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밭에 풀을 뽑는다.

어째도 자라나는 것들은 자란다.

때로 키우려는 것보다, 애쓴 것보다 죽정이가 더 많기도 한다.

그래도 또 키워내는 손길들이라.

사는 일이 거듭 감동일세.


향낭을 만들었다.

비가 많은 이 가을, 어느새 여기저기 퀴퀴하다.

바람을 들이는 게 첫째겠지만 향을 더하는 것도 좋은 방법.

부직포에다 구한 것들을 한 숟가락씩 채운다.

나무의 수액이 굳은 유향나무 수지부터.

소나무 송진 같은 거다.

방부작용이 뛰어나 향수 재료로 많이 쓰인다지.

이러니 명상할 때들 쓸 게다.

동박박사가 아기예수를 맞으러 갈 때

가지고 간 세 가지 선물 가운데 하나가 이것이었더라지.

붉은 자단향도 더한다.

심재가 붉어 자단향.

울릉도에서 나는 향나무다. 울향이라고 하는.

할아버지가 제사상을 마련하며 연필 깎듯 깎아 쓰셨던 물건.

한방소화제에 쓰이는 푸른 목향도 보탠다.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

방아풀인 하얀색 곽향도 더하고,

검은 향부자도 넣고,

백단도 합한다.

안정감과 평온감을 주어 스트레스와 불면과 불안감에 효과가 있다는.

아, 계피가루도 한 숟가락.


이 재료들도 오방의 뜻이 있더라.

중앙의 노랑 유향, 좌청룡 목향에 우백호 곽향,

북현무 향부자에 남주작 자단향.

향재료도 그런 뜻을 담은 선인들이었네.

일곱 재료들을 잘 섞어 넣은 부직포 주머니를

다시 버선모양을 한 주머니에 담아 걸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5034 2006.12.22.쇠날. 맑음 옥영경 2006-12-26 1220
5033 2006.8.31.나무날. 맑음 / 새 식구 옥영경 2006-09-14 1220
5032 2011.10.10.달날. 희붐한 하늘 옥영경 2011-10-21 1219
5031 2011.10. 4.불날. 맑음 옥영경 2011-10-14 1219
5030 147 계자 여는 날, 2011. 8.14.해날. 소나기 옥영경 2011-08-30 1219
5029 2011. 1.26.물날. 맑음 옥영경 2011-02-05 1219
5028 2009. 4. 4.흙날. 바람 몹시 불고 천지 황사 옥영경 2009-04-14 1219
5027 2008. 9.26.쇠날. 맑음 옥영경 2008-10-10 1219
5026 2007. 3.22.나무날.맑음 옥영경 2007-04-06 1219
5025 2007. 3.21.물날. 흐림 옥영경 2007-04-06 1219
5024 2006.9.3.해날. 맑음 / 가을학기 햇발동 첫 밤 옥영경 2006-09-14 1219
5023 7월 25일 달날 더위 가운데 옥영경 2005-07-31 1219
5022 2016학년도 겨울, 163 계자(2017. 1. 3~8) 갈무리글 옥영경 2017-01-22 1218
5021 유설샘 미루샘의 혼례 주례사 file 옥영경 2009-03-07 1218
5020 2006.5.9.불날. 흐릿 옥영경 2006-05-11 1218
5019 108 계자 닫는 날, 2006.1.16.달날.흐림 옥영경 2006-01-19 1218
5018 4월 20일 물날 지독한 황사 옥영경 2005-04-23 1218
5017 152 계자 닫는 날, 2012. 8. 3.쇠날. 맑음 옥영경 2012-08-05 1217
5016 2012. 4. 9.달날. 흐린 오후 옥영경 2012-04-17 1217
5015 2011. 7.20.물날. 내리 폭염 옥영경 2011-08-01 1217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