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밭에 풀을 뽑는다.

어째도 자라나는 것들은 자란다.

때로 키우려는 것보다, 애쓴 것보다 죽정이가 더 많기도 한다.

그래도 또 키워내는 손길들이라.

사는 일이 거듭 감동일세.


향낭을 만들었다.

비가 많은 이 가을, 어느새 여기저기 퀴퀴하다.

바람을 들이는 게 첫째겠지만 향을 더하는 것도 좋은 방법.

부직포에다 구한 것들을 한 숟가락씩 채운다.

나무의 수액이 굳은 유향나무 수지부터.

소나무 송진 같은 거다.

방부작용이 뛰어나 향수 재료로 많이 쓰인다지.

이러니 명상할 때들 쓸 게다.

동박박사가 아기예수를 맞으러 갈 때

가지고 간 세 가지 선물 가운데 하나가 이것이었더라지.

붉은 자단향도 더한다.

심재가 붉어 자단향.

울릉도에서 나는 향나무다. 울향이라고 하는.

할아버지가 제사상을 마련하며 연필 깎듯 깎아 쓰셨던 물건.

한방소화제에 쓰이는 푸른 목향도 보탠다.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

방아풀인 하얀색 곽향도 더하고,

검은 향부자도 넣고,

백단도 합한다.

안정감과 평온감을 주어 스트레스와 불면과 불안감에 효과가 있다는.

아, 계피가루도 한 숟가락.


이 재료들도 오방의 뜻이 있더라.

중앙의 노랑 유향, 좌청룡 목향에 우백호 곽향,

북현무 향부자에 남주작 자단향.

향재료도 그런 뜻을 담은 선인들이었네.

일곱 재료들을 잘 섞어 넣은 부직포 주머니를

다시 버선모양을 한 주머니에 담아 걸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694 152 계자 닫는 날, 2012. 8. 3.쇠날. 맑음 옥영경 2012-08-05 1219
1693 158계자 닷샛날, 2014. 8.14.나무날. 비 / 산오름 옥영경 2014-08-20 1219
1692 2월 9일 물날 맑음 옥영경 2005-02-16 1220
1691 계자 104 닫는 날, 6월 26일 해날 꾸물꾸물 옥영경 2005-07-08 1220
1690 2007. 1.14.해날. 맑음 옥영경 2007-01-19 1220
1689 2007. 5.18.쇠날. 맑다가 빗방울 옥영경 2007-06-03 1220
1688 2007. 9.19. 물날. 갬 옥영경 2007-10-05 1220
1687 2008. 3. 2.해날. 황사 옥영경 2008-03-23 1220
1686 2011. 4.13.물날. 맑음 옥영경 2011-04-23 1220
1685 2011. 6.26.달날. 비 옥영경 2011-07-11 1220
1684 2011.10.12.물날. 흐려지는 오후 옥영경 2011-10-21 1220
1683 8월 24일 물날 비 옥영경 2005-09-11 1221
1682 2007. 2. 8. 나무날. 비 옥영경 2007-02-12 1221
1681 2008. 2.11.달날. 흐릿 옥영경 2008-03-05 1221
1680 2011.10. 4.불날. 맑음 옥영경 2011-10-14 1221
1679 2011.10.10.달날. 희붐한 하늘 옥영경 2011-10-21 1221
1678 2012. 4. 9.달날. 흐린 오후 옥영경 2012-04-17 1221
1677 5월 빈들모임(5/25~27) 갈무리글 옥영경 2012-06-02 1221
1676 6월 13일 달날 맑음 옥영경 2005-06-17 1222
1675 7월 4일 달날 끝없이 비 옥영경 2005-07-13 1222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