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10.11.쇠날. 맑음

조회 수 580 추천 수 0 2019.11.27 10:23:29


이웃 하나 건너와 아침밥상에 앉았다.

시래기죽을 끓여냈다.

뜨끈한 밥이 힘을 내게 할 계절이 시작되었다.


재작년부터 이 시월까지 쌓인 빈병들이 바깥해우소 뒤란 창고를 차지하고 있었다.

소주병 300개, 맥주병 120개.

하얀샘과 학교아저씨가 실어나가서 식료품으로 바꿔왔다.


오늘은 수업도 없고 별다른 일정도 없다.

부엌을 좀 치워낸다.

양념통을 채우고, 양념선반과 양념바구니도 털고 닦고,

가마솥방 곳간도 나가서 찬장을 정리한다.

묵은 것들을 내서 개밥냄비에 넣고 끓이고.

싱크대 아래와 그 너머 구석진 곳까지 막대기를 쥐고 길게 손을 뻗어 닦아낸다.

허리가 삐긋, 손목도 시큰.

표도 안 나는 이 일들이라니...

그런데, 나는 안다, 청소하는 나는 안다. 적어도 자신은 자기가 한 일을 알지 않는가.

그래서 표 나는 일이 된다. 그러니 헛일이 아닌 거다!


달골 사이집에서는,

여기 일이란 게 인부가 들어와 일을 맡아 집중적으로 그 일을 하는 일이 드무니,

짬짬이 하는 일이라,

사이집 정화조 일이 이어진다.

흙을 다시 파내고 관을 재배치하고 다시 흙을 덮고 시멘트로 마감하고,

그 자리를 정리하는 것으로 끝인데 또 무슨 일인가 할 수도 있겠지만

또 일이 있더라.

뭔가가 또 삐걱거린 거다.

비로소 뚜껑을 중심으로 콘크리트를 치고 손 털다.

오늘도 날이 어두워서야 달골을 나왔네.


(노동으로) 사람 같이 살 수 있어 고맙다,

내 복이라, (다른 존재에 대한) 연민이 있어, 손발(노동할)이 있어!

노동으로 존재가 풍요롭다.

물꼬의 삶은 밀도가 높다.

단순히 열심히가 아니라 어떤 열심인가,

그저 행복한 게 아니라 어떤 행복인가,

그 열심과 그 행복이 어떤 가치를 낳는가 물을 수 있어 고맙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6574 2024. 1.21.해날. 비 옥영경 2024-02-07 375
6573 2024. 1.20.흙날. 비 / 발해1300호 26주기 추모제 옥영경 2024-01-30 485
6572 2024. 1.19.쇠날. 흐림 / 문바위 옥영경 2024-01-29 386
6571 2024. 1.18.나무날. 비 옥영경 2024-01-29 377
6570 2024. 1.17.물날. 비 옥영경 2024-01-29 356
6569 2024. 1.16.불날. 맑음 옥영경 2024-01-29 371
6568 2024. 1.15.달날. 맑음 옥영경 2024-01-29 369
6567 2024. 1.14.해날. 맑음 옥영경 2024-01-29 410
6566 2024. 1.13.흙날. 맑음 옥영경 2024-01-29 401
6565 2023학년도 겨울, 173계자(1.7~12) 갈무리글 옥영경 2024-01-15 595
6564 173계자 닫는 날, 2024. 1.12.쇠날. 맑음 옥영경 2024-01-15 585
6563 173계자 닷샛날, 2024. 1.11.나무날. 맑음 / 바람산 옥영경 2024-01-14 462
6562 173계자 나흗날, 2024. 1.10.물날. 구름에 살짝 걸린 해 옥영경 2024-01-13 436
6561 173계자 사흗날, 2024. 1. 9.불날. 흐림 옥영경 2024-01-11 520
6560 173계자 이튿날, 2024. 1. 8.달날. 맑음 옥영경 2024-01-10 544
6559 173계자 여는 날, 2024. 1. 7.해날. 맑음 옥영경 2024-01-09 790
6558 2024. 1. 6.흙날. 맑음 / 173계자 미리모임 옥영경 2024-01-08 541
6557 2023. 1. 5.쇠날. 잠깐 해 옥영경 2024-01-08 497
6556 2024. 1. 4.나무날. 새벽 싸락눈 옥영경 2024-01-08 589
6555 2024. 1. 3.물날. 눈 / 계자 사전 통화 옥영경 2024-01-08 424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