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잎과 은행알들이 우수수 떨어졌다.

마늘밭에 빗물 고여 둘레로 고랑을 만들어주었다.


세종시 세종문화예술회관에서 ‘여민락교향시’ 초연이 있었다.

큰 돈 들여 만들어 겨우 초연하고 버리는 곡들 여럿 보았다.

이 곡은 이번 연주회를 포함, 총 다섯 차례 무대에 오를 거리지.

내일 세종축제 개막연주회에서, 모레는 서울 예술의전당 IBK 챔버홀에서,

또 관현악으로 편곡된 <여민락교향시>는 29일 정부세종청사 대강당에서,

그리고 11월에는 뉴욕 카네기홀에서 연주된단다.

세계초연인 거다.

정부기구들이 서울에서 이동을 했다지만

여전히 관련 기구들과 협업하려면 강남등지 호텔이며들에서 회의들을 하러 올라가고

가족들은 남긴 채 내려온 이들이 많다 들었다.

여전히 막강 중심 서울!

그래도 주말이면 유령도시 갔던 세종시는

어느새 거주민들이 늘어나 제법 북적이고 있더라.


연주회는 5일 개막하는 세종축제 전야제 성격이었다.

여민락은 조선 세종 때 ‘용비어천가’를 노랫말로 삼아 만들어졌고,

여러 변주곡이 파생되어 조선 시대 궁중의 각종 의식에서 연주되었으며,

민간의 풍류방에도 전승되었던 음악.

10개월여에 걸쳐 완성된 13분짜리 ‘여민락교향시’도 그것이 모티브가 되었을 것이고,

세종대왕의 이름과 정신을 계승한 세종특별자치시에 헌정되었다.

백성을 사랑한 세종대왕의 마음을 모르겠지만

세종대왕의 음악을 옮기려고 애쓴 작곡가의 마음은 알겠더라.

향악의 그림자가 짙었다.

전반부는 다소 느리게 시작되다가 다소 무거워지더니

빠르게 연주되며 세종의 심적 갈등을 말하는가 싶다가

평화롭게 전개되었다.

다시 서서히 정점으로 향하더니 편안한 화음으로 마무리.

세종솔로이스트스츠의 앙상블이었다.

세종을 담은 음악을 세종시에서 세종솔로이스트스트가 연주하고 있었다!

호흡도 잘 맞고 편안하고.

연주한 곳들의 전체 짜임도 편했다.

교향시가 길었으면 힘들었을 지도.


오는 8일 열리는 ‘세종대왕의 문화적 성취 조명 국제심포지엄’에서

주제발표를 할 미국 매릴랜드대 로버트 프로바인 명예교수가 두어 자리 건너 앉았기

재밌게 기웃거리기도 했더라는. 하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6634 신길샘, 그리고 경옥샘과 윤희샘 옥영경 2003-11-27 3245
6633 대해리 바람판 12월 2일 불날 옥영경 2003-12-08 3142
6632 122 계자 사흗날, 2008. 1. 1.불날. 햇살 속으로도 눈발 날리다 옥영경 2008-01-05 3035
6631 2020. 3.24.불날. 맑음 옥영경 2020-05-03 2902
6630 용달샘네 갔던 날 옥영경 2003-12-08 2839
6629 아리샘 옥영경 2003-11-28 2817
6628 물꼬 공동체 식구들 옥영경 2003-12-08 2788
6627 11월 17 - 23일 옥영경 2003-12-08 2787
6626 126 계자 아이들 갈무리글 옥영경 2008-08-24 2785
6625 2011. 4.10.해날. 자정께 비 옥영경 2011-04-18 2754
6624 아이들 살림이 늘다 옥영경 2003-12-10 2750
6623 물꼬 식구들 숯가마 가던 날 옥영경 2003-12-08 2693
6622 2019. 2.28.나무날. 흐림 / 홈그라운드! 옥영경 2019-04-04 2690
6621 물꼬에 사는 아이들 옥영경 2003-12-08 2688
6620 2007. 6.23.흙날. 차츰 흐리다 저녁 창대비 / 시카고행 옥영경 2007-07-02 2661
6619 입학원서 받는 풍경 - 하나 옥영경 2003-12-08 2648
6618 우리들의 일어샘 고가 스미코, 5월 12일 옥영경 2004-05-12 2637
6617 에넥스 부엌가구 옥영경 2003-12-20 2622
6616 2020. 4.13.달날. 맑음 옥영경 2020-06-15 2600
6615 새 노트북컴퓨터가 생기다 옥영경 2003-12-10 2583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