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10.25.쇠날. 구름 좀

조회 수 553 추천 수 0 2019.12.10 12:00:04


새벽 도둑비가 다녀갔다.

종일 사람 만날 일 없이 일만 하는 되는 날이었다.

이런 날이야말로 그 어느 때보다 사람답게 산다는 느낌.

오전에는 사이집 마당 자갈돌을 골라냈고,

오후엔 명상정원 아침뜨樂에 들어가

감나무 아래 벽돌을 깔기 위해 땅을 정리하기 시작했다.

콩나물 대가리처럼 그렇게 시작해서 옴자 사이사이로 길을 내고

아고라를 거쳐 달못으로, 그리 그리 걸음을 따라 벽돌을 깔 계획이다.

올해의 절반은 아침뜨락에서 보내는 듯.


몇 해 전이었을 것이다.

한의원을 가서 그곳에서 쓰이는 환자에 대한 응대의 말들에

어색하기도 하고 우습기도 했더랬다.

존칭어는 맞는데 접미사가 희한하게 붙은.

- 누우시께요.

- 옷을 좀 올리시께요.

어느새 곳곳에서 그런 말투는 넘치고 있었고,

나 또한 그 사용자가 되어 있었다.


시카고에 살았을 적 한인 부부를 만난 적 있다.

남편은 1.5세로 한국말이 서툴고는 했다.

어느 날 그이가 집안일하는 아주머니를 모시고 가면서 아내에게 던진 말,

“아줌마 가지고 올게.”

bring을 그리 번역했을 터였다.

더하여 일본어가 침투해 있는 우리말에 해방 이후 영어가 범람하면서

피동형이 넘치게 된 것 또한 그런 예.

- 주문 도와드릴 게요.

- 소개시키다

- 양해 말씀드립니다.

“주문하시겠어요?” “소개하다” “양해를 구합니다.”라고 써야 할.


오늘 요새 흔히 쓰이는 우스꽝스런 존칭어에 대한 기사를 읽으며

말법을 다시 가지런히 해보나니.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594 2008. 2. 7.나무날. 맑음 / 설 옥영경 2008-02-24 1246
1593 132 계자 여는 날, 2009. 8. 2.해날. 한 때 먹구름 지나 옥영경 2009-08-07 1246
1592 2011. 5.18.물날. 맑음 옥영경 2011-05-30 1246
1591 2006. 9.14.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6-09-20 1247
1590 2006.11.23.나무날. 아주 잠깐 진눈깨비 지나고 옥영경 2006-11-24 1247
1589 2007. 4.27.쇠날. 맑음 옥영경 2007-05-14 1247
1588 2007. 5.16.물날. 비 옥영경 2007-05-31 1247
1587 2007. 6. 1.쇠날. 맑음 옥영경 2007-06-15 1247
1586 2007.11.13.불날. 맑음 옥영경 2007-11-21 1247
1585 2008. 5.31.흙날. 맑음 옥영경 2008-06-09 1247
1584 2012. 2.16.나무날. 다시 한파 옥영경 2012-02-24 1247
1583 2006.10. 3.불날. 맑음 옥영경 2006-10-10 1248
1582 2008. 4.20.해날. 뿌연 하늘 옥영경 2008-05-11 1248
1581 2008. 7.13.해날. 맑음 옥영경 2008-07-27 1248
1580 2009. 2. 1.해날. 맑음 옥영경 2009-02-13 1248
1579 2011. 6.15.물날. 맑음 / 보식 3일째 옥영경 2011-07-02 1248
1578 4월 21일 상설학교 첫돌잔치에 모십니다 옥영경 2005-04-24 1249
1577 9월 21일 물날 비 옥영경 2005-09-24 1249
1576 2005.12.3.흙날.저녁답부터 밤새 내리는 눈 / 연수 하나를 마치고 옥영경 2005-12-06 1249
1575 2008. 3. 2.해날. 황사 옥영경 2008-03-23 1249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