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은 산마을 책방➀에 함께한 구성원들이 남긴 갈무리글입니다.

늘처럼 맞춤법은 틀리더라도 고치지 않았으며,

띄어쓰기도 가능한 한 원문대로 옮겼습니다.

다만 의미 전달이 어려운 경우엔 띄워주거나 컴퓨터가 저 알아 잡아준 맞춤법이거나.

괄호 안에 ‘*’표시가 있는 것은 옮긴이가 주(註)를 단 것.


사과와 만화는,

운동장 건너 커다란 전나무 세 그루 아래 사는 두 마리 개입니다.

데려오던 날 사과나무 아래 똥을 싸서 ‘사과’,

만화를 좋아하는 아이네서 와서 ‘만화’.



             --------------------------------------------------



네 살 이주영:

(* 그림: 엄마 글에다 그려준 사과, 강아지 사과 말고 먹는 사과)


1년 이수연:

(* 그림: 엄마와 아빠와 강아지 사과)


3년 이지윤:

(* 그림 1: 돌계단에 앉아 ‘강아지다’ 외치며 뒤를 돌아 사과와 만화를 보다.

그림 2: 멀리 있는 옥샘이 부르자 달려가는 옥샘하고 나)


김지현:

빈 그릇이 필요합니다.

작든 크든... 그 그릇이 비워지길 바랍니다.

그래야 그 안에 온전한 자신을 다시 담을 수 있으니까요.

다시 담을 때는... 그냥 ‘저’였으면 좋겠습니다.

그냥 내 아이의 ‘그대로’였으면 좋겠습니다.

그저 내 남편의 ‘본디’였으면 좋겠습니다.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스스로를 잊지 않을 수 있도록

물꼬에서의 소소한 일상과... 느리지만 꼭꼭 채워진 시간 시간을 담아갑니다.

(* 그림: 주영이가 그려준 사과)

물꼬 밖에서 힘이 들때면

다시 눈을 감고 떠올릴랍니다...

물꼬의 대문... 갑자기 확 펼쳐지는 잔디마당... 맛있는 가마솥방...

아침뜨락에서의 발걸음... 이곳의 시계...

물꼬의 문이 항상 열려있어 감사합니다.

2019. 8.18.

딸셋맘 김지현 올림


이중복:

바쁘게 살다 생각만 하고 잊고 지낸 것들이 많은데 그 중 하나를 한 거 같아서 뿌듯한 마음이 듭니다.

시간이 멈춘 듯한 여유로움이 느껴져서 감사한 시간이었습니다.

아이들과 보내는 행복한 추억을 많이 만들고 싶습니다.

2019. 8.18

물꼬에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6614 7월 8일, 요구르트 아줌마 옥영경 2004-07-19 2567
6613 대동개발 주식회사 옥영경 2004-01-01 2564
6612 165 계자 닷샛날, 2020. 1.16.나무날. 맑음 / ‘저 너머 누가 살길래’-마고산 옥영경 2020-01-28 2562
6611 푸른누리 다녀오다 옥영경 2004-01-29 2560
6610 똥 푸던 날, 5월 6일 옥영경 2004-05-12 2555
6609 서울과 대구 출장기(3월 5-8일) 옥영경 2004-03-10 2555
6608 성현미샘 옥영경 2004-01-11 2534
6607 경복궁 대목수 조준형샘과 그 식구들 옥영경 2003-12-26 2510
6606 6월 6일, 미국에서 온 열 세 살 조성학 옥영경 2004-06-07 2494
6605 김기선샘과 이의선샘 옥영경 2003-12-10 2483
6604 장미상가 정수기 옥영경 2004-01-06 2480
6603 아이들이 들어왔습니다-38 계자 옥영경 2004-01-06 2479
6602 물꼬 사람들이 사는 집 옥영경 2003-12-20 2464
6601 122 계자 이튿날, 2007.12.31.달날. 또 눈 옥영경 2008-01-03 2449
6600 새금강비료공사, 5월 11일 불날 옥영경 2004-05-12 2432
6599 장상욱님, 3월 12일 옥영경 2004-03-14 2390
6598 [바르셀로나 통신 3] 2018. 3. 2.쇠날. 흐림 / 사랑한, 사랑하는 그대에게 옥영경 2018-03-13 2365
6597 눈비산마을 가다 옥영경 2004-01-29 2355
6596 주간동아와 KBS 현장르포 제 3지대 옥영경 2004-04-13 2333
6595 새해맞이 산행기-정월 초하루, 초이틀 옥영경 2004-01-03 2332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