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마을 두멧길 어둠 속을 세 아이와 어미를 앞세우고 걷는다.

맨발로 딛는 발바닥은 장마에 푹 적셔진 땅을 오롯이 읽는다.

윗마을 돌고개로 가는 작은 사이 마을의 펜션 하나가 아래위층 휘영청 불을 밝히고,

손님들이 굽는 고기 연기가 어지러우나

비 내린 산마을의 고요를 해치진 않는다.

저녁 8시 밥상을 물린 뒤였다.

흐린 하늘은 어둠을 빨리 불렀으나

별 거둔 밤이어도 눈이 익으니 칠흑은 아니었네.

아이 셋이 저만치 먼저 뛰어갔다가 돌아오기를 반복한다.

땀에 흠뻑 절였다.

가로등에 아이들 그림자가 길었다.

아이 셋만으로도 산골짝이 꽉 찬다.

존재의 힘, 아이들 존재는 그런 것이다!


유설샘네가 며칠 왔다.

해마다 6월 물꼬 행사에 빠지지 않았던 그네나 올해는 그렇지 못했다.

건어물이며 견과류며 곡주 안주에 넉넉할 마른 것들이

그 가족 대신 지난 연어의 날에 출석했더랬네.

어느새 4학년이 된 소울이는 아직도 집을 떠날 생각을 절대 안 한다 하니

여름 계자에서도 못 보니 올 여름은 아쉬울까 했는데

기차 타고 이리들 와 주었네.

유설샘과 미루샘과 물꼬의 품앗이일꾼이었고,

그들이 혼인을 하고 그 혼례에 주례를 섰더랬다.

그리고 이어 태어난 아이 셋,

막내 소미가 여섯 살이 되었다.

마침 들어와 있던 기락샘이 실어왔다, 어린 것들 버스까지 타면 힘들다고.

요새 자주 영동역 물꼬 간 셔틀 노릇이 잦은 그니이다.


홍차를 내려 떼오 오랑주와 찰보리빵으로 간단한 요기를 하고,

저녁 밥상에 앉았네.

갓 따온 호박으로 국을 끓이고 엊그제 이웃 형님이 준 깻잎 졸인 거며

요새 넘쳐서 제 값 못 받는다지만 맛은 더 좋은 양파장아찌며

뭐라도 하나 챙겨온다고 유설샘이 해온 반찬에...

밥을 먹는 사이 단호박죽도 끓였다, 아침으로 먹으면 좋겠다 하고.

하얀샘이 빻아다 준 찹쌀가루와 역시 그가 사다준 홍대(붉은 큰 팥)를 불려 삶아 넣은.


혜정샘의 연락이 들어왔다.

새로 태어난, 벌써 돌이지만, 둘째 아이 인사 시킨다고,

계자에 들어오는 날 부산한 영동역에서 첫인사 드리고 싶지 않다고

계자 준비로 바쁠 때지만 혹 내일 잠깐 살짝 찾아와야 되냐고.

여기 너무너무 습해서 사람 절대 오라고 못할 상황이나

아이가 인사를 온다는 데야! 서연이 동생 서진이라는 데야! 혜정샘네라잖어.

어여 어여 오시라 했네.

유설샘네랑 또 각별한 인연의 끈들이라.

그러니까 유설샘의 후배가 소정샘, 소정샘의 언니가 혜정샘.

유설샘과 혜정샘이 물꼬에서 만나도 좋겠네.


164 계자 밥바라지 1호기 정환샘의 전화.

안부 겸 가마솥방 상황(계자를 위해 물꼬에 챙겨오면 좋을 만한 것들?) 궁금해서 한 연락.

오랜만의 방문이라 감이 많이 없다면서.

교사로서 또 한 사람으로서 내게 배움을 주는 한 청년.

저이를 교사로 둔 학교의 아이들은 또 얼마나 복일 것인가.


아침에 해가 반짝 났었기 반가워라며

햇발동 베란다며 현관이며 다 열어놓고

차의 바닥깔개도 빨아 척척 걸쳐두었는데,

너무 부지런한 것도 때로 주책이라

그만 비 다시 쏟아진 한낮이었댔네.

다시 멈추기는 하였으나 습을 묵직하게 머금은 공기라.

열한 살 소울이가 밤마을을 걷다 그랬다, 공기가 안 좋다고.

무겁다는 말이겠다.

습을 머금은 공기이니.

장마다, 장마 같은 장마.

이 맘 때면 어김없이 하는 생각이

사람이 죽으란 법 없다는 어르신들 말씀이었다.그 말이 또 나를 살려온 문장 하나였댔지.

장마에서 만나는 볕이 그러했네, 결국 걷히는 장마가 그러했네.

곧 물러날 장마라.


장마라도 마음이 뽀송하지 않을 건 뭐겠는가.

어디나 스몄을 물기이나

마음에는 볕들이시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594 2월 어른계자, 2023. 2.24~26.쇠~해날. 맑음 / 산오름(도마령-각호산-민주지산-황룡사) 옥영경 2023-03-20 571
1593 2019.10.14.달날. 흐림 옥영경 2019-11-27 571
1592 ‘2022 연어의 날’ 여는 날, 2022.6.25.흙날. 오려다 만 비 옥영경 2022-07-13 570
1591 168계자 나흗날, 2021. 8.11.물날. 맑음 [1] 옥영경 2021-08-17 570
1590 2019.11.19.불날. 잠깐 눈발 날린 오후 옥영경 2020-01-09 570
1589 2019. 5.22.물날. 맑음 / 삽질 tip 옥영경 2019-07-24 570
» 2019. 7.27.흙날. 아침 볕 잠깐, 다시 비, 흐림 / 긴 그림자 셋 옥영경 2019-08-22 568
1587 171계자 닫는 날, 2023. 1.13.쇠날. 비 옥영경 2023-01-17 569
1586 2019 여름 청계 여는 날, 2019. 7.20. 흙날. 비 옥영경 2019-08-17 568
1585 168계자 닫는 날, 2021. 8.13.쇠날. 살짝 흐리다 저녁 비 [1] 옥영경 2021-08-17 566
1584 2020. 2. 7.쇠날. 맑음 옥영경 2020-03-05 566
1583 2019. 7.23.불날. 가끔 해 / “삶의 이치가 대견하다.” 옥영경 2019-08-22 566
1582 9월 빈들 여는 날, 2019. 9.28.흙날. 잠깐 빗방울 댓 옥영경 2019-10-31 565
1581 2019. 7. 7.해날. 가끔 구름 덮이는 / 우리 생의 환희이면서 동시에 생인손, 아이들 옥영경 2019-08-17 565
1580 2021 여름, 168계자(8.8~13) 갈무리글 옥영경 2021-08-17 564
1579 2월 어른의 학교 닫는 날, 2021. 2.28.해날. 흐리다 빗방울 살짝 지나는 오후 옥영경 2021-03-16 564
1578 2019. 5.28.불날. 흐린 오후를 건너 볕 옥영경 2019-08-01 564
1577 5월 물꼬stay 닫는 날, 2019. 5.19.해날. 비 오락가락 옥영경 2019-07-19 564
1576 2019. 7. 8.달날. 맑음 / 올해 두 번째로 나올 책의 원고 교정 중 옥영경 2019-08-17 563
1575 9월 빈들 닫는 날, 2019. 9.29.해날. 맑은 날 옥영경 2019-10-31 562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