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9.22.해날. 비바람

조회 수 546 추천 수 0 2019.10.31 23:15:26


이 바람에도 가을의 작은 마지막 달맞이꽃들이 언덕배기에 서있다.

새벽 3시 기준으로 서귀포 남남서쪽 약 380km 부근 해상에서 시고 30km로 북상 중.

강도 강의 중형 태풍이라 했다.

04:30 옥천과 영동에 후우주의보.

04시 현재 영동은 72.5mm로 충북 일대에서 가장 많은 비가 내렸다 했다.

순간풍속 역시 충북에서 가장 강한 9.9m.

시간당 20mm 이상의 비가 내리겠으니 침수와 범람들에 유의하라는 당부가 이어졌다.


비바람...

북쪽에서 남쪽을 향해 스크린이 넘어가듯 비가 바람을 타고 옮아간다.

영화 <매트릭스>의 한 화면을 보는 듯하다.

창고동을 살피고 햇발동 창문들을 점검했다.

사이집을 둘러보다 눈앞의 작은 산을 올려다본다.

나뭇잎일까, 무언가 난다.

크다 해도 나뭇잎일리야.

그제야 새라는 걸 안다. 작은 새다.

작은 몸체가 비바람을 가르고 난다.

새 한 마리 날아오른다.

또 한 마리.

이편에서 아주 작은 새가 또 한 마리 곤두박질치듯 날아 내린다.

비바람에도 일상이 있다.

비바람에도 삶은 계속된다.

비바람에도 밥을 버는 사람들이 있을 것이다.

사는 일은, 생명을 살아내는 일은, 숭고할 만하다.


키 낮은 풀들이 온몸으로 바람을 탄다.

사이집 가는 편백나무들이 온 세상 바람이 다 닿듯 흔들린다.

지주대가 빠진 나무 하나 있었다.

저러다 뿌리를 드러내고야 말겠다.

이런 비바람에는 우산이 소용없다.

모자가 달린 점퍼를 입고 나서서 창고로 간다.

지줏대 하나를 들고 나와 망치 대신 두드려 박는다.

거기 편백 한 그루를 묶어준다.

사는 일이, 넘어지려할 때 누군가 손 하나 잡아주면 힘이 덜더라.


저녁이 되자 바람이 수그러졌다.

일본과 한반도 사이로 빠진다는 태풍이었다.

북쪽 하늘이 희멀그레했다.

떠나가는 비바람이겠다.

비가 먼저 가고 바람이 따르고 있었다.


자정을 넘기자 바람도 떠났다.

새날이 온다.

날이 밝으면 우리는 비바람이 할퀸 세상에서

다시 살 것이다, 무너진 것들을 일으켜 세우면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6614 계자 세쨋날 1월 7일 옥영경 2004-01-08 2110
6613 계자 네쨋날 1월 8일 옥영경 2004-01-09 2108
6612 운동장이 평평해졌어요 옥영경 2004-01-09 2193
6611 계자 다섯쨋날 1월 9일 옥영경 2004-01-10 2258
6610 계자 여섯쨋날 1월 10일 옥영경 2004-01-11 2235
6609 성현미샘 옥영경 2004-01-11 2545
6608 계자 일곱쨋날 1월 11일 옥영경 2004-01-12 2172
6607 계자 여덟쨋날 1월 12일 달날 옥영경 2004-01-13 1837
6606 계자 아홉쨋날 1월 13일 불날 옥영경 2004-01-15 1799
6605 계자 열쨋날 1월 14일 물날 옥영경 2004-01-16 2302
6604 계자 열 하루째 1월 15일 나무날 옥영경 2004-01-16 2163
6603 계자 열 이틀째 1월 16일 쇠날 옥영경 2004-01-17 2330
6602 계자 열 사흘째 1월 17일 흙날 옥영경 2004-01-28 1800
6601 계자 열 나흘째 1월 18일 해날 눈싸라기 옥영경 2004-01-28 1919
6600 38 계자 갈무리날 옥영경 2004-01-28 1683
6599 새해, 앉은 자리가 아랫목 같으소서 옥영경 2004-01-28 1809
6598 푸른누리 다녀오다 옥영경 2004-01-29 2578
6597 눈비산마을 가다 옥영경 2004-01-29 2371
6596 39 계자 첫날 1월 26일 달날 옥영경 2004-01-29 1793
6595 39 계자 이틀째 1월 27일 불날 옥영경 2004-01-30 2052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