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밭에 풀을 뽑는다.

어째도 자라나는 것들은 자란다.

때로 키우려는 것보다, 애쓴 것보다 죽정이가 더 많기도 한다.

그래도 또 키워내는 손길들이라.

사는 일이 거듭 감동일세.


향낭을 만들었다.

비가 많은 이 가을, 어느새 여기저기 퀴퀴하다.

바람을 들이는 게 첫째겠지만 향을 더하는 것도 좋은 방법.

부직포에다 구한 것들을 한 숟가락씩 채운다.

나무의 수액이 굳은 유향나무 수지부터.

소나무 송진 같은 거다.

방부작용이 뛰어나 향수 재료로 많이 쓰인다지.

이러니 명상할 때들 쓸 게다.

동박박사가 아기예수를 맞으러 갈 때

가지고 간 세 가지 선물 가운데 하나가 이것이었더라지.

붉은 자단향도 더한다.

심재가 붉어 자단향.

울릉도에서 나는 향나무다. 울향이라고 하는.

할아버지가 제사상을 마련하며 연필 깎듯 깎아 쓰셨던 물건.

한방소화제에 쓰이는 푸른 목향도 보탠다.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

방아풀인 하얀색 곽향도 더하고,

검은 향부자도 넣고,

백단도 합한다.

안정감과 평온감을 주어 스트레스와 불면과 불안감에 효과가 있다는.

아, 계피가루도 한 숟가락.


이 재료들도 오방의 뜻이 있더라.

중앙의 노랑 유향, 좌청룡 목향에 우백호 곽향,

북현무 향부자에 남주작 자단향.

향재료도 그런 뜻을 담은 선인들이었네.

일곱 재료들을 잘 섞어 넣은 부직포 주머니를

다시 버선모양을 한 주머니에 담아 걸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
6294 2023. 4. 5.물날. 비 옥영경 2023-05-03 587
6293 2023. 4. 4.불날. 흐리다 저녁비 / 말뚝 박기 옥영경 2023-05-03 471
6292 2023. 4. 3.달날. 맑음 옥영경 2023-05-02 316
6291 2023. 4. 2.해날. 맑음 / 푸코주의자 옥영경 2023-05-01 299
6290 2023. 4. 1.흙날. 맑음 / 대흥사-다산초당-백련사 옥영경 2023-04-30 434
6289 2023. 3.31.쇠날. 맑음 / 달마고도는 물꼬랑 인연이 깊다? 옥영경 2023-04-29 321
6288 2023. 3.30.나무날. 맑음 / 우리는 왜 잘하려 드는 걸까... 옥영경 2023-04-28 324
6287 2023. 3.29.물날. 맑음 / 남을 자꾸 때리는 아이 옥영경 2023-04-26 336
6286 2023. 3.28.불날. 맑음 옥영경 2023-04-26 302
6285 2023. 3.27.달날. 맑음 옥영경 2023-04-18 315
6284 2023. 3.26.해날. 맑음 옥영경 2023-04-18 305
6283 2023. 3.25.흙날. 흐림 옥영경 2023-04-18 373
6282 2023. 3.24.쇠날. 비 긋고 내내 흐림 옥영경 2023-04-13 325
6281 2023. 3.23.나무날. 흐림 / 울산바위 옥영경 2023-04-12 390
6280 2023. 3.22.물날.맑음 옥영경 2023-04-11 381
6279 2023. 3.21.불날. 맑음, 춘분 옥영경 2023-04-10 858
6278 2023. 3.20.달날. 맑음 / 백담계곡 옥영경 2023-04-10 313
6277 2023. 3.19.해날. 맑음 옥영경 2023-04-10 294
6276 2023. 3.18.흙날. 살짝 퍼진 해 옥영경 2023-04-05 545
6275 2023. 3.17.쇠날. 흐려가는 오후 옥영경 2023-04-05 312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