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10. 9.물날. 맑음

조회 수 735 추천 수 0 2019.11.27 10:16:59


낮 4시였다.

하지에는 낮밥을 먹고 그늘로 들었다가 다시 일을 시작하기도 하는 시간,

시월에는 하루가 저물어가는 때이다.

별 것도 하지 않았는데, 심지어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 싶어도

저녁이 더럭 왔다 싶은 시간.

책 한 줄 글 한 줄 읽지 않아도 해가졌다.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

책상에 쌓여있는 것 가운데 아래쪽에 있는 것이 무엇인지 생각이 나지 않았다.

다시 그 위에 들고 있는 걸 놓아도

그냥 하루가 갔다. 

멧골의 시월이다.


저녁답에 굵은 느티나무 한 그루 달골에 왔다.

인근 도시에서 공원을 정리하면서 패 내게 된 나무였다.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과정에 몇 그루는 버려지다시피한.

어제 잠깐 그곳에 가 살릴만한 한 그루를 보았고,

실어 달라 부탁을 해놓았다.

마침 이웃에 굴삭기 들어와 일을 하니

며칠 내로 말을 넣어 심을 수 있으리라 하고.

삽으로 심을 수 있는 크기가 아니니.

실어온 이들에게 저녁밥을 냈다.

여름을 지나는 밥상은 나물이 푸지다.

가지나물 무잎나물 호박나물 아삭이고추무침, 얼갈이 김치와 고구마줄기 김치,

시래기국을 내고 만두도 구워냈다.


밤에는 인문학공부를 안내하고 있었다.

오늘은 소설 하나가 재료였다.

사는 일이 굽이굽이 산이다.

우리는 번뇌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소설 속 주인공은 출가해서 스님이 된 선배에게 물었다,

형, 번뇌를 어떻게 없애요 하고.

선배는 못 없애, 라고 단언했다.

그리고 덧붙였다. 야, 내 번뇌도 못 없애.

이어진 문장들은 이랬다.

‘그러니까 인생은 손쓸 수가 없는 것이었다.

그냥 포기해버려야 하는 것이었다.

마음의 번뇌와 갈등, 고통, 어떤 조갈증, 허기 같은 건 지병처럼 가져가야 하는 것이었다.

아프면 고쳐가며 쓰는 게 몸이라고 하는데 마음이라고 그렇지 않겠는가.

아픈 마음 고쳐가며 쓸 일이겠다.

소설의 어느 구절 끝은 이리 쓰고 있었다.

그냥 잘 지내요. 그것이 우리의 최종 매뉴얼이에요.

그렇다. 그저 잘 지내기, 그것이 최종 매뉴얼이다.

우리 마음이 조금 부스러지기는 하겠지만 결코 파괴되지 않을 게다.

그래도 우리는 출근을 하고 낮밥을 먹고 다시 집으로 돌아올 것이다.

건승을 비노니!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6474 대해리 미용실 옥영경 2003-12-26 1964
6473 2008. 3.14.쇠날. 갬 / 백두대간 6구간 가운데 '빼재~삼봉산' file 옥영경 2008-03-30 1962
6472 12월 14일 불날 맑음 옥영경 2004-12-17 1953
6471 12월 12일 해날 찬 바람, 뿌연 하늘 옥영경 2004-12-17 1950
6470 97 계자 세쨋날, 8월 11일 물날 맑음 옥영경 2004-08-13 1947
6469 "계자 94"를 마치고 - 하나 옥영경 2004-06-07 1947
6468 봄날 닫는 날, 2008. 5.17.흙날. 맑음 옥영경 2008-05-23 1941
6467 2005.11.1.불날.맑음 / 기분이 좋다... 옥영경 2005-11-02 1939
6466 127 계자 아이들 갈무리글 옥영경 2008-09-07 1937
6465 2007.12. 2.해날. 눈비 / 공동체식구나들이 옥영경 2007-12-17 1936
6464 2007. 2.18.해날. 맑음 / 설 옥영경 2007-02-22 1932
6463 98 계자 닷새째, 8월 20일 쇠날 흐림 옥영경 2004-08-22 1928
6462 5월 22일 흙날, 대구출장 옥영경 2004-05-26 1925
6461 계자 열 나흘째 1월 18일 해날 눈싸라기 옥영경 2004-01-28 1921
6460 99 계자 첫날, 10월 29일 쇠날 맑음 옥영경 2004-10-31 1919
6459 1월 21일 쇠날 맑음, 100 계자 소식-둘 옥영경 2005-01-25 1917
6458 찔레꽃 방학 중의 공동체 식구들 옥영경 2004-06-04 1917
6457 2007. 4.21.흙날. 맑음 / 세 돌잔치-<산이 사립문 열고> 옥영경 2007-05-10 1906
6456 1월 24일 달날 맑음, 101 계자 여는 날 옥영경 2005-01-26 1900
6455 9월 2일 나무날, 갯벌이랑 개펄 가다 옥영경 2004-09-14 1900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