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10.25.쇠날. 구름 좀

조회 수 515 추천 수 0 2019.12.10 12:00:04


새벽 도둑비가 다녀갔다.

종일 사람 만날 일 없이 일만 하는 되는 날이었다.

이런 날이야말로 그 어느 때보다 사람답게 산다는 느낌.

오전에는 사이집 마당 자갈돌을 골라냈고,

오후엔 명상정원 아침뜨樂에 들어가

감나무 아래 벽돌을 깔기 위해 땅을 정리하기 시작했다.

콩나물 대가리처럼 그렇게 시작해서 옴자 사이사이로 길을 내고

아고라를 거쳐 달못으로, 그리 그리 걸음을 따라 벽돌을 깔 계획이다.

올해의 절반은 아침뜨락에서 보내는 듯.


몇 해 전이었을 것이다.

한의원을 가서 그곳에서 쓰이는 환자에 대한 응대의 말들에

어색하기도 하고 우습기도 했더랬다.

존칭어는 맞는데 접미사가 희한하게 붙은.

- 누우시께요.

- 옷을 좀 올리시께요.

어느새 곳곳에서 그런 말투는 넘치고 있었고,

나 또한 그 사용자가 되어 있었다.


시카고에 살았을 적 한인 부부를 만난 적 있다.

남편은 1.5세로 한국말이 서툴고는 했다.

어느 날 그이가 집안일하는 아주머니를 모시고 가면서 아내에게 던진 말,

“아줌마 가지고 올게.”

bring을 그리 번역했을 터였다.

더하여 일본어가 침투해 있는 우리말에 해방 이후 영어가 범람하면서

피동형이 넘치게 된 것 또한 그런 예.

- 주문 도와드릴 게요.

- 소개시키다

- 양해 말씀드립니다.

“주문하시겠어요?” “소개하다” “양해를 구합니다.”라고 써야 할.


오늘 요새 흔히 쓰이는 우스꽝스런 존칭어에 대한 기사를 읽으며

말법을 다시 가지런히 해보나니.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5094 2007.11.13.불날. 맑음 옥영경 2007-11-21 1225
5093 2006.12.28.나무날. 눈발 옥영경 2007-01-01 1225
5092 2005.10.13.나무날. 달빛 고운 옥영경 2005-10-15 1225
5091 2012. 8. 4.흙날. 맑음 / 153 계자 미리모임 옥영경 2012-08-06 1224
5090 2011. 6. 3.쇠날. 맑음 옥영경 2011-06-14 1224
5089 2011. 5.22.해날. 갬 옥영경 2011-06-04 1224
5088 2009. 5. 2.흙날. 흐리다 비 오락가락 옥영경 2009-05-12 1224
5087 2008. 5.31.흙날. 맑음 옥영경 2008-06-09 1224
5086 2008. 3. 6.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8-03-23 1224
5085 2007. 5.15.불날. 맑음 옥영경 2007-05-31 1224
5084 2005.11.13.해날.맑음 / 중량(重量)초과(草果) 生 옥영경 2005-11-14 1224
5083 152 계자 이튿날, 2012. 7.30.달날. 살짝 바람 지나고 가려지는 달 옥영경 2012-07-31 1223
5082 2011. 7. 4.달날. 볕 나고 갬 옥영경 2011-07-11 1223
5081 2011. 5.30.달날. 회색 오후 옥영경 2011-06-09 1223
5080 2010. 4.29.나무날. 새벽, 눈발 날리다 옥영경 2010-05-17 1223
5079 2009. 3.17.불날. 노란 하늘이나 햇살 두터운 옥영경 2009-03-29 1223
5078 2008.11. 2.해날. 꾸물럭 옥영경 2008-11-14 1223
5077 2008. 5.10.흙날. 맑음 옥영경 2008-05-20 1223
5076 2007. 6. 1.쇠날. 맑음 옥영경 2007-06-15 1223
5075 물꼬가 병원을 기피(?)한다고 알려진 까닭 옥영경 2005-07-16 1223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