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10.29.불날. 맑음

조회 수 524 추천 수 0 2019.12.16 12:47:17


 

오전, 본관 앞 꽃밭들 잡초 정리.

나무들 가지도 좀 치고.

 

오후, 아침뜨락 벽돌로 길 깔기가 이어진다.

지난 해날 아침뜨들머리 계단 위 감나무 아래에서 옴자를 관통하는 길을 깐 데 이어.

옴자 끝 갈림길(아고라와 꽃그늘길로 갈라지는)에서부터 아고라 쪽으로.

수로에 이르기까지 풀을 패 내고 땅을 고르고 벽돌 놓기.

 

일을 하다보면 리듬이 있다.

춤을 추는 것과 다르지 않은.

그 부드러운 동선이 일을 더 편하게 하고 더 쉽게 하고 신도 나게 하고

일이 아니게(부담이지 않게) 하고.

무엇이나 그렇게, 사는 일도 그렇게 리듬을 탈 일이겠다.

 

저녁에 어른수업 하나 있었다.
그런데 일하는 현장으로들 왔네.

마저 깔자고 온 손들이 팔을 걷었더라.

이래서 빠지고 저래서 빠지면 공부는 언제 하누?”

그러면서도 손을 놓지 않은 나였어라.

 

어두어오는 달골에서 손들이 움직였다.

나중에는 손전화의 등을 켜서들 일했네.

내려와 김치국밥을 끓여먹었다.

옥샘 말씀대로 공부가 별 다른 게 있나요!”

맞다. 인문학 공부라고 책도 읽고 얘기하고 그림도 그리는데,

그것들이 일하는 움직임에 응축되고도 있는 걸.

서로 손이 부딪히지 않게 동선을 어찌 쓰면 될까,

내 몸에 덜 부담을 주면서 일이 제대로 하려면 힘을 어떻게 써야 할까,

벽돌들이 곡선을 잘 이루게 하려면 어느 정도의 각도여야 할까,

그러면서 단거리를 만들어내려면 또한 어떻게 해야 하지,

비탈진 곳에서 수평을 이루려면 어느 정도 한 쪽을 높여야 할까,

적지 않은 공부를 그곳에서 하고 있었나니.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354 2007. 6.11.달날. 벌써 여름 한가운데 옥영경 2007-06-26 1275
1353 119 계자 사흗날, 2007. 7.31.불날. 맑음 옥영경 2007-08-06 1275
1352 2008. 4. 6.해날. 맑다 한밤중 비 옥영경 2008-04-20 1275
1351 2008. 4.10.나무날. 간간이 빗방울 옥영경 2008-04-20 1275
1350 2008. 4.24.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8-05-11 1275
1349 예비중 계자 닫는 날, 2011. 2.27.해날. 비 옥영경 2011-03-07 1275
1348 2011.11. 5.흙날. 젖은 있는 땅 옥영경 2011-11-17 1275
1347 12월 25일, 학술제가 있는 매듭잔치-셋 옥영경 2005-01-02 1276
1346 2006.5.8.달날. 흐림 옥영경 2006-05-11 1276
1345 2006. 9.21.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6-09-25 1276
1344 2008. 5.24.흙날. 맑음 옥영경 2008-06-01 1276
1343 2008.11.29.흙날. 눈 펑펑 / 김장 이틀째 옥영경 2008-12-21 1276
1342 2011. 1.15.흙날. 또 눈 내린 새벽, 그리고 갠 아침 옥영경 2011-01-18 1276
1341 9월 6일 달날, 포도 다 팔았지요 옥영경 2004-09-16 1277
1340 8월 29일-9월 12일, 밥알 모남순님 옥영경 2004-09-17 1277
1339 3월 11일 쇠날 살짜기 오는 비 옥영경 2005-03-13 1277
1338 2005.12.30.쇠날.맑음 / 우리들의 어머니 옥영경 2006-01-02 1277
1337 2007. 2.26.달날. 맑음 옥영경 2007-03-06 1277
1336 2008. 5.20.불날. 맑음 옥영경 2008-05-31 1277
1335 2008. 8.20.물날. 갬 옥영경 2008-09-13 1277
XE Login

OpenID Login