 작은 사이 마을의 펜션 하나가 아래위층 휘영청 불을 밝히고,

손님들이 굽는 고기 연기가 어지러우나

비 내린 산마을의 고요를 해치진 않는다.

저녁 8시 밥상을 물린 뒤였다.

흐린 하늘은 어둠을 빨리 불렀으나

별 거둔 밤이어도 눈이 익으니 칠흑은 아니었네.

아이 셋이 저만치 먼저 뛰어갔다가 돌아오기를 반복한다.

땀에 흠뻑 절였다.

가로등에 아이들 그림자가 길었다.

아이 셋만으로도 산골짝이 꽉 찬다.

존재의 힘, 아이들 존재는 그런 것이다!


유설샘네가 며칠 왔다.

해마다 6월 물꼬 행사에 빠지지 않았던 그네나 올해는 그렇지 못했다.

건어물이며 견과류며 곡주 안주에 넉넉할 마른 것들이

그 가족 대신 지난 연어의 날에 출석했더랬네.

어느새 4학년이 된 소울이는 아직도 집을 떠날 생각을 절대 안 한다 하니

여름 계자에서도 못 보니 올 여름은 아쉬울까 했는데

기차 타고 이리들 와 주었네.

유설샘과 미루샘과 물꼬의 품앗이일꾼이었고,

그들이 혼인을 하고 그 혼례에 주례를 섰더랬다.

그리고 이어 태어난 아이 셋,

막내 소미가 여섯 살이 되었다.

마침 들어와 있던 기락샘이 실어왔다, 어린 것들 버스까지 타면 힘들다고.

요새 자주 영동역 물꼬 간 셔틀 노릇이 잦은 그니이다.


홍차를 내려 떼오 오랑주와 찰보리빵으로 간단한 요기를 하고,

저녁 밥상에 앉았네.

갓 따온 호박으로 국을 끓이고 엊그제 이웃 형님이 준 깻잎 졸인 거며

요새 넘쳐서 제 값 못 받는다지만 맛은 더 좋은 양파장아찌며

뭐라도 하나 챙겨온다고 유설샘이 해온 반찬에...

밥을 먹는 사이 단호박죽도 끓였다, 아침으로 먹으면 좋겠다 하고.

하얀샘이 빻아다 준 찹쌀가루와 역시 그가 사다준 홍대(붉은 큰 팥)를 불려 삶아 넣은.


혜정샘의 연락이 들어왔다.

새로 태어난, 벌써 돌이지만, 둘째 아이 인사 시킨다고,

계자에 들어오는 날 부산한 영동역에서 첫인사 드리고 싶지 않다고

계자 준비로 바쁠 때지만 혹 내일 잠깐 살짝 찾아와야 되냐고.

여기 너무너무 습해서 사람 절대 오라고 못할 상황이나

아이가 인사를 온다는 데야! 서연이 동생 서진이라는 데야! 혜정샘네라잖어.

어여 어여 오시라 했네.

유설샘네랑 또 각별한 인연의 끈들이라.

그러니까 유설샘의 후배가 소정샘, 소정샘의 언니가 혜정샘.

유설샘과 혜정샘이 물꼬에서 만나도 좋겠네.


164 계자 밥바라지 1호기 정환샘의 전화.

안부 겸 가마솥방 상황(계자를 위해 물꼬에 챙겨오면 좋을 만한 것들?) 궁금해서 한 연락.

오랜만의 방문이라 감이 많이 없다면서.

교사로서 또 한 사람으로서 내게 배움을 주는 한 청년.

저이를 교사로 둔 학교의 아이들은 또 얼마나 복일 것인가.


아침에 해가 반짝 났었기 반가워라며

햇발동 베란다며 현관이며 다 열어놓고

차의 바닥깔개도 빨아 척척 걸쳐두었는데,

너무 부지런한 것도 때로 주책이라

그만 비 다시 쏟아진 한낮이었댔네.

다시 멈추기는 하였으나 습을 묵직하게 머금은 공기라.

열한 살 소울이가 밤마을을 걷다 그랬다, 공기가 안 좋다고.

무겁다는 말이겠다.

습을 머금은 공기이니.

장마다, 장마 같은 장마.

이 맘 때면 어김없이 하는 생각이

사람이 죽으란 법 없다는 어르신들 말씀이었다.그 말이 또 나를 살려온 문장 하나였댔지.

장마에서 만나는 볕이 그러했네, 결국 걷히는 장마가 그러했네.

곧 물러날 장마라.


장마라도 마음이 뽀송하지 않을 건 뭐겠는가.

어디나 스몄을 물기이나

마음에는 볕들이시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6494 2020. 7. 3.쇠날. 흐리다 비 옥영경 2020-08-13 324
6493 2020. 7. 9.나무날. 뿌연 해 옥영경 2020-08-13 324
6492 2022. 7.20.물날. 갬 옥영경 2022-08-05 324
6491 10월 빈들 닫는 날, 2022.10.23.해날. 뿌연 하늘 옥영경 2022-11-12 324
6490 2022.12. 7.물날. 흐림 옥영경 2022-12-29 324
6489 2022.12.19.달날. 맑음 / 산타가 어른들한테 선물을 주지 않는 까닭 옥영경 2023-01-06 324
6488 2023. 2. 2.나무날. 흐린 아침 / 경옥고 나흘째 옥영경 2023-03-04 324
6487 2023. 3. 5.해날. 맑음 옥영경 2023-03-26 324
6486 2020. 5.22.쇠날. 맑다가 빗방울 / 30여년 건너온 편지 옥영경 2020-08-12 325
6485 2020. 5.26.불날. 맑음 옥영경 2020-08-12 325
6484 2020. 6. 9.불날. 맑음, 이틀째 폭염주의보 / 옥샘 어딨어요? 옥영경 2020-08-13 325
6483 2020. 6.17.물날. 살짝 흐린 옥영경 2020-08-13 325
6482 2020. 7. 5.해날. 흐린 속에 안타까운 듯 두어 방울 비 옥영경 2020-08-13 325
6481 2022. 2.13.해날. 흐린가 했더니 미세먼지라는 옥영경 2022-03-24 325
6480 2022. 6.30.나무날. 비 온다더니 / <다정한 것이 살아남는다> 옥영경 2022-07-27 325
6479 2022. 9.16.쇠날. 흐림 옥영경 2022-10-01 325
6478 2022. 9.28.물날. 안개인 줄, 미세먼지라는 옥영경 2022-10-13 325
6477 2023. 2. 9.나무날. 다저녁 비, 한밤 굵은 눈 옥영경 2023-03-07 325
6476 2023. 3. 3.쇠날. 맑음 옥영경 2023-03-26 325
6475 4월 빈들 닫는 날, 2023. 4.23.해날. 꾸물덕거리는 하늘 옥영경 2023-05-29 325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